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여성학의 이해

저자도미향·채경선 공저

  • 발행일2008-02-15
  • ISBN978-89-5964-288-5
  • 정가15,000
  • 페이지수320쪽/크라운판

도서 소개

■ 현대사회가 추구하고 만들고자 하는 사회는 특정 계층이나 집단, 특정 성(性)만을 위한 사회가 아니라, 우리 모두 다함께 더불어 잘 사는 사회입니다. 더불어 잘 살기 위해서는 소외되었던 계층과 집단에 대한 돌봄이 필요하리라 봅니다.

어디에선가 본 바대로 사실 주변에 남성복지라든가 ‘남성학’은 흔히 볼 수 있는 학문활동이 아닌데도, ‘여성’이라는 주제는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는 사실 한 가지만으로도, 우리는 이미 무언가 성차가 있음을 시사받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인간의 사회사가 얼마나 남성 중심으로 흘러 왔던가를 짐작하게 되고, 학문이 중립적이라고 생각해 왔지만 얼마나 남성 지향적이었던가를 새삼스럽게 깨닫게 됩니다. 다시 말해 남성에 관해서는 구태여 따로 연구하지 않아도 될 만큼 모든 인문․사회과학이 그동안 남성 중심의 성향을 띠어 왔고, 따라서 여성에 관한 연구를 하지 않고서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돌봄을 시도하지 않고서는 함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어려웠기 때문이리란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여성학과 복지에 대한 시도는 ‘남성에 관한 역차별’이라는 남성들의 주장도 있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의 주장만을 소리높이거나, 차별에 대한 문제를 드러내어 남성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오히려 일부 여성계에서 볼 수 있는 지나친 여성주의적, 평등주의적 시각의 팽배는 성에 대한 고유하고 독특한 특성의 발휘에 입각한 복지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져오게 하지 않나 우려되기도 합니다. 진정한 여성의 이해 혹은 여성복지는 여성이 가지고 있는 소중한 차이를 사회와 문화 속에서 더욱 잘 적용하고 활용함으로써 함께 더불어 살아가고자 함일 것입니다. 이 과정 속에 여성의 소중한 독특성이 눌리고 억압되어진 것에 대해 고찰하게 되고 함께 더불어 살기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졌으며 또한 소외된 모습들에 눈을 돌리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책 역시 더불어 잘 살기 위하여 여성을 이해하고, 여성으로의 주체적인 자각과 함께 여성의 시각에 의해, 여성복지적인 탐구의 결과로 사회 속에서 소외된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의 풍요로운 삶을 모색하고자 하는데서 시작되었습니다. 바라기는 이러한 시작이 단지 여성뿐만 아니라 그 고유한 특성과 삶의 자유가 제한된 계층에 대해 눈을 뜨고 관심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여성의 고유성이 기반이 된 우리의 가족과 사회에 여성의 가치가 드러나기를 기대합니다.

이 책은 1장에서 4장까지는 여성과 여성복지에 대한 개론적이고 이론적인 면들을 살펴보고 있으며, 5장에서 11장까지는 여성복지의 실천적인 영역들을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무겁지 않게 여성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복지적인 면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쉽게 엮었습니다. 아무쪼록 계속적인 발전과 연구가 이어지도록 하겠습니다.

끝으로 우리와 늘 함께 하시며 그 사랑을 보여주기 원하시는 하나님 그리고 우리의 가족에 감사함을 드립니다. 또한 매 학기 강의를 들으며 하나님의 나라 확장에 주역을 꿈꾸는 젊은이들과 이 책이 나올 수 있기까지 편집 및 교정의 수고를 아끼지 않으신 양서원 편집부와 박철용 회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2008년 2월 저자 드림

CHAPTER 1 여성과 여성복지개념
1. 여성의 개념과 특성 15
1) 여성의 개념 15 / 2) 여성의 특성 16 / 3) 여성의 성역할 20
2. 여성복지의 개념 21

CHAPTER 2 여성복지발달 25
1. 서구 여성복지의 발달 27
1) 서구 여성복지의 흐름 27 / 2) 여성복지의 국제적 쟁점들 36
2. 우리나라 여성복지의 발달 38
1) 1960년대 39 / 2) 1970년대 39 / 3) 1980년대 40 / 4) 1990년대 42 / 5) 2000년대 44

CHAPTER 3 여성복지정책 47
1. 여성복지정책의 개념 49
1) 여성정책과 여성복지정책의 개념 49 / 2) 여성복지를 위한 국제협력 51
3) 여성복지정책의 현황 51 / 4) 저출산과 여성복지정책 54
2. 여성복지관계법 62
3. 여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와 유형 64
1) 여성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64 / 2) 여성복지서비스의 유형 65


CHAPTER 4 여성복지실천 73
1. 여성주의적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75
2. 여성복지실천의 개입 76
1) 기존의 복지실천 개입 준거 76 / 2) 기존의 복지실천에 대한 비판 77
3. 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 79
4. 여성주의적 실천의 기법 81
1) 의식향상 81 / 2) 자기주장훈련 83 / 3) 임파워먼트 85

CHAPTER 5 미혼모여성 89
1. 미혼모여성의 개념 91
2. 미혼모여성의 현황 92
1) 미혼모의 사회인구학적 요인들 92 / 2) 미혼모여성 임신의 이유 94
3) 미혼모여성 아동의 수 95 / 4) 미혼모여성 아동의 입양 95
3. 미혼모여성의 발생원인과 문제 96
1) 미혼모여성의 발생원인 96 / 2) 미혼모여성의 문제 101
4. 미혼모여성을 위한 대책 105
1) 외국 미혼모여성 복지서비스 105 / 2) 우리나라 미혼모여성 관련법 106 / 3) 우리나라 미혼모여성 복지서비스 107
5. 미혼모여성을 위한 과제 109
1) 미혼모의 학업지속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 110 / 2) 미혼모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법적 제도의 합리화 110
3) 새로운 성문화 조성 111 / 4)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111

CHAPTER 6 성폭력여성 113
1. 성폭력의 개념 115
1) 성적 괴롭힘 115 / 2) 성희롱 116 / 3) 성추행 117 / 4) 성폭행 117 / 5) 성폭력 117
2. 성폭력의 원인과 현황 119
1) 성폭력여성의 발생원인 119 / 2) 성폭력의 유형 120 / 3) 성폭력의 현황 121
3. 성폭력특별법의 내용 124
1) 성폭력특별법의 제정목적과 의의 124 / 2) 성폭력특별법의 구조와 주요 내용 126
4. 성폭력여성을 위한 지원체제 128
1) 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단계별 지원 128 / 2) 성폭력서비스 전달체계 131
3) 성폭력관련 행정조직 137 / 4) 성폭력관련 서비스 종사자 139
5. 성폭력여성을 위한 대책 141

CHAPTER 7 가정폭력여성 145
1. 가정폭력여성의 개념 147
2. 가정폭력여성의 발생원인 147
1) 심리적 접근 관점 148 / 2) 사회심리적 접근 관점 150
3) 생물·심리·사회적 접근 관점 152 / 4) 사회문화적 접근 관점 153
3. 가정폭력여성의 문제와 현황 154
1) 가정폭력여성의 문제 154 / 2) 가정폭력여성의 현황 156
4. 가정폭력여성의 유형 158
1) 신체적 학대 158 / 2) 성적 학대 159 / 3) 정서적 학대 160
5. 가정폭력여성을 위한 대책 162
1) 가정폭력여성의 복지 현황 162 / 2) 가정폭력여성을 위한 대책 167

CHAPTER 8 이혼여성 169
1. 이혼의 개념과 유형 171
1) 이혼의 개념 171 / 2) 이혼의 유형 172
2. 이혼 증가의 사회적 배경 173
1) 이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173 / 2) 여성의 지위 향상과 경제적 자립 173
3) 결혼에 대한 의미 변화 174 / 4) 자녀 수의 감소 174
5) 법제도의 변화 174 / 6) 남녀 성역할의 변화 175
3. 이혼여성의 현황 175
1) 이혼의 추이 175 / 2) 이혼사유별 이혼 176 / 3) 연령별 이혼 추이 177 / 4) 이혼여성이 겪는 문제점 177
4. 이혼여성을 위한 복지 현황 182
1) 이혼가족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의 현황 182 / 2) 법률부조 187 / 3) 심리적 지원 상담소 187
5. 외국의 이혼여성정책과 실천 현황 188
1) 독 일 188 / 2) 미 국 189 / 3) 스웨덴 191 / 4) 영 국 192
6. 이혼여성을 위한 대책과 과제 192
1) 사회의식적 차원 192 / 2) 법제도의 개선 192
3) 사회적 지원체계 차원 193 /4) 이혼관련 법률과 한부모역할 관련 법적 문제 195
5) 이혼 후 부모역할 지침-Clapp의 ‘이혼 후 부모역할을 위한 가이드’ 196

CHAPTER 9 장애인여성 199
1. 장애인의 개념 201
1) 세계보건기구의 장애 정의 201 / 2) 우리나라의 장애 개념 204
2. 장애인여성의 현황과 실태 206
1) 장애인의 일반 현황 206 / 2) 장애 유형별․성별 추정 장애인 수 및 등록장애인 수 206
3) 장애 및 장애인가구 출현율 207 / 4) 재가장애인의 사회적 특성 209
5) 재가장애인의 경제적 특성 213
3. 장애인여성의 문제 216
1) 장애인여성의 문제유형 216 / 2) 장애인여성 문제의 보편성과 특수성 221
4. 장애인여성을 위한 대책 225
1) 인식의 개선 225 / 2) 법·제도의 대책 226 / 3) 학대로부터의 보호 230 / 4) 장애인여성의 역량 강화 231
5) 관련 단체 및 협력체계의 활성화 231 / 6) 장애인여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연구 실시 232

CHAPTER 10 노인여성 233
1. 노인의 개념 235
2. 노인여성의 현황과 문제 236
1) 노인여성 문제의 특성 236 / 2) 노인여성 문제에 대한 이론적 관점 239 /3) 노인여성 문제의 현황 242
3. 노인여성을 위한 복지 현황 252
1)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정책법률 252 / 2) 사회적 서비스 254 / 3) 노인의 수발과 여성의 복지 255
4. 노인여성을 위한 대책 256
1) 노인복지정책의 과제 256 / 2) 노인여성복지를 위한 방안 259

CHAPTER 11 맞벌이여성 263
1. 맞벌이여성의 개념과 형성과정 265
1) 맞벌이여성의 개념 265 / 2) 맞벌이여성의 형성과정 266
2. 맞벌이여성의 현황과 문제 267
1) 맞벌이여성의 현황 267 / 2) 맞벌3

저자 소개

■ 도 미 향

영남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및 동대학원(가족학 전공)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졸업(아동복지학 박사)
현)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한국가족복지학회 회장, 남서울대 건강가정지원센터 소장, 평택시 보육정보센터 소장
SBS TV ‘긴급출동 SOS 24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 솔루션위원회 자문위원
ㅣ 저 서 ㅣ
가족문제해결 핸드북(공역, 2007), 아동복지론(공저, 2006),
청소년복지론(공저, 2005), 가족복지론(공저, 2005),
성폭력 전문상담(공저, 2004), 계부모의 아이들(공저, 2004),
선택! 새로운 가족(공저,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공저, 2003),
여성복지(공저, 2001), 현대가족복지론(공저, 1998), 사회복지와 보육사업(1999)
외 다수

■ 채 경 선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졸업(아동복지학 박사)
서울신학대학교 상담센터 수석연구원
현) 숙명여자대학교 및 남서울대학교 강사
ㅣ 논 문 ㅣ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리더십에 대한 연구(2004)영아기 부모교육사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2006)기독교 부모의 자기성장을 기반으로 한 부모역할 증진 프로그램 개발(2006)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