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이 책은 대학교수와 초등교사가 협동하여 책을 엮었기 때문에 이론과 실천 간 접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교사들 스스로 자신들의 삶을 그려내면서도 단순히 기존의 사변적 교단일기나 기술과는 차별화된 분석과 해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현상의 기술문화를 교사가 직접 그려내 봄으로써 자기비판적인 시각에서 현상을 이해할 수 있고 그러한 성찰을 통하여 보다 나은 교직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규범문화의 변화를 스스로 시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 점에서 예비교사들이나 현직교사들 그리고 교사교육에 관계하는 모든 분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여기서 몇 가지 지적해 두고 싶은 것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초등교사가 집필진의 대부분이다. 문제의식을 가지고 현상에 접근했고 초등교사의 세계를 누구보다도 속속들이 잘 알다 보니 희망과 보람보다는 비판적 시각이 더 드러날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내용이 대체로 부정적이고 문제 상황이 더 많이 그려졌다.
우리는 장점은 말하지 않아도 이미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단점은 우리가 똑똑히 인식해 두지 않으면 그것을 다시 되풀이하는 비극을 갖는다. 그러한 단점은 자기성찰을 하게 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긍정적 역할을 한다. 물론 교직은 여기서 그리고 있는 것보다 휠씬 인간적이고 비전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삶의 훈훈한 향기가 배어 있는 직업이다. 실제로 교사는 승진이나 업무보다는 교육 본연의 가르치는 일과 학생 지도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고 있다. 그 속에서 느끼는 보람과 긍지 그리고 감동적인 삶의 이야기는 학교문화 시리즈 다음 책에서 교직의 희망으로 그려질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 책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등교사’라는 용어의 문제이다. 병설유치원 교사, 보건교사, 영양(교)사를 초등학교 교사로 인정해야 하는가는 아직도 우리가 풀지 못한 논란거리이다. 최초 집필 의도였던(초등학교 사람들)이라는 범주에서 글을 쓰다 보니 나타난 부작용으로 이해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들은 초등교사가 자신의 세계와 비교하여 속속들이 내막을 잘 모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부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면이 더 많이 기술되어 있다. 구성원 상호간 위치와 역할 그리고 업무의 차이로 인한 갈등과 오해를 어느 정도 완화하고 상호 이해를 통해 교육공동체 구성에 일조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글쓰기에 있어서 필자의 위치와 심층적인 분석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게 한다.
이 책은 『초등학교 일상문화』에 이어 초등학교문화연구소에서 내혼는 학교문화 시리즈 중 두 번째 결과물이다.
1. 초등교사 되기 : 초등교사의 직업사회화.....이정선
2. 초등교사의 발달.........................고재천
3. 초임교사의 문화적 충격..................김갑용
4. 중년 여교사의 삶과 문화.................김종심
5. 초등학교 남교사 문화에 대한 이해........진상우
6.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교생활............김미란
7. 중간자로서 초등학교 부장교사............최영순
8. 초등학교 교감 : 일과 관계.................노경희
9. 초등학교장의 역할과 희망................김내학
10.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 : 일과 관계.....임철연
11. 보건교사의 건강한 학교 만들기..........윤은숙
12. 학교 영양(교)사의 역할과 과제..........유송림
13. 연구자로서 교사의 삶...................최영순
저자 소개
【 저 자 소 개(가나다 순) 】
■ 고 재 천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김 갑 용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장성 북일초교 교사
■ 김 내 학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완도 중앙초교 교장
■ 김 미 란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광주 조봉초교 교사
■ 김 종 심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자주 영강초교 교사
■ 노 경 희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광주 용두초교 교사
■ 유 송 림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곡성 삼기초교 교사
■ 윤 은 숙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광주 송우초교 교사
■ 이 정 선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임 철 연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광주 남초교 교사
■ 진 상 우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서울 광희초교 교사
■ 최 영 순 :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연구원,광주 임곡초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