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교육공학의 탐구

저자권성호

  • 발행일2011-03-05
  • ISBN978-89-5964-714-9
  • 정가19,000
  • 페이지수400쪽
  • 사이즈4*6배 변형판

도서 소개

이 책의 처음과 끝을 지켜 주신 하나님께 온전한 감사를 드린다.

교육공학이란 학문을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이유는 머물러 있지 않고 끊임없이 발전해 가며, 인간 중심으로 문제해결에 앞장서는 학문의 ‘창의적’,‘헌신적’ 특징 때문일 것이다. 연구하고 가르치며 지내온 짧지 않은 시간들은 언제나 기쁨과 도전을 주었고, 교육공학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과 애정이 매듭을 지어 『교육공학의 탐구』의 3판을 내게 되었다.

『교육공학의 탐구』가 1998년 출판되고 개정판이 2002년에 나온 이후 저자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분들이 읽어 주고, 관심을 가져 주었다. 빠르게 변하는 학문의 세계에 쫓아가지 못하는 부족함과 더 교육공학 관련 분야가 소개되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8년 만에 3판을 출판하게 되었다. 그러나 모든 내용을 새롭게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첫째는 교육공학 관련 용어들의 기본 개념이 계속 바뀌고 있으며, 둘째는 주요 관심 연구영역의 우선순위가 달라지고 있으며, 셋째는 인접 관련 학문분야와의 연계가 더욱 다양화된 것이다. 즉,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에서의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인간 중심의 미래 사회가 등장하고 있다. 미래 사회는 기술 일변도의 사회에서 고도의 기술과 인간성 회복을 함께 지향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인간관계의 확장을 가능하게 했으며, 면대면으로 이루어지던 교육상황을 속도, 범위, 정보량 등에서 혁명적으로 변화시켰다. 문제는 급변하게 발전하는 디지털기술이 인간화교육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이 교육의 근본 목적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바람직하게 인간화 교육을 돕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의 1부에서는 교육공학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것으로, 교육공학은 무엇이며 무엇이어야 하는가, 교육공학은 어떠한 역사적 발달과정과 이론적 배경을 갖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세 개의 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2부에서는 교육공학의 체계적 접근에 관한 것으로, 교육공학연구영역의 기초가 되는 교수설계에 대한 개념적 이해, 이론적 기초 그리고 구성요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교수설계 모형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차이는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세 개의 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3부에서는 교육공학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 매체의 개념과 선택, 그리고 방송, 멀티미디어 학습자료의 제작와 활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미디어 교육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에 대한 해답을 다섯 개의 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4부에서는 교육공학의 교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면대면 학습, 협동학습, 개별화 수업,문제중심학습은 어떤 것이며, 절차와 준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교육공학 학습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자원정보센터’는 무엇인가에 대한 다섯 개의 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5부는 3판에서 새롭게 마련된 것으로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에 관한 것이다. 웹 2.0과 e-러닝의 특징과 활용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가? 모바일 학습의 특징과 활용사례는 어떤 것이 있으며, 모바일 교재의 유형과 설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웹 3.0과 스마트 러닝의 특징은 무엇인가? 유비쿼터스 학습의 특징과 사례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통섭의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네 개의 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본 3판 개정서는 5부로 늘려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을 첨가하여 다양한 사례와 함께 중요부분을 다루면서 빠르게 변하는 교육공학 분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이 교육공학을 학문으로 배우고자 하는 학생, 유비쿼터스 교육 환경에서 새로운 교육방법을 찾고 있는 교사, 각계의 교육 담당자, 그리고 최근 기독교교육현장에 교육공학을 적용시키기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고, 교육공학은 계속 발전하고 있으므로 조언과 협조를 받아 가며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다. 언제나 그렇듯이 결실을 맺기까지에는 주위의 도움이 컸다. 신뢰와 사랑으로 늘 기도해 주는 마음의 벗들, 학문의 벗들에게 감사한다. 그리고 3판을 꾸미는 데 함께해 준 오현숙, 이정은, 김성미 양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출판을 맡아 주신 양서원 직원 여러분에게도 감사드리며, 언제나 말없이 따듯한 사랑의 마음으로 격려해 주시는 가족 분들게 감사드린다.

2011년 3월 권성호


ㅣ 차 례 ㅣ

제1부 교육공학의 이론적 배경
제1장 교육공학의 이해
1.인간, 교육, 사회 / 2.공학에 대한 이해 / 3.교육과 공학의 관계 / 4.교육공학의 세 가지 의미 / 5.교육공학의 연구영역

제2장 교육공학의 발달
1.초창기 / 2.시각교육 / 3.시청각교육 / 4.시청각 교육통신 / 5.교수공학 / 6.교육공학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1.행동주의 이론 / 2.인지이론 / 3.구성주의 이론 / 4.체제이론 / 5.커뮤니케이션 / 6.매체이론

제2부 교육공학의 체계적 접근
제4장 교수설계의 이해
1.교수설계의 의미 / 2.교수설계의 이론적 기초 / 3.교수설계의 구성요소 / 4.체제적 교수설계

제5장 교수설계 이론
1.가네-브리그스의 아홉 가지 수업사태 / 2.메릴의 내용요소 전시이론 / 3.롸이겔루스의 정교화 이론 / 4.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제6장 교수설계 모형
1.ADDIE 모형 / 2.딕과 케리 모형 / 3.켐프 모형 / 4.켈러 모형

제3부 교육공학에서의 교수매체
제7장 교수매체의 특성
1.매체의 개념 / 2.매체의 기능 / 3.매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8장 교수매체의 활용과 제작
1.체계적인 매체 활용 / 2.영상디자인 원리 / 3.사진자료 / 4.디지털 영상자료 / 5.디지털 영상자료의 활용 / 6.컴퓨터 프레젠테이션 자료

제9장 교육방송
1.교육방송의 개념 및 기능 / 2.TV를 통한 교육의 기능 / 3.방송자료의 제작 / 4.교육방송의 활용 및 평가 / 5.뉴미디어로서의 교육방송: IPTV

제10장 디지털 복합 매체 개발
1.디지털 복합 매체 설계기법 / 2.디지털 복합 매체 설계기법 / 3.디지털 복합 매체의 교육적 할용

제11장 미디어 교육
1.개념 및 필요성 / 2.목적 및 내용 / 3.이론적 배경 / 4.미디어 교육의 실태 / 5.TV리터러시 교육 / 6.컴퓨터 리트러시 교육 / 7.정보통신기술활용 교육 / 8.디지털 리터러시

제4부 교육공학의 교수방법 및 활용
제12장 면대면 학습
1.강의법 / 2.소집단 수업

제13장 협동학습
1.협동학습의 특징 / 2.협동학습의 유형

제14장 개별화 수업
1.개별화 수업과정 / 2.자기 주도적 학습

제15장 문제중심학습
1.문제중심학습의 특징 / 2.문제중심학습의 수업 진행방식

제16장 학습자원정보센터
1.센터의 필요성 / 2.센터의 기능 및 요원 / 3.센터의 조직과 운영 / 4.센터의 시설 / 5.교수-학습센터

제5부 유비쿼터스 교육환경
제17장 웹 2.0과 e-러닝
1.웹 2.0의 특징 / 2.e-러닝의 개념과 특징 / 3.e-러닝의 활용

제18장 m-러닝과 활용
1.m-러닝의 개념 / 2.m-러닝의 모바일 교재 / 3.m-러닝의 유형과 설계 . 4.m-러닝 콘텐츠의 활용방안

제19장 웹 3.0과 스마트러닝
1.웹 3.0의 특징 / 2.스마트러닝의 특징

제20장 u-러닝가 활용
1.u-러닝의 개념 / 2.u-러닝의 특징 / 3.미래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의 가능성과 비전 / 4.u-러닝과 통섭

저자 소개

■ 권 성 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공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University of Washington 교육공학 박사
호주 Central Queensland University 연구 교수
한국교육공학회 회장
교육정보미디어 학회 회장 역임
현, 한양대 교육공학과 교수
한양대 교육공학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교육공학원론(1990, 양서원)
-하드웨어는 부드럽게, 소프트웨어는 단단하게(2002, 양서원)
-교육공학적 관점에 따른 미디어교육의 이론과 실제(2005, 한울아카데미)
-교육공학연구의 동향(2006, 교육과학사)

【주요 논문】
-u-러닝 효과성 연구
-u-러닝 로드맵 연구
-휴대폰 기반 모바일 영어고재 설계원리 탐색
-IPTV를 통한 사교육비 절감 효과분석
-사이버가정학습효과성연구
-유비쿼터스 시대의 융복합 교양 교육과정 모델 개발: 읽기, 쓰기, 말하기를 중심으로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프락시스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을 위한 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Design Lifelong Education with e-learning: A Korea Case Study
-The Effects of the Internal Argumentation Levels and the External Script Support Strategies on Argumentation Competence in CSCL
-Explor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Analyzing Cases of Foreign Engineering Education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