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이 책은 거창한 이론을 실천해 본 경험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다. 더구나 반짝 내세워 유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도 아니다. 좋은 수업이란 뭘까? 어떻게 하면 교사와 아이들이 수업에 끌려가는 것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 참여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단편적인 지식의 암기만을 거듭하는 수업에서 벗어나 수업을 즐거워 하고, 생각하기를 즐겨 할 수 있을까? 에 대한 현장교사들의 고민과 실천에서 비롯된 한 가지 수업의 모양을 제안하는 것이다.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아무리 정책의 혁신을 외친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현장교사들이 변화하고, 기존의 수업이 변해야만 아이들이 행복해하고, 공부하기를 즐겨 할 수 있다. 수업 방식이 교과서만이 매개가 되어 피동적으로 지식만을 습득하는 수업의 모양이 바뀌지 않는 한 수업은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관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 제시된 순서에 따라 교과서를 가르치는 교사가 아니라 교과서를 매개로 삶을 가르치는 것이다. 우리 반 학생들이 좀 더 즐겁고, 좀 더 효율적으로 삶을 살아가도록 새로운 시각을 가르쳐 줄 필요가 있다. 학생들을 위해 교육과정을 좀 더 나은 방법으로 조직하고, 학생들이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우리나라 초등 교사들에게 용기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수업을 잘하는 교사는 말 그대로 수업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하고, 반성하고 또 실천하는 교사이다. 저자들은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동안 교사로서 많은 반성과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프로그램을 마치면서 학생들이 생각보다 더 놀라운 존재들이라는 것을 느끼면서 학생들의 한계를 스스로 규정하고 포기했던 내가 부끄러웠고, 좋은 교사로 노력하고 살아야겠다는 다짐도 다시 한 번 해보게 되었다. 또한 교사로서의 나 자신과 학생들의 변화를 직접 눈으로 목격하면서 우리의 이 같은 놀라운 경험을 많은 선생님들과 함께 하고 싶은 소망이 생겼다. 학생들에게 무언가 재미있는 방법으로 수업하고 싶은 선생님, 뭔가 새로운 게 없나 늘 찾아보는 선생님, ‘ 이래서 내가 교사라고 할 수 있나? ’라고 무기력하게 느끼는 선생님, ‘ 좋은 교사란 어떤 모습일까? ’를 늘 꿈꾸는 예비 선생님들 모두와 함께 나누고 싶다. 새로운 수업에 대한 우리의 제안이 초등교육의 현장에 새로운 바람으로 불어와 교사와 학생 모두 학교생활이 즐거워질 수 있기를 소망해 본다.
1 초등학교 고학년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통합단원 수업설계 모형
1.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필요성
2. 근거이론 접근을 통한 통합단원 수업설계 모형 구안의 필요성
3.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대한 고찰
4. 근거이론 접근을 통한 통합단원 수업설계 모형의 구안과정
5. 통합단원 수업설계 모형의 정교화 과정
6. 간학문적 통합단원 수업설계 모형
2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을 통한 교육과정 실천가로서의 교사
1.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과 교사
2.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단계별 통합내용
3. 재구성한 교육과정의 실행 현장 및 자료의 분석방법
4. 교육과정 실천가로서 교사의 변화
5.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천
3 4학년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주제중심의 통합단원 설계와 실천
1. 잠정적 주제 선정 단계
2.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마인드맵핑 단계
3. 통합대상 교과 영역 설정 단계
4. 통합대상 교과 영역별 마인드맵핑 단계
5. 통합대상 교과별 수업 진행 단계
6. 통합단원 활동시간 단계
7. 평가의 실시 단계
4 5학년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주제중심의 통합단원 설계와 실천
1. 잠정적 주제 선정 단계
2.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마인드맵핑 단계
3. 통합대상 교과 영역 설정 단계
4. 통합대상 교과 영역별 마인드맵핑 단계
5. 통합대상 교과별 수업 진행 단계
6. 통합단원 활동시간 단계
7. 평가의 실시 단계
5 6학년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주제중심의 통합단원 설계와 실천
1. 잠정적 주제 선정 단계
2.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마인드맵핑 단계
3. 통합대상 교과 영역 설정 단계
4. 통합대상 교과 영역별 마인드맵핑 단계
5. 통합대상 교과별 수업 진행 단계
6. 통합단원 활동시간 단계
7. 평가의 실시 단계
저자 소개
♣ 홍 영 기
Indiana University - Bloomington(석사)
The University of Nebraska - Lincoln(박사)
전공 및 관심분야 : 교육과정과 수업, 통합교육과정 설계, 수업문화 등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yhong@cue.ac.kr
♣ 안 경 찬
진주교육대학교(학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전공 및 관심분야 : 교육방법, 통합교육과정 설계, 창의성 교육 등
창원 일동초등학교 교사
sihea@hanmail.net
♣ 변 보 미
진주교육대학교(학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전공 및 관심분야 : 교육방법, 통합교육과정 설계, 현상학 등
진주 배영초등학교 교사
bom8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