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예비교사들이 교직과목인「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쓰인 책이다. 교육행정과 경영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수학습 및 생활지도에 필요한 조건과 환경을 조성하며 교육조직 구성원의 협동적 행위를 극대화하도록 효과적인 지도성을 발휘하는 수단적봉사적 활동이다. 다시 말해, 교육행정과 경영은 교직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 즉 수업과 생활지도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Hoy와 Miskel이 교육행정의 핵심을 학생의 학습과 학업성취를 신장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는 학문으로 규정하고 수업 및 생활지도 등 교육활동에 초점을 두어 집필한 것은 되새겨 보아야 할 점이라고 본다.
이 책은 예비교사들이 교사로서 생활을 할 때 교직 현장의 모습과 실제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 교직의 최근 동향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집필하고자 노력하였다. 장별 내용에 따라 교직 현상과 실제를 제시하거나 최근에 교직에서 운영 중인 정책들(예: 자유학기제)이나 교직실무들(예: 학교교육계획서)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존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책들의 이론들이 오래된 이론들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급적 노력하였다. 기존의 책들에서 소개된 조직이론에서 다루지 않은 조직시민행동, 조직공정성, 조직헌신 등을 다루었고, 일반적으로 소개하는 Maslow의 5단계 욕구단계이론을 넘어서 8단계 욕구단계이론을 제시하였으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한 장을 할애하여 제공하는 것에 해당된다.
셋째, 교사로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조직행동과 관련된 특징과 실제를 탐구하는 데 필요한 조사 도구들을 소개하려고 노력하였다. 교사효능감, 신뢰, 조직공정성, 시민행동, 조직건강, 효과적인 학교 등 여러 조사 도구들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직 현장에서 주로 활용하거나 교직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들(예: SWOT 분석 등)을 소개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은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고 기존 여러 관련 교재들을 참조하면서 저자들의 강의 경험과 저술 의도를 반영하여 총 12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교육행정의 개념과 성격, 교육행정의 원리, 교육행정의 기술, 교육행정이론의 발달을 다루었다. 제2장부터 제6장까지는 교육조직행동, 즉 교육조직의 사회적구조적제도적 맥락 속에서 개인들과 집단들의 행위를 다루었다. 제3장은 학생 및 교사들의 동기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며 어떻게 유발할 수 있는가를 다루었다. 4장은 조직문화, 조직풍토 및 조직건강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5장은 의사소통, 의사결정 및 조직갈등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6장은 교육 리더들이 수행할 수 있는 리더십의 유형과 특징들을 다루었다.
제6장까지의 내용은 교육행정 및 경영의 이론적 특성과 교육조직에서 이루어지는 미시적 특성과 행위들을 다룬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제7장부터는 거시적 수준의 교육행정 및 경영을 다루었다. 제7장은 교육정책의 모형과 과정 및 참여자들을 다루었다. 제8장은 교육기획의 특징과 유형, 과정 및 평가 절차, 기획 방법과 기법 등을 다루었다. 제9장은 교육재정의 성격과 운영 원리 및 구조와 학교 예산 및 회계 등을 다루었다. 제10장은 교육행정의 운영 기반인 교육법과 이를 근간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제도의 특징과 실제를 다루었다. 제11장은 교육공무원으로서의 교원의 양성 및 임용, 교원 운영 체계 및 질관리 체제를 다루었다. 제12장은 교사로서 여러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활용의 의미와 유용성 및 주요 데이터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막상 탈고하고 보니 처음 의도한 것에 비해 미진한 곳이 여러 군데 눈에 띈다. 소홀하게 다루어진 곳은 곧 이어 수정 보완하도록 하겠다. 끝으로 이 책을 발간하도록 묵묵히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은 강철원 부사장님과 직원분들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4년 3월 저자일동
l 차 례 l
Chapter 01 교육행정의 개념과 이론적 발달
1.교육행정의 개념과 성격 / 2.교육행정의 원리 / 3.교육행정의 기술 / 4.교육행정이론의 발달
Chapter 02 교육조직행동(1) : 교육조직의 이론
1.조직행동 / 2.학교조직의 이해 / 3.최근 학교조직의 변화 양상
Chapter 03 교육조직행동(2) : 동기이론
1.학습동기 / 2.직무동기 / 3.종합
Chapter 04 교육조직행동(3) : 조직문화, 조직풍토, 조직건강
1.조직문화 / 2.조직풍토 / 3.조직건강
Chapter 05 교육조직행동(4) : 의사소통, 의사결정, 조직갈등
1.의사소통 / 2.의사결정 / 3.학교 내 의사결정 기구들 / 4.조직갈등
Chapter 06 교육조직행동(5) : 리더십
1.리더십의 개념 / 2.전통적 리더십 이론 / 3.최근의 리더십 이론 / 4.교육조직에서 요구되는 지도자상에 대한 고찰
Chapter 07 교육정책
1.교육정책의 개념과 특성 / 2.교육정책 결정 모형 / 3.교육정책의 결정 과정 / 4.정책분석 / 5.교육정책 참여자 / 6.최근 교육정책
Chapter 08 교육기획
1.교육기획의 개념과 특징 / 2.교육기획의 목적과 기능 / 3.교육기획의 유형 / 4.전략적 기획 / 5.학교교육계획의 과정 / 6.교육기획과 평가 / 7.교육기획의 기법
Chapter 09 교육재정
1.교육재정의 개념 / 2.교육재정의 성격 / 3.교육재정 운영의 원리 / 4.교육재원의 구조 / 5.교육비의 분류 / 6.교육재정의 확보와 배분 / 7.교육예산의 성격 및 종류 / 8.학교예산 및 회계
Chapter 10 교육제도와 교육행정체제
1.교육법 / 2.교육제도 / 3.교육행정체제
Chapter 11 교원인사제도
1.교육공무원으로서의 교원 / 2.교사에 대한 이해 / 3.교원 양성 및 임용 / 4.교원 운용 체계 / 5.교원의 질 관리 체계 / 6.교원단체
Chapter 12 교육 데이터 활용
1.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 2.데이터 활용의 의미와 유용성 / 3.교육 데이터 출처 / 4.교육 관련 데이터 / 5.청소년 데이터
■ 김 규 태
The University of Taxas at Austin, Ph. D
현)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 강 유 정
계명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계명대학교, 경북대학교 강사
■ 강 성 복
서울대학교 대학원 재학
한국교육개발원, 대구시교육청 컨설턴트
현) 서울대림초등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