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고전을 여는 한국교육사

저자정세화, 이은송

  • 발행일2011-09-05
  • ISBN978-89-5964-825-2
  • 정가17,000
  • 페이지수352쪽
  • 사이즈4*6배판

도서 소개

고전은 지식의 보고다. 어떤 학문 영역에 있어서나 오랜 시간의 경과 속에도 매몰되지 않고 살아남은 고전들은 사상의 원류를 이루며 인류를 지혜의 빛으로 인도한다. 한국 교육사상사의 연구 영역에 있어서도 교육고전은 바로 지식의 보고이며 한국교육정신의 원천이다.

최근에 한국교육사상가의 발굴이나 연구가 광범하게 이루어지고 주요 고전들의 한글화 작업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한국교육사상의 역사를 직접 고전을 통하여 체계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망라되어 있거나 정리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지난 1997년 『한국교육고전의 이해』가 출간되었다. 대학에서 한국교육의 사상적 맥락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교육고전을 연대순으로 정리하였다. 즉,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에 이르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사상적 길잡이가 되었던 주요 고전들을 발췌하여 번역문과 원문을 함께 제시하였던 것이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지났지만, 교육고전을 통한 한국교육사상과 한국교육사를 이해하고자 하는 갈증은 충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넘쳐나는 지식과 정보 속에서 대학생들은 공부하고 있지만, 한국교육고전에 대한 지식은 여전히 접하기 쉽지 않다. 이에 본 저서는 1997년에 출간되었던 『한국교육고전의 이해』의 교육고전에 두 편의 교육고전을 추가하였고, 대학의 교육사 강의에서 한국교육사의 교재로서도 학생들이 쉽게 접 할 수 있도록 한국교육사 서술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우선, 교육고전의 16편의 선정기준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는 불교와 유교가 공존하면서 교육사상을 주도하였으므로 양대 교육사조를 대표하는 교육고전을 3편 선정하였다.
둘째, 조선시대는 성리학이 교육사조의 주류를 이룬 시대이다. 조선 전기는 이철학(理哲學)이 지배적이었던 데 비해 후기는 기철학(氣哲學)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선정된 고전들은 이러한 시대적 특색을 대표하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기존의 한국교육사상사 연구서들이 여성교육을 배제해 온 데 반하여 본 저서에서는 여성교육의 교재나 사상서를 포함하였다. 이것은 역사 속에 실재했던 사실을 여성과 관련된 것이라 하여 소외시킬 수 없다는 신념에 의한다.
넷째, 대한제국기의 대표적 고전으로 『서유견문』을 선정한 이유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한문혼용체로서의 문서적 가치도 있지만, 근대적 국민교육에 대한 아이디어를 최초로 소개한 고전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번역서가 일본어에 기초한 한자어를 오역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교육사상과 한국교육사에 관한 서술 의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대의 고전이 저술될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독자들이 교육고전을 이해하도록 그 시대의 사회상과 교육제도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에 기초로서 요구되는 한국교육사의 기초지식을 가능한 한 충실하게 서술하고자 하였다.
셋째, 한국교육사상과 한국교육사상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근대와 현대의 한국교육고전을 간략하게나마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1997년 『한국교육고전의 이해』의 집필 당시 도움을 주었던 이은송 선생과 함께 두 고전을 추가하고 한국교육사 서술을 수정하여 새로운 『고전을 여는 한국교육사』란 책으로 출간될 수 있게 되었다. 이 저서가 나오기까지 고전 원문을 재점검해 준 김미령 선생과 고전관련 사진을 찾고 또 일러스트를 그려 주신 최민지 선생의 노고가 컸음을 밝혀둔다.

또한 사제(師弟) 간의 학문적 성과를 책으로 남길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신 양서원 출판그룹 박철용 회장님과 직원들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

2011년 9월 저자 정세화‧이은송


l 차 례 l

제1장 고대 교육
1.고조선시대 교육
1)단군신화 / 2)홍익인간의 이념과 팔조금법

2.삼국시대의 교육
1)고구려의 태학과 경당 / 2)백제의 교육 / 3)신라의 화랑도교육과 불교 / 4)통일신라의 학교 설립과 인재양성 / 5)한국 고대 교육사상의 특징

3.교육고전
1)원효 / 2)설총 / 3)최치원

제2장고려시대 교육
1.고려 전기의 교육
1)교육 진흥과 국자감 / 2)사학의 발달 / 3)향교와 서당 / 4)과거와 교육

2.고려 후기의 교육
1)교육제도의 재정비 / 2)성리학 수용

3.교육고전
1)지눌 / 2)안향

제3장 조선 전기의 교육
1.관학의 정비와 유학 장려
1)성균관의 법제화 / 2)학당과 향교 / 3)과거의 실시와 교육

2.사림의 성장과 서원의 성립
1)백록동학규와 서원 / 2)서원의 성립과 발전

3.향악과 서당의 교육적 기능
1)향약의 지방민 교화 / 2)서당의 교육 / 3)조선 성리학의 교육적 특징

4.교육고전
1)권근 / 2)소혜왕후 / 3)박세무 / 4)이황 / 5)이이

제4장 조선 후기의 교육
1.실학의 등장
1)실학의 등장 배경 / 2)실학의 발전과 교육개혁론 / 3)실학의 교육사상적 의의

2.학문의 장려와 규장각의 설립
1)영‧정조기의 학문 장려 / 2)규장각의 설립

3.서학의 유입과 조선 지식인의 대응
1)서학의 도입과 천주교의 전파 / 2)동학의 출현 / 3)개항과 위정척사 사상의 고조

4.조선 후기 교육의 특징: 성리학 교육의 한계와 새로운 교육에로의 지향

5.교육고전
1)임윤지당 / 2)홍대용 / 3)이덕무 / 4)정약용 / 5)최한기

제5장 대한제국기의 교육
1.개항으로부터 개화기까지의 교육 현실
2.근대적 학제의 도입
3.사학의 발전과 교육구국운동
4.교육고전 : 1)유길준

부 록
1.한국교육사 연보
2.임용고시를 위한 교육사 특강 자료

저자 소개

■ 정 세 화(鄭世華)

【학력】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 졸업(교육철학 전공)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에서 교유학 박사학위 취득
미국 남가주대학교,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연구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학과장, 교육학과장, 대학원 여성학과장, 한국여성연구소장,
이화여자대학교 부속중‧고등학교장
한국여성학회장,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장
한국여성개발원장 엮임
【저서 및 논문】
교육철학(공역, 1962), 교육원리(공저, 1965)
한국여성근대교육(1972), 교육철학의 구조주의적 접근(1981)
성차의 형성과정(공역, 1983), 동서교육사상 비교연구(1984)
한국교육철학의 연구동향과 과제(1987)
천원 오천석의 인간관의 교육학적 의의(1993)
한국여성교육이념연구(1994)
교육철학의 기철학적 원리(1996)
한국교육의 사상적 이해(공저, 1997)
한국교육교전의 이해(1997)

■ 이 은 송(李垠松)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 졸업(교육철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에서 문학박사 취득
일본쓰쿠바대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박사후기과정(교육기초학)이후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전임강사 및 특임교수
일본쓰쿠바대학 인간총합과학연구과 외국인연구원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 편집위원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에서 시간강사 역임
【저서 및 논문】
조광조의 교학관 연구-교화와 도덕적 수양론의 교육적 분석(1993)
성리학적 교육론의 단서로서의 태극도설(1997)
한국교육의 사상적 이해(공저, 1997)
초기개화파의 근대교육개혁론 연구(1998)
兪吉濬の日本留學にする一考察一朝鮮開化派と福澤諭吉の關係を中心として(2001)
兪吉濬の 『西遊見聞』における敎育論-福澤諭吉の理想的關係を中心として-(2004)
兪吉濬の 『西遊見聞』における社會進化論的傾向-日本の社會進化論との關連を中心として(2006)
유길준의 서유견문의 교육론 구상전사-미국유학을 중심으로(2008)
일본의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연구: 이문화교육에서 다문화공생교육으로(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