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여성은 남자와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저자김정휘 외 공저

  • 발행일1995-03
  • ISBN89-7714-243-1
  • 정가7,000
  • 페이지수340쪽/신국판

도서 소개

■ 이 책이 의도하는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번째 이제까지의 연구보고에 있어서 성차가 인정되었다. 혹은 인정될 가능성이 꽤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심리현상을 들었다. 말하자면 확정되어 있는 성차라고 할 수 있는 항목이고, 언어능력, 수학능력, 공간능력 그리고 공격성이 그것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심리적 성차가 두드러진다고 인정되는 항목은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통념으로서는 상당히 남녀차이가 있다고 믿어져 왔다.

그래서 두번째는 남녀 사이에는 우열의 차이가 있다고 그럴 둣하게 설명되는 ‘ 통설 ’, 즉 신화를 모으고 그것을 연구보고에 의거하여 검토하는 형식을 채택했다. 신화에서는 남녀차이가 상당히 있다고 생각되는 것도 실험과 조사로 실증해 보면 전혀 성차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일반지능이 그 좋은 예가 된다. 또는 남녀차이가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는 아직까지도 확증할 수 없는 것이 있는데 공포나 불안이 그것에 해당된다.

세번째는 출생 후부터 청년기까지 발달 단계별로 검토했다. 말할것도없이 남자와 여자 사이의 차이는 생물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서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긴다. 국민학교 취학 전인 유년기까지는 그 후의 소년기와 청년기에 비하면 사회적 요인의 영향은 적다고 생각해도 좋다. 유년기에 있어서 큰 남녀차이가 인정되지 않는 데도 청년기가 되면 명백한 남녀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생후의 생육환경에 있어서의 경험이나 학습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을 뒷 받침하는 자료가 많고 남자로서의 역할, 여자로서의 역할이라고 하는 성적 역할을 취하는 방법으로 확실해진다. 그 일로부터 중점은 성적 역할 행동의 발달에 있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하여 그 점에 많은 지면을 할애했다.

이 책에서 든 항목은 극히 한정되어 있다. 좁은 범위이기는 하지만 심리학적으로 성차를 토의하는 데 있어서 그 논거가 되는 자료가 어떤 연구방법으로 수집되어 또 어떻게 설명이 되고 있는가? 그리고 인간의 진실한 모습, 즉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이 물음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과학이 심리학이라는 점을 독자들은 이해해 주시면 다행으로 생각한다.


제Ⅰ장 사고활동에 있어서의 성차
1. 일반 지능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2. 언어능력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3. 인지양식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4. 공간 지각능력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5. 수학능력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제Ⅱ장 성격에 있어서의 성차
1. 성취동기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2. 과제지향과 인간지향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3. 젊은 여성의 직업지향성과 가정지향성
4. 공포와 불안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5. 공격성에 있어서의 남녀차이

제Ⅲ장 성 역할 행동의 발달
1. 성 역할 척도(Scale)란 무엇일까?
2. 성 역할 개념의 재검토
3. 유아기에 있어서 성 역할의 획득
4. 성차와 성 역할 의식
5. 사회화에 있어서의 성차

부 록 1
1. 성차에 대한 잘못된 관념, 사실 및 애매한 점: 성차에 대해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있는 것
2. 동물: 성(性)의 세계
3. 남학생도 학교에서 성 차별을 받는다
4. 남 · 녀공학 속 별반 편성 이대로 좋은가?
5. 남 · 녀학생들과 남·녀교사들간의 상호작용
6. 남 · 녀적성차이는 뇌기능에서 기인
7. 남자와 여성은 무엇이 다른가?
8. 남 · 녀의 출생비율은 환경조건과 관계가 있다.
9. 남성학 지상강의
10. 마거릿 미드의 남성과 여성

부 록 2: 「남성학(Men’s Studies」 의 이론과 실제,과연 무엇인가?
1. 「남성학(Men’s Studies」의 학문적 타당성에 대한 논의
2. 남성의 사회·심리학적 해석
3. 「남성학」과 「여성학」의 연합 · 제휴론
4. 「남성학」에서 본 ‘ 남성다움(machismo) ’의 실상과 허상
5. 남성들의 폭력적 공격성에 대한 제 해석
6. 탄력적인 부부관계의 설정과 실천을 위하여
7. 생존경쟁의 불륜아, 현대판 온달들!

저자 소개

■ 김 정 휘

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심리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수학
서울대학교 학생지도연구소 연구생 과정 수학(상담심리학 전공)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대한교육연합회 재직(현 한국교총)
중앙대학교 대학원(박사)
현, 춘천교육대학 재직
<저 서>
현대청년심리학(학문사,1977)
교사의 전문성(배영사,1979)
교육심리학탐구(형설출판사,1993)
영재학생을 위한 교육(교육과학사,1986)
학교 · 학생 · 교사 · 교육(배영사,1987)
정신지체아 교육의 원리와 실제(교육과학사,1987)
노인 심리학(성원사,1991)
자라지 않는 아이(샘터사,1990)외
영재학생,그들은 누구인가(교육과학사,1993)
‘교사의 stress 경험에 관한 연구’등 논문 다수


■ 김 병 선

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심리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박사
전 한국여론조사 연구소 연구원
현, 중앙대학교·강원대학교 강사 / ‘SPSS/PC+ 를 이용한 자료처리방법(성원사,1992)


■ 김 정 인

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심리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 박사과정 수료
현, 중앙대학교 · 강원대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