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이 책은 임용고사를 가장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으로 구성되었다.
01. 기출문제 및 해설 : 1,450 문제를 제시하고 해설
이 책에 포함된 1,450개의 기출문제는 16년간 초·중등 임용고사에서 출제된 전체 문제 중, 동일한 형태로 반복된 일부 문제를 제외한 약 98%에 해당하는 문제이다. 또한 모든 기출문제에 모범적인 해설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기출문제 해설집』을 구입·학습해야 하는 수험생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한편, 16년간 출제된 문제를 분석하여 밝혀낸 ‘교육학 출제의 경향성’은 다음과 같다.
반복성, 계열성, 교차성, 교환성, 주기성, 시대성으로 출제되고 있다.
02. Sub-note : 349 개의 서브노트
서브노트는 임용고사를 위해서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교육학의 주요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1번 출제된 내용에서 5번 이상 출제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349 개의 sub-note를 구성하였으나, 최근에 강조되는 이론은 출제 되지 않았지만 포함시켰다.
서브노트를 제시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험생에게 교육학 공부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각 sbu-note는 출제의 빈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학습의 우선순위를 보여준다(출제빈도는 출제의 횟수에 준한다).
둘째, 교육학 문제가 4지 선다형으로 출제되기 때문이다. 선다형 문항이 갖는 특징은 ‘정답은 분명하고, 오답은 그럴 듯하게’출제된다. 따라서 수험생은 각 이론의 ‘핵심 개념’을 명쾌하게 이해하여야 하는데, sub-note는 각 내용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하나의 개념이 시험으로 출제될 때는 유사한 개념이나 반대 개념이 오답지로 출제된다. 따라서 개념과 개념관의 관계를 명료화 해 주기 위해, 하나의 개념과 관련되는 조직화하여 Sub-note로 제시하였다.
03. 예상·적중 문제 : 613 문제
16개 과목에 걸쳐 613개의 예상·적중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 문제들은 기출문제의 계통성 즉, 한 번 출제되면 반드시 심화되어 재 출제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앞에서 밝힌 ‘기출문제의 6가지 출제 경향성’에 비추어, 가장 핵심적인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문제를 구성하였다. 핵심적인 개념을 명쾌하게 이해함으로써, <보기>의 내용을 통해 ‘이해력’과 ‘적용력’을 묻거나, 하나의 이론을 유사한 이론과 관련시켜 묻거나, 그림을 제시하여 핵심 개념을 묻는, 최근의 출제 경향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01장 교육의 기초
제02장 한국교육사
제03장 서양교육사
제04장 교육철학
제05장 교육사회학
제06장 교육심리학
제07장 상담심리학
제08장 생활지도
제09장 제 교육연구
제10장 교육과정
제11장 교육평가
제12장 교육방법
제13장 교육공학
제14장 교육행정
제15장 교사론
제16장 교육통계
저자 소개
■ 최 병 옥
최병옥은 교육학을 전공하고 경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에서 ‘교원임용과사 대비 교육학 특강’을 해 오면서, 교육학 『이론서』와 『문제 풀이』, 『핵심개념』,『논술·면접·수업실기』대비용 교재 등을 만들었다.
현재, 경남대학교에서 ‘교원임용고사 대비 교육학’을 전담 강의하는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ㅣ임용고사 관련 저서ㅣ
임용논술·면접 ·수업실기(2007), 옥교육학:삼위일체(2007)
옥교육학: 기출문제 및 예상적중문제<제2판>(2007), 60일 완성 핵심 교육학 개념(2007)
예비교사를 위한 특수교육학 Ⅰ,Ⅱ,Ⅲ(2006), 한 달만에 교육학 끝내기<제2판>(2006)
교육학 특강 Ⅰ(2005), 13년간 기출문제중심 옥교육학(2004), 12년간 기출문제중심 옥교육학(2003)
ㅣ저서 및 번역서ㅣ
교육학개론(2007),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이해<제2판>(2005), 신교육목표 분류학(2004)
인간교육의 이해(2001), 수업설계의 원리와 모형 적용(2000),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탐구(1998)
교사와 교육과정 설계(1997), 교과통합의 연구(1994)
ㅣ옥교육학의 수험서는 다음의 대학교에서 ‘임용고사 대비 교육학 특강’교재로 활용되고 있다.ㅣ
경남대학교 / 경북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 대구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안동대학교 / 인제대학교 / 진주국제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