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상담이론과 실제

저자이현림 지음

  • 발행일2008-02-05
  • ISBN978-89-5964-292-2
  • 정가19,000
  • 페이지수418쪽/4*6배변형판

도서 소개

■ 사회가 급속하게 산업화, 도시화되어 감에 따라 학생들은 단순히 학교 교과과정 이수에 관련된 문제뿐만 아니라 학교외적으로도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각급 학교의 학생들이 돌발적으로 체험하게 되는 여러 문제를 학부모나 교사가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담기법이 이용되어야 한다.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인 기법으로는 내담자가 갖고 있는 사연을 표출하도록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내면의 문제가 표출되지 않고는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 상담을 할 수 없는 것이다.

급변하는 우리 사회에서 초·중·고·대학생들, 부모님 및 선생님이 경험하지 못한 문제를 가지고 있을 때, 그 학생을 상담하여 지도할 상담자는 과연 얼마나 될까? 각급 학교의 상담전문가는 양질의 상담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담이론이나 전문적인 기법에 대한 정규 교육과정을 받을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학교를 비롯하여 사회 각 기관에서 전문 상담요원을 요구하지만 공급해 주어야 할 대학이 그 교육프로그램을 충분히 확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저자는 그동안 대학에서 상담학을 강의하면서 우리 사회의 내담자를 위하여 필요한 상담이론과 기법을 간추려 두었다가 한 권의 책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이 대학에서 상담학을 전공하는 학생, 자녀를 둔 부모 및 각종 내담자를 만나는 사회 여러기관에서 활용되는 좋은 참고서가 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2008년 2월 영남대학교 연구실에서 저자 이현림


01 상담의 이해
1. 상담의 의미 / 2. 상담과 심리치료 / 3. 상담목표 / 4. 상담의 기본원리 / 5. 상담과정과 기술

02 상담과 인간발달
1. Erikson의 공헌 / 2. Piaget의 공헌 / 3. Havighurst의 공헌 / 4. Gesell 아동발달연구소의 공헌

03 특성요인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상담의 발전단계 / 3. 상담목표 / 4. 상담관계의 특징 / 5. 상담과정 / 6. 상담기술 / 7. 상담유형 및 특징 / 8. 평가

04 인간중심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상담의 철학적 가정 / 3. 상담의 발전단계 및 특징
4. 상담목표 / 5. 상담과정 / 6. 상담에 있어서의 한계 / 7. 평가

05 정신분석적 상담
1. Freud 이론 / 2. 신 Freud 학파들

06 행동주의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상담의 철학적 가정 / 3. 상담목표 및 과정 / 4. 상담기법 / 5. 평가

07 합리 · 정서 · 행동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상담목표 / 3. 비합리적 신념 유형 / 4. 상담과정 / 5. 상담기법 / 6. 평가

08 의사교류분석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상담목표 / 3. 상담과정 / 4. 상담기법 / 5. 평가

09 현실치료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상담의 기본 전제 / 3. 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 4. 상담절차와 기법 / 5. 평가

10 형태주의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성격이론 / 3. 상담목표 / 4. 상담과정 / 5. 상담기법 / 6. 평가

11 개인심리적 상담
1. 주요 개념 / 2. 상담목표 / 3. 상담과정 / 4. 상담기법 / 5. 평가

12 집단상담
1. 집단상담의 의미와 관련 용어 / 2. 상담목표 / 3. 집단상담의 장·단점
4.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소 / 5. 집단형성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 6. 효과적인 집단지도자 행동
7. 효과적인 집단구성원 행동 / 8. 집단과정의 단계 / 9. 집단상담 방법

13 진로상담
1. 진로상담의 이해 / 2. 진로발달 이론 / 3. 진로선택 이론

14 놀이상담
1. 놀이의 의미 / 2. 놀이의 발달적 측면 / 3. 학교현장에서의 놀이기구 사용 / 4. 장난감 선택과 배치
5. 놀이상담의 목표 / 6. 장난감을 이용한 상담기술 / 7. 다양한 이론의 적용 / 8. 종결 / 9. 운동치료

15 위기상담
1. 위기이론 / 2. 위기의 단계 / 3. 학교에서의 위기상담 / 4. 위기상담의 단계와 개입전략
5. 학교의 위기계획 개발 / 6. 자살을 시도하려는 아동상담 / 7. 사별로 슬픔에 빠진 학생상담 / 8. 아동학대

16 문제관리 상담
1. 상담단계 / 2. 상담단계의 고찰 / 3. 상담 시 고려할 사항

17 상담사례의 이해와 분석
1. 상담사례 연구의 의의 / 2. 상담사례 기록의 필요성 / 3. 상담사례 기록방법
4. 기록 종류 / 5. 상담사례 연구 평가 / 6. 개인상담 사례

ㅣ 부 록 ㅣ
1. 근육이완 기법 / 2. SCHULTZ의 이완요법 / 3. 문장완성검사
4. 자아기능척도 / 5. 욕구강도 프로파일

저자 소개

■ 이 현 림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졸업(박사)
미국 라이더 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졸업(석사)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1972~현재)
(사) 한국상담학회 대표이사(2006. 9~현재), 한국진로상담학회장(2004. 8~현재)
대한기독교상담학회장(2007. 1~현재), 대구시교육청 진로교육협의회 위원(2006. 6~현재)
대구지방노동청 집단상담 프로그램 자문위원회 위원(2005. 12~현재), 요크빌(Yoke Vil.) 장학회장(2003~현재)
한국상담학회장(2004. 8~2006.8),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장(2001. 3~2002. 2)
경상북도 도정자문위원회, 인사위원회 위원 역임
수련감독전문상담사(진로상담, 아동 ·청소년상담, 교정상담, 인간관계상담, 기독교상담)
가정폭력상담사
ㅣ 저 서 ㅣ
진로상담(2007),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2007), 성인학습 및 상담(2판)(2006)
인간발달과 교육(2006), 새교육학개론(2005), 성인학습 및 상담(2003)
현대진로상담(2003), 상담이론과 실제(2000), 진로지도와 상담(2000)
교육심리와 진로지도(2000), 교육학의 이해(2000), 새교육심리학(1996)
상담의 이해(1995), 유아심리학(1983), 교육학의 기초(1978), 아동교육의 이해와 지도(1974)외 15권
ㅣ 논 문 ㅣ
Comprehensive career development program models for assessing the career matur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1988) 외 110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