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도덕과 교육은 1945년 광복 직후부터 이미 실시되기 시작해서 벌써 60여 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지만, 실질적 역사는 독립교과로 채택된 1973년의 제3차 교육과정기부터 시작된다. 본 교과의 역사는 타 교과에 비해 일천하다. 뿐만 아니라 제6차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교과 자체가 소멸될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다. 비록 주당 시수는 줄어들었지만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발전하였고 아울러 아동들의 도덕성 함양에도 상당한 기여를 한 교과이다.
제7차 교육과정 개정 이후부터 각 교과의 수정·보완은 ‘차수’의 개념을 두지 않는 대신 ‘부분 수정’ 혹은 ‘부분 개정’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였으나, 2007년도에 고시된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부분’으로 규정하기에는 너무 벅찬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이번 개정에서는 학교 급별 목표를 별도 설정하였고, 내용도 제7차와는 확연히 다르게 생활 영역별 명칭을 달리하고, 가치 덕목을 생활 영역별로 한정시키지 않고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안에 따르면 본 교과는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도덕 규범과 예절을 익히고,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와 관련된 도덕 문제를 주체적으로 성찰하고 실천하도록 하여 자신의 삶을 바람직하게 영위하도록 하며, 나아가 우리 사회와 세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과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도덕 규범과 예절을 실천하는 습관을 길러 주고, 다양한 도덕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길러 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오늘날 우리 사회는 물질적 발전과 급속한 사회 변화에 상응하는 도덕적·정신적 발전이 요구된다. 특히, 급격한 다원화와 정보화 추세에 따라 이념갈등·가치갈등·세대갈등 등의 문제들이 심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개인들의 가치관 혼란 및 사회 분열 양상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도덕과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개인의 가치관 확립과 우리 사회의 공통적인 도덕적 가치 기반의 공고화를 중심 과제로 삼고 있다.
우리 사회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고도로 발달하고, 이를 토대로 창의적 지식이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되는 지식기반사회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학습 형태는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및 적시형 학습으로 바뀌게 되고, 전통적인 학교 제도 또한 많은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도덕과 교육이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과 나름대로의 존재 이유, 즉 정체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동안 우리의 도덕·윤리과 교육은 교육과정과 교육주체라는 두 측면에서 자폐성, 망라성 기준에 따라 검토했을 때, 전반적인 문제점을 태생적으로 안고 있었다. 자폐성의 기준에서 볼 때, 다양한 인접 학문들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을 뿐 이를 유기적으로 통합시킬 이론적 토대가 없었다. 그리고 망라성의 기준으로는, 외형상 다양한 요소를 망라한 것 같으면서도 정작 중심적 이론 없이 교과의 목표, 내용, 방법, 대상 등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자폐성과 망라성 결여로 인해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교과목 자체 존립의 위기까지 치닫는 지경에 이르렀었다.
도덕은 생활의 부수적인 관심사가 아니라 삶의 근본 요청이며, 성숙한 사회의 기본 토대라는 인식은 우리 저자들이 공유하는 확고한 신념이다. 따라서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도덕교육은 교과교육으로서 도덕과 교육이며, 학교 교육에서 아동들로 하여금 인간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의 함양, 인간과 사회의 도덕적 갈등 해결과 합리적 문제해결 방안, 지성적이고 성숙한 삶의 방식에 관한 길을 탐색하게 하는 전형적인 교과이다. 도덕과 교육은 ‘도덕과 교육답게’ 가르쳐야 하고, 여러 교과 활동을 통해 다루어지는 다양한 가치들을 도덕교과를 통해 의미 있는 인격으로 통합될 수 있다.
저자들의 이러한 믿음에서 출발하고 있는 본서는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도덕과 교육의 중요성, 특히 도덕과 교육, 도덕성, 윤리와 관련된 개념 정립을 확고히 하는 것을 비롯하여, 동양 윤리에서는 유(儒)·불(佛)·노(老)·장(莊) 사상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서양 윤리 사상으로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의 윤리학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이어 서양 윤리학의 사고 방식으로는 규범윤리학적 사유, 메타 윤리학적 사유, 그리고 실천 윤리학적 사유를 소개하면서, 서양 윤리학의 주요 이론을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 이어 피아제와 콜버그, 길리간, 나딩스 등의 학자들이 주장한 도덕 발달론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도덕심리학의 배경 이론들인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이론, 인본주의 심리학을 다루었으며, 서양 도덕교육의 선구자인 뒤르껭의 도덕교육론을 살핀 후, 현대 도덕교육 이론의 중심을 이루는 인격 교육론과 덕 교육론을 논구(論究)하였다. 제1부의 후반부에서는 최근 관심사로 떠오른 도덕교육과 통일교육 간의 긴밀성, 인권교육에 관해 심층적 논의를 하고 있다,
제2부는 도덕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와 초등학교 현장에서 도덕과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과 학습 자료 개발과 활용, 평가 방안을 다루고 있다. 교과로서의 도덕과 교육과정 및 바른 생활과 지도의 실제에서는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개관하고, 아울러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현행 교육과정에 이르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소개하였다. 도덕과 교재론을 대범주로 묶어 그 안에 『교사용 지도서』, 『도덕』, 『생활의 길잡이』 등의 구성과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도덕과 교수-학습의 설계와 수업 분석 방법론을 기술하고 있다.
도덕과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개념 분석 수업 모형, 가치 분석 수업 모형, 가치 갈등 수업 모형, 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 배려 수업 모형과 도덕 이야기 수업 모형, 역할 놀이 수업 모형과 봉사 활동 수업 모형을 포함시켜 그에 관한 지도안 작성법과 수업의 실제까지 다루고 있다.
도덕과 수업은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상의 도덕과를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지도하는 시간이다. 이 교육은 아동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고 직접적 사물에 접함으로써 아동들이 도덕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사회 발전에 뒤따르는 최신의 자료와 정확한 자료의 동원이 긴요하며 기존의 자료들을 포함한 ICT 활용 능력과 놀이 자료들을 최대한 동원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평가는 학업 성취도 및 도덕적 판단 능력과 실천 의지를 판정하는 자료로써의 의미뿐만 아니라, 아동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 함양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추구해야 한다.
본서는 저자들이 평소 교육대학교 학생들과 도덕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초등학교 현직 교사들에게 도덕교육 관련 강좌를 개설하면서 그들과 함께 도덕교육과 관련된 학문적 이론과 다양한 주제를 강의하며, 논쟁과 토론으로써 함께 고민했던 문제들을 탐색한 것이다. 강의 및 강좌에 열성적으로 참여해 준 학생들과 함께 토론하고 논의에 참여해 준 교사들이 없었다면 본서는 빛을 보지 못하였을 것이다. 도덕교육에 관한 그들의 열정적 관심과 적극적인 문제 제기에 감사하며, 대학과 학교 현장에서 도덕교육에 관한 향연이 더욱 더 활성화되기를 우리 저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항상 투박한 원고를 세련된 모습으로 정련해 주고, 쫓기는 일정에도 불구하고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준 양서원의 박철용 회장님과 강철원 전무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09. 2. 저자 일동
ㅣ 차 례 ㅣ
제1부 도덕과 교육의 이론
제1장 교과교육으로서 도덕과 교육
제1절 도덕과 교육의 학문적 배경
1.교과교육학의 의미와 조건 / 2.도덕과 교육학의 의미와 구조 / 3.도덕과 교육학의 학문적 근거
제2절 도덕과 교육학의 현실적 배경
1.문화적 배경 / 2.사회 통합을 위한 이념적 배경 / 3.세계화 속의 정체성 / 4.통일된 민족공동체 건설
제3절 도덕교육 일반과 도덕과 교육
1.도덕교육 일반과 도덕과 교육 / 2.교과 교육과정으로서 도덕교육 / 3.독립 교과로의 필요성과 미래 전망
제2장 도덕, 윤리 및 도덕성의 개념
제1절 도덕의 개념과 의미: 1.도덕의 개념 / 2.도덕 규범의 유형
제2절 도덕성의 개념
1.도덕 판단과 합리적 추론 능력으로서 도덕성 / 2.덕목과 규범의 내면화로서 도덕성 / 3.죄책감의 형성으로서 도덕성 / 4.통합적 도덕성
제3장 동양 윤리관과 도덕교육
제1절 유학사상과 도덕교육: 1.유가, 유학, 유교 / 2.기본 사상과 역사적 전개 / 3.도덕교육적 관심
제2절 불교사상과 도덕교육: 1.기본성격 / 2.사성제 팔정도 / 3.도덕교육적 관심
제3절 도교사상과 도덕교육: 1.도교, 도가, 노장사상 / 2.기본 사상과 역사적 전개 / 3.도덕교육적 관심
제4장 서양 윤리관과 도덕교육
제1절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도덕적 사고
1.소크라테스와 도덕적 사고 / 2.플라톤과 도덕적 사고 / 3.아리스토텔레스와 도덕적 사고
제2절 윤리학적 사유와 윤리학의 주요 이론: 1.윤리학적 사고 유형 / 2.윤리학의 주요 이론
제5장 도덕과 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제1절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제2절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론과 정의 공동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