도서 상세정보


도덕교육론 (2판)

저자유병열 지음

  • 발행일2006-03
  • ISBN89-5964-084-0
  • 정가22,000
  • 페이지수696쪽/크라운판

도서 소개

■ 이 책은 이전에 필자가 출간한 『도덕과 교육론』과 짝을 이루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덕과 교육론』이 학교에서의 이루어지는 교과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 즉 바른생활과 · 도덕과 교육에 관한 실제를 주로 다룬 것이라면, 이 『도덕교육론』은 도덕교육에 관한 이론을 주로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그리하여 필자가 평소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해 왔던 두 가지, 즉 도덕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 각각을 다루는 두 개의 기본서가 미흡하나마 갖추어졌다고 하겠다. 특히 금번의 이 책은 이전에 내놓았던것을 수정 · 보완해 좀 더 발전시켜 보고자 한 것이다. 즉, 이전에 몇 군데 미흡하다고 여겨온 부분들, 예컨대 도덕교육의 과제, 도덕교육에 있어 덕교육적 접근론, 도덕교육이론과 실제의 연계,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주요 덕들, 외국의 도덕교육 등과 관련하여 수정하거나 보완을 하고 부와 장의 순서 및 내용 전개를 다시 조정하여 좀 더 충실하고 체계적인 도덕교육 이론서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선 제1부는 도덕교육의 기초 이론을 알아보는 부분으로서 4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도덕적 현실에서 학교 도덕교육이 지니는 의의가 무엇이며 또 그것이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고, 이어 제2~4장에서는 도덕교육과 관련한 보다 근원적인 물음들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여러 학자들의 도덕교육론을 중심으로 도덕철학적 · 도덕심리학적 · 교육학적 탐구를 시도하였다. 이는 이렇게 할 때 도덕교육에 관한 보다 깊은 도덕철학적 이해와 바른 도덕교육적 안목의 형성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도덕교육의 경험과학적 기초와 방법적 원리들에 대한 이론까지도 아울러 심화시킬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제2부에서는 위에서와 같은 이론적 토대들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 도덕교육의 방향과 과제, 내용, 방법, 평가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탐구하였다. 먼저, 제5장에서는 오늘날 도덕교육의 중심적 동향이 되고 있는 덕과 인격의 육성을 중시하는 관점에 입각한 도덕교육 문제를 검토하였고, 제6장에서는 학교 도덕교육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과 과제, 접근의 기본 관점이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 제6장에는 이 책의 가장 중심적인 생각이 담겨 있는데, 말하자면 학교에서의 도덕교육은 유덕한 인격을 기르는 일, 즉 학생들이 민주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바람직한 삶을 사는 데 필요한 도덕적 덕들을 조화롭게 길러 건전한 인격인으로 자라나도록 돕는 일을 그 주된 과제로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덕교육적 접근과 덕성과 인격의 지 · 정 · 행 세 측면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도모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제7장에서는 그러한 인격인을 기르기 위해 학생들에게 형성, 발달시켜야 할 도덕적 덕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어 제8장에서는 도덕교육 방법의 덕교육론적 기본 틀과 원리, 도덕과 학습지도의 기본 모형과 평가의 원리 등을 논의하였으며, 제9장에서는 또 하나의 도덕교육 방법론으로서 교과를 통한 도덕교육, 학급 및 학교공동체를 통한 도덕교육, 학교와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의한 도덕교육 방법 등을 숙고해 보았다.

제3부에서는 도덕교육에 관한 보다 높은 안목과 발전된 이론적 지식 및 실제적 실행 능력의 증진을 위해 현대 도덕교육의 주요 이론과 접근법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제10장에서는 도덕교육에 관한 사회윤리학 및 공동체주의론적 접근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제11, 제12장에서는 배려윤리 및 의사소통 · 담론윤리에 의거한 도덕교육 문제를 고찰하였다. 이어 제13장에서는 도덕교육에 있어 합리적 의사결정과 비판적 사고론의 문제를, 그리고 제14장에서는 구성주의론적 접근의 도덕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도덕교육의 기초 이론과 현대적 주요 접근 이론들을 검토해 봄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수행해야 할 도덕교육의 본질과 특성, 추구해야 할 지향점과 교육의 내용, 그리고 교육적 접근의 기본 관점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15장에서는 비교도덕교육적 관점에서 외국의 학교 도덕교육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도덕교육의 현실을 되돌아보고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필자가 대학에서 장차 교사가 될 학생들 및 현직 교사로 있는 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해 오던 내용들을 모으고 정리해서 완성한 것이다.


ㅣ 차 례 ㅣ

제 1부 도덕교육의 기초 이론
제 1장 도덕교육의 의의와 중요성
제 2장 도덕교육의 도덕철학적 기초
제 3장 도덕교육의 도덕심리학적 기초
제 4장 도덕교육의 교육학적 기초

제 2부 도덕교육의 이론과 실제
제 5장 덕윤리학 및 인격·인성교육과 도덕교육
제 6장 도덕교육의 방향과 과제 및 덕교육적 접근
제 7장 도덕교육 내용으로서의 주요 덕들
제 8장 도덕교육의 방법(Ⅰ)및 평가
제 9장 도덕교육의 제 형태와 방법(Ⅱ)

제 3부 현대 도덕교육의 주요 이론과 접근법들
제10장 사회윤리학 및 공동체주의와 도덕교육
제11장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제12장 의사소통·담론윤리와 도덕교육
제13장 합리적 의사결정 및 비판적 사고와 도덕교육
제14장 구성주의와 도덕교육
제15장 외국의 도덕교육

저자 소개

■ 유 병 열

서울교육대학·건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 교육학 석사 및 박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부회장,제6·7차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교과용 도서 개발 연구위원·집필위원·심의위원
현,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부교수
【저서 및 논문】
『도덕과 교육론』,『사회윤리 이론과 도덕교육』,『윤리학과 덕교육』,『인격교육의 실제』,
「도덕·윤리과 목표론」,「도덕과 학습지도의 통합적 접근」,
「도덕과 협동학습에 관한 연구」,「초등 도덕과에서 생명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의 특성과 정보윤리」,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