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오랜 전 세네카가 루킬리우스에게 보낸 편지글에 ‘homines dum docent discunt’라는 구절이 있다. 영어로 ‘men learn while they teach’, 우리말로는 ‘인간은 가르치면서 배운다.’ 정도로 옮길 수 있다. 올해로 7년째 대학 교단에서 ‘교육과정’ 과목을 강의하면서 필자는 그동안 무엇인가를 가르쳤다기보다는 가르치는 과정에서 무엇인가를 배웠다고 고백해야 한다. 필자의 배움의 여정은 여전히 진행형(-ing)이지만, 지난 길을 한 번 되돌아보고 정리하고픈 마음에 다시 서툰 펜을 들었다. 약 2년여의 시행착오 끝에 필자는 지금 여기에 와 있다. 흔히 그러하듯 역량이 모자라고 출판 기일이 임박해서라는 궁색한 변을 늘어놓지만, 부족함과 아쉬움을 느끼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특히 주변에 이름 있는 저자들의 교육과정 책들이 넘고 차는 상황에서 변변치 않은 저자의 새로울 것 없는 책을 다시 세상에 내놓는다는 것이 부끄럽기만 하다. 몽테뉴가 이런 필자의 모습을 보았다면, 아마도 입가에 미소를 머금고 짐짓 훈계했을 성싶다.
우리의 현학적인 선생님들은 여러 책에서 지식을 약탈해 그것을 잠시 입술로 물고 있다가 도로 뱉어내거나 바람에 날려 보낸다. 이러한 어리석음이 지금의 내 경우와 너무나도 닮았다. 내가 책을 쓴답시고 하는 짓이 바로 그러하기 때문이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책들을 기웃거리면서 내 마음에 드는 말들을 긁어모은다. 나는 그것들을 내 안에 저장하기보다는 이 책에 담아 세상에 내놓는다. 사실을 말하자면, 이 책의 내용들은 원래의 장소에서 잠시 빌려왔을 뿐 내 것이 아니다.
2014년 6월 김 성 훈
ㅣ 차 례 ㅣ
Ⅰ 교육과정의 개념
1. 어원적 의미 13
2. 교육과정의 개념 16
Ⅱ 교육과정학의 역사
1. 전통주의 27
1) 프랭클린 보비트(Franklin Bobbitt) / 2) 랄프 타일러(Ralph Tyler)
2. 개념적-경험주의 45
1)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 / 2) 조지 보샴(George Beauchamp)·마우리츠 존슨(Mauritz Johnson)
3. 재개념주의 60
1) 윌리엄 파이너(William Pinar) / 2) 마이클 애플(Michael Apple)
Ⅲ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1. 교육과정학의 도입 83
1) 시작 / 2) 전개 / 3) 변화 / 4) 확산
2.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 93
1) 과도기(1945∼1954) / 2) 제1차 교육과정(1954~1963) / 3) 제2차 교육과정(1963~1973) / 4) 제3차 교육과정(1973~1981) / 5)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 6) 제5차 교육과정(1987~1992) / 7) 제6차 교육과정(1992~1997) / 8) 제7차 교육과정(1997~2007) / 9) 개정 교육과정 시대(2007~현재)
Ⅳ 교육과정의 유형
1. 실천적 구분 117
1) 공식적 교육과정 / 2) 잠재적 교육과정: 기능론적 해석 / 3) 잠재적 교육과정: 갈등론적 해석 / 4) 영 교육과정
2. 이론적 구분 135
1) 교육과정의 다섯 가지 유형 / 2) 교육과정 오리엔테이션 프로파일
Ⅴ 교육과정의 모형
1. 하버마스의 인식론 149
1) 경험-분석적 지식 / 2) 역사-해석적 지식 / 3) 비판-지향적 지식
2. 하버마스의 인식론과 교육과정 개발 모형 155
1) 단선적-전문가 모형 / 2) 순환적 합의 모형 / 3) 대화적 모형
3. 하버마스의 인식론과 교육과정 탐구 모형 161
1) 경험 분석적 탐구 모형 / 2) 상황 해석적 탐구 모형 / 3) 비판 반성적 탐구 모형
4. 하버마스의 인식론과 교육과정 평가 모형 169
1) 목표-수단/공학적 평가 모형 / 2) 상황 해석적 평가 모형 / 3) 비판적 평가 모형
부 록 JCT 논문해설(1979~1983) … 177
저자 소개
■ 김 성 훈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사)
Alberta대학교 대학원 중등교육학과(M.Ed., Ph.D.)
현재,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E-mail: seonghoonkim@Kangw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