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노인인구수의 증가와 함께 사회, 문화, 경제 분야에서 노인의 비중은 점차로 높아질 전망이며 노인이 주도해 나가야 할 부문도 많아질 것이라 예측한다. 노인이 경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나라의 살림이 어려워지게 되며, 노인이 건강을 유지해 주지 못한다면 의료비의 적자를 메우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이러한 추세는 더 강화될 것이다. 더 나아가 노인들이 문화적 측면에서 젊은 세대의 영적리더가 되어 주어야 한다. 어르신들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사회복지사들이 이러한 부문에서 일정 역할을 맡아 주어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론의 교과목이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다. 따라서 노인복지론에서 교수되는 내용은 노인의 부정적 측면을 해결하는 차원에서의 지식과 기술뿐만이 아니라 노인의 긍정적 측면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이 책이 그러한 측면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 것은 사실이나 앞으로 그러한 내용을 더욱 많이 실도록 노력하겠다.
ㅣ 차 례 ㅣ
제 1장 인구의 고령화
제 2장 노화의 주요 측면
제 3장 노화 현상에 대한 기초 이론
제 4장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제 5장 노인복지정책의 기초
제 6장 노인의 소득보장
제 7장 노인과 보건의료
제 8장 주거보장정책
제 9장 노인의 여가 및 교육
제10장 사회복지서비스
제11장 노인에 대한 개별 개입
제12장 사례관리
제13장 노인간호
제14장 노인의 성생활 실상과 과제
제15장 노인과 집단지도
제16장 노인에 대한 지역사회복지 개입
저자 소개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 이 윤 로
텍사스주립대학(오스틴) 사회복지학 박사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교수
● 조 미 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 박사 /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나 용 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수료 / 명지전문대학 사회복지학과 전임강사
● 김 양 이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 /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조교수
● 정 옥 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수료 / 현, 세계사이버대학 사회복지학과장
● 문 영 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수료 / 혜천대학 초빙교수
● 박 정 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 / 가톨릭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 이 문 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 박사 / 삼육대학교 · 수원여자대학 강사
● 최 선 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수료 / 강남대학교 강사
● 이 상 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 조 현 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임상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수료 / 인천갈산종합사회복지관장
● 봉 수 연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수료 / 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연구원
● 심 창 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 한국항공대학교 교양학부 시간강사
● 최 명 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과정 / 평화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연구원
● 권 향 임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 명지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