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건강가정론

저자김희성,나용선,김충식,박경아,박미은

  • 발행일2011-07-20
  • ISBN978-89-5964-782-8
  • 정가17,000
  • 페이지수364쪽
  • 사이즈4*6배판

도서 소개

현대사회는 전문가의 시대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실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가 양성‧배출되고 있을 뿐 아니라 특별히 전문가의 역할이 필요하지 않았던 영역에까지 그 범위가 넓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문가의 개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이 가정과 관련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후기 산업사회 이전의 가정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면 가정은 여성의 영역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후기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가정 또한 그 기능 및 형태가 변화되었으며, 더불어 가정 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사적 영역이었던 가정이 이제는 주요 담론 영역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가정생활에 지원하는 ‘건강가정 기본법’이 2003년 12월 국회를 통과하여, 2004년 2월 제정되고 2005년 1월 1일 시행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건강한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그와 더불어 여러 가지 가족지원정책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문제가정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건강가정기본법은 법 제1조에서 설명하였듯이,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국민의 권리 및 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을 강구하며 가족구성원의 복지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강화함으로써 건강가정 구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서에서는 건강가정기본법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건강가정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이론적인 배경을 설명하였을 뿐 아니라, 실질적인 서비스의 내용 및 정책,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소개하였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건강가정 사업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부, 1, 2장에서는 일반적인 가정에 대한 정의 및 현대 가족의 변화와 가족의 현대적인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건강가정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정리하였다.
2부에서는 가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건강가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3부에서는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제정 배경 및 이념과 문제점, 개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건강가정정책을 살펴보았다.
4부에서는 건강가정을 만들어 가기 위한 실질적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전반적인 운영체계 및 기능을 알아봄과 동시에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질적인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건강가정사가 되기 위한 자격제도와 현장실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5부에서는 건강가정사업 실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으로서 필드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소개하고 있으며, 건강가정사업을 위한 실천과정을 설명하였다.
6부에서는 건강가정사업의 실제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지역사회에서 건강가정사업을 위한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건강가정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7부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가족에 대한 건강가정사업의 구체적인 내용과 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은 1부 김희성, 2부 박미은, 3~4부, 5부 10,12장 박경아, 5부 11장, 6부 김충식, 7부 나용선 교수 순으로 집필에 참여하였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가족의 기초를 견고히 하고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건강가정기본법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공동 저서가 갖는 취약점에 의해 용어나 문장의 전개 등에서 아쉬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수정·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리는 바이다.
끝으로 촉박한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출판을 맡아주신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과 편집부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1년 저자일동.


l 차 례 l

1부. 건강가정의 개념
제1장 가족의 이해
1.가족, 가정의 정의 / 2.가족의 이해 / 3.현대 가족의 변화

제2장 건강가정의 이해
1.건강가정의 개념 / 2.건강가정의 특징 / 3.건강가정에 관한 논의 / 4.가족에 대한 신념

2부. 건강가정의 이론적 접근 및 연구동향
제3장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1.가족체계이론 / 2.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 3.가족발달 이론 / 4.여권주의 이론 / 5.교환이론

제4장 건강가정에 대한 연구동향
1.건강가정 연구의 필요성 / 2.건강가정 연구의 동향

3부. 건강가정사업의 범규 및 정책
제5장 건강가정기본법
1.건강가정기본법의 제정배경 / 2.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 / 3.건강가정기본법의 구성체계 / 4.건강가정기본법의 문제점 / 5.건강가정기본법의 개정 필요성

제6장 건강가정정책
1.건강가정정책의 개념 / 2.가족정책의 범위 및 전달체계 / 3.외국의 건강가정정책 / 4.한국 건강가정정책의 과제

4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
제7장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1.건강가정 전달체계의 구성원칙 / 2.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 / 3.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구축

제8장 건강가정사의 정의와 역할
1.건강가정사의 정의 / 2.건강가정사의 역할

제9장 건강가정사의 자격 및 현장실습
1.건강가정사의 자격 / 2.건강가정현장실습 / 3.건강가정현장실습의 운영

5부. 건강가정사업 실천 분야
제10장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1.가족지원서비스 / 2.가족중심 서비스 / 3.가족치료

제11장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
1.문제파악 및 접수 / 2.계획 / 3.서비스 제공 / 4.평가 및 피드백

제12장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
1.면담 기술 / 2.의사소통 기술 / 3.관계 기술 / 4.부모역할훈련 기술

6부. 건강가정사업의 실제
제13장 건강가정사업의 실천 프로그램
1.가족의 건강성 / 2.가족의 건강성 증진사업 / 3.건강가정지원센터

제14장 지역사회 네트워크와 건강가정사업
1.지역사회 자원과 건강가정지원사업 / 2.지역사회 자원과의 네트워크의 중요성 / 3.지역사회 자원의 유형 / 4.지역사회 자원의 실제

제15장 전문적 건강가정지원 프로그램의 실제
1.아이돌보미 지원사업 / 2.가족봉사단 ‘행복 나누미’ 운영 / 3.찾아가는 아버지학교 / 4.노년기 교육 ‘행복플로스 실버학교’ / 5.가족문제해결을 위한 상담 / 6.이혼 전‧후 가족상담 / 7.다문화 가정 사회적응력 UP! / 8.청소년 리더심A+ / 9.일탈청소년 교정 프로그램 / 10.찾아가는 심리치료

7부. 분야별 건강가정사업의 이해
제16장 이혼가족
1.이혼의 정의 / 2.이혼의 원인 / 3.이혼의 실태 / 4.이혼가정의 대안 및 지원 프로그램

제17장 한부모가족
1.한부모가정의 정의 / 2.한부모가정의 원인 및 실태 / 3.한부모가정의 대안 및 지원 프로그램

제18장 조손가족
1.조손가족의 정의 / 2.조손가족의 원인 및 실태 / 3.조손가족의 대안 및 지원 프로그램

제19장 다문화가족
1.다문화가정의 정의 / 2.다문화가정의 유형 및 실태 / 3.다문화가정의 대안 및 지원 프로그램

부록
부록1. 가족치료를 위한 가족변인 측정척도
부록2. 건강가정기본법
부록3. 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현황

저자 소개

■ 김 희 성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명지전문대학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 나 용 선

명지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명지전문대학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김 충 식

명지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Adamson University 교육학 박사(사회복지전공)
현)양천구 건강가정지원센터장, 명지대학교/명지전문대학 강사

■ 박 경 아

상명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상명대학교 행정학 박사(사회복지 전공)
현)명지전문대학, 안산공과대학 강사

■ 박 미 은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