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아복지라는 의미가 다소 낯설고, 그 의미가 태아라는 대상에 국한되는 작은 개념을 제시하는 듯하지만 태아복지란 태아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태아의 가정, 더 나아가 태아가 잉태되고 성장할 사회까지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가정을 새롭게 시작하는 가족들, 더 나아가 사회에 태아의 영험함을 인식시키고 태교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소중함을 인식시킴으로써 태아복지의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과연 신이 주신 가장 고귀한 그 선물과 섭리에 감히 인간의 한정된 지식과 기술을 행하여 감히 무엇을 더할 수 있을까. 무엇을 보탠다고 나서야 하는가 하는 의문도 들었다.
어느 광고의 문구처럼 “신이 모든 곳에 함께 할 수 없어 엄마를 만들었다”고 하듯이, 신은 모든 생명에게 모체를 주시었고 그것을 누리게 하시었다. 그러나 엄마가 대신할 수 없을 때, 또는 어느 여성이라도 이토록 위대한 엄마가 되기에 힘에 벅차할 때,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면, 그 때는 사회복지사의 이름을 걸고 나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런 마음으로 이 글을 집필하게 되었다.
태아복지를 행함은 또한 사회복지사로서의 일을 하며 절실하게 느껴온 사회복지의 개입에 있어 늘 아쉬운 사후 개입, 사후약방문격인 실천에 더 나아가 미래를 제시하고 예방을 제시할 수 있는 근원적이고 본래적인 것이다.
모체가 태아에게 근원과 생명의 본을 제공하듯 태아복지는 모든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아니 더 나아가 모든 인간과 인간의 삶에 본래적 방법을 되찾게 해주는 것이다.
복지라는 말이 너무나도 흔히 들려 그 의미조차 식상해지고, 퇴색되어지고 변질되어 요즈음 특별한 실천기술이나 전문 이론 분야로서의 복지의 개념보다는 저자는 넓은 의미의 복지를 생각한다. 누구나 잘 살 수 있고 누구나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그것, 행복하다고 느끼는 이것이 바로 복지이다.
복지의 제도 속에서, 복지라는 명목 하에 누군가가 희생되고 누군가가 고민하고 있다면, 그러한 복지보다는 차라리 가난한 필부가 부잣집 추석에 ‘솔잎대기’를 해주며 쌀 송편을 당당히 나눠 먹는 그러한 안락함과 당당함이 바로 복지라 칭하고 싶다.
‘태아복지’란 바로 그러한 의미에서 중요성이 있다. 어머니인 여성과 태아에게 인간으로서의 참다운 존중과 사랑을 일깨워 주며, 미래를 계획하게 하는 것, 오늘보다는 내일이, 내일보다는 또 그 내일이 더 나을 것이라 희망하며 살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진정한 복지이리라. 이러하기에 태아복지는 바로 진정한 복지의 근원이며, 복지를 실천함에 있어 그 원천이리라.
다소 생소한 ‘태아복지’라는 분야에 있어서 부족하지만 처음 그 의미와 중요성을 제시한 것에 의미를 가지며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지도해 주신 전광현 교수님과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을 비롯한 직원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표한다.
2008년 1월 집필자를 대표하여 신민선
l 차 례 ㅣ
CHAPTER 1 태아복지의 개념
1. 태아복지의 배경 13
2. 태아의 정의 14
3. 영·유아 복지 관련법에서 태아복지 15: 1) 모자 보건법 15 / 2) 모·부자 복지법 16 / 3) 영·유아 보육법 17
4. 태내기의 발달과 복지 18: 1) 발생기 18 / 2) 배아기 19 / 3) 태아기 20
5. 태아의 권리 21: 1) 태아의 권리능력 개관 21 / 2) 태아의 보호방법 22 / 3) 우리 민법의 보호규정 23
CHAPTER 2 태교의 이해
1. 태교의 개념 27
2. 태교에 관한 연구 31
3. 태교의 필요성 35
1) 수정과 태교 39 / 2) 태교의 기본 41 / 3) 낙태로 본 태아 / 42 / 4) 낙태의 실상 44 / 5) 태교의 종류 48
4. 태교의 자세 52
5. 태교의 발달이론 54
1) 심리적 측면 54 / 2) 생리학적 측면 55 / 3) 의학적 측면 56 / 4) 철학, 윤리적 태교 59 / 5) 발달학적 태교 61 / 6) 현대과학을 통해 본 태교 75
CHAPTER 3 태교의 실천유형
1. 태교의 방법 89
1) 음악 태교 89 / 2) 태담 태교 94 / 3) 전통 태교 97 / 4) 학습 태교 99 / 5) 음식 태교 104 / 6) 시각 태교 109 / 7) 유대인들의 생활 속 태교 110 / 8) 태몽과 태교 116 / 9) 태교의 효과 120
2. 각 나라의 태교 122: 1) 한국의 태교 123 / 2) 다른 나라의 태교 130
3. 각 종교의 태교 140
1) 유교의 태교 140 / 2) 불교의 태교 147 / 3) 원불교의 태교 155 / 4) 천도교의 태교 157 / 5) 기독교의 태교 162
CHAPTER 4 태아복지의 전망과 발전과제
1. 태중 환경과 출생 후 성격형성 200
1) 태교를 통한 민족 발전론 200 / 2) 태아와 장애 202 / 3) 유·아동기 정서에 미치는 태중 환경의 영향 207 / 4) 기타 유아의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들 212
2. 태아발달과 부모의 역할 216: 1) 아동발달과 태아복지 216 / 2) 태아와 부모의 역할 218 / 3) 출 산 259
3. 태아복지의 발전과제 266
☞ 부 록 275
1. 문헌 고찰을 통한 태교행위 리스트 277 / 2. 임신 시기별 태교 리스트 279 / 3. 행복한 임신·출산을 위한 20가지 지침 282 / 4. 태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모체의 변화 283
ㅣ 감 수 ㅣ
■ 전 광 현(全光鉉)
日本關西學院大學 大學院 社會福祉學 博士課程 修了
캐나다 크리스챤대학 사회복지학 박사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노인복지학개론(공저, 2007), 사회복지학강의(공저, 2001) 외 다수
ㅣ 저 자 약 력 ㅣ
■ 신 민 선(辛敏善)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안양과학대학 사회복지과 겸임교수
군포시 노인복지회관 관장
<주요 저서 및 논문>
기독교 사회복지의 이해(공저, 2005), 기독교와 아동복지(공저, 2003),
태아교육의 아동복지적 의미 연구(2003) 외 다수
■ 간 호 옥(簡鎬玉)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박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수료
안양과학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사회복지개론(공저, 2006), 사례관리(공저, 2005) 외 다수
■ 김 문 수(金文洙)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벧엘교회 담임목사
<주요 저서 및 논문>: 노인의 성과 상담(2007), 호스피스와 종교적 죽음이해(2006) 외 다수
■ 윤 성 주(尹聖柱)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결혼예비학교 학교장
<주요 저서 및 논문>
성경적인 마음치유(2006), 예수님의 치유방법(2004),성경적 치유상담 엿보기(2001)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