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현장교육연구의 이론과 실제

저자고정곤·최태식·정태회 공저

  • 발행일2006-12
  • ISBN89-5964-154-5
  • 정가19,000
  • 페이지수468쪽/4*6배판

도서 소개

■ 교육연구에 관한 교재들이 많이 출간되어 있으나 한결 같이 교육연구논문을 작성하려는 대학생을 비롯한 대학원 학생, 현장교사들의 요구에 부응하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감이 있어 이들에게 적절한 교재를 제공해야겠다는 생각에서 집필을 계획하였다. 특히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은 물론 현장교원들이 승진을 위한 연구 점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장교육연구는 필수적인 학문으로 특히 필자들은 수십 년간에 걸쳐 200여 편의 현장교육연구보고서의 작성 또는 지도 그리고 논문심사에 참여했던 생생한 경험들을 기반으로 이론체계와 실제 실례를 깊이 상호 관련지어 이해하기 쉽게 집필하였다.

특히 현장교육연구는 현장교육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문제 해결의 과학화와 연구결과를 교육의 실제에 적용함으로써 현장교육의 개선에 공헌하는 등 현장교육연구의 실용화가 강조되는 이 때에 현장교원이나 예비교사에게는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전문직적 소양으로 이에 충실하기 위하여 본 교재는 모두 3부로 편성하여 집필하였다.

제1부 현장교육연구의 본질의 제1장 현장교육연구의 기초에서는 과학, 상식, 연구 그리고 교육연구, 과학적 방법, 현장교육연구의 관계를 밝혀 현장교육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이해하도록 하였고, 제2장 현장교육연구의 개관에서는 현장교육연구의 개념, 필요성, 특징 등 현장교육연구에 대한 성격이나 특수성을 개략적으로 이해하도록 하였고, 제3장 현장교육연구의 역사에서는 아동연구와 현장교육연구의 발전과정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다루었다.

또한 제2부 현장교육연구 진행과정의 탐색에서는 현장교육연구를 착수해서 연구보고서를 작성할 때까지의 단계를 현장교육연구의 계획단계, 현장교육연구의 추진단계, 현장교육연구의 종결단계의 제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별로 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4장 현장교육연구의 계획단계에서는 연구문제의 인식으로부터 연구절차 수립까지를 10개의 과정으로, 제5장 현장교육연구의 추진단계에서는 문헌조사부터 실행까지를 15개 과정으로, 제6장 현장교육연구 종결단계에서는 가설검증부터 연구보고서 작성까지를 5개 과정으로 구분하여 각 과정별로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제3부 현장교육연구계획서·현장교육연구보고서 작성의 실제에서는 제2부 현장교육연구 진행과정의 탐색에서 제시한 과정별 절차와 방법에 따라 연구유형별로 기발간된 석·박사학위 및 현장교육연구보고서의 사례를 인용하면서 이해하기 쉽게 제시한 것으로 제7장 현장교육연구보고서의 개관에서는 현장교육연구보고서의 의미, 중요성, 유형 등 현장교육연구보고서의 성격에 대하여 다시 총괄적으로 이해시키고 제8장부터 제11장까지는 실천연구보고서, 실험연구보고서, 조사연구보고서, 역사적, 문헌연구보고서의 과정별 절차와 방법을 기발간된 석·박사학위논문과 현장교육연구 논문의 실례를 인용하면서 알기 쉽게 기술하였다. 또한 연구계획서 작성 요령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으로 현장교육연구계획서 및 연구보고서 작성기술 요령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1부 현장교육연구의 본질
제 1장 현장교육연구의 기초
제 2장 현장교육연구의 개관
제 3장 현장교육연구의 역사

제 2부 현장교육연구 진행과정의 탐색
제 4장 현장교육연구의 계획단계
제 5장 현장교육연구의 추진단계
제 6장 현장교육연구의 종결단계

제 3부 현장교육연구계획서·현장교육연구보고서 작성의 실제
제 7장 현장교육연구보고서의 개관
제 8장 실천연구보고서 작성의 실제
제 9장 실험연구보고서 작성의 실제
제10장 조사연구보고서 작성의 실제
제11장 역사적, 문헌연구보고서 작성의 실제

부 록 현장교육연구계획서·현장교육연구보고서 작성기술

저자 소개

■ 고 정 곤(高 正 坤)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등교육학과 졸업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졸업(교육학 석사)
군산교육청 학무과장
전라북도교육청 유아교육담당 장학관
전라북도교육청 초등교직과장
전라북도교육청 초등교육과장
술산·대야·군산서해초등학교장
전라북도 교원연수원,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원연수원 강사
전주교육대학교 강사, 서해대학 겸임교수
현, 서해대학 평생교육원 교수

<저서 및 논문>
도덕교육의 이론과 실제(1972), 한국유아교육의 혁신과제(2002), 초등학교 교육의 이해(공저, 2003)
유·초등연계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2003), 한국 유·초등교육의 과제와 전망(2004)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2004), 유아사회교육(2005)
교육잡지, 일·주간 신문에 논문·논설·교재집필 330여 편 발표
전국교육연구대회 푸른기장증 4회 수상


■ 최 태 식(崔 泰 植)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문학 석사, 교육학 박사, 교육심리 전공)
현, 서해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서해대학 부속 소룡어린이집 명예원장

<저서와 논문>
교육이 이해(공저, 2002), 유아컴퓨터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2003)
초등학교 교육의 이해(공저, 2003), 유·초등연계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2003),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2004), 동화지도의 이론과 실제(2005)
메타인지 훈련이 충동적 아동의 충동성 감소와 유추학습에 미치는 효과(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 태 회(鄭 泰 會)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전공 박사 수료
현, 전주기전대학 유아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