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불교에서는 땅과 물과 바람으로 이루어진 대우주로 돌아가는 것이 인생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 과정에서 나의 삶이 곧 다른 생명의 삶이요, 삼라만상 모두의 삶이 동일체임을 깨닫는 과정이 곧 수행이라고 설한다. 이것은 현대 대중운동인 공생(Symbiosis)의 문제와 일맥상통한다.
일전에 방한한 틱낱한 스님은 한 장의 종이 안에서 구름과 비와 햇빛과 빵과 나무꾼과 아버지와 어머니를 볼 수 있다고 하였고, 결국 종이는 우리 지각의 일부로 내 마음이라 하였다. 이러한 논리 역시 생명공동체의 중중무진(重重無盡)한 연기(緣起)를 우리에게 알려 주고 있으며, 불교적 생명관과 윤리를 대표한다.
무엇보다 본 서는 생명을 느끼려면 반드시 밖으로 나가야만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고자 시도하였다. 많은 유아교육기관의 현실이 실내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현장학습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우리는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들로 산으로 풀을 보고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외부적 학습도 중요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숨쉬고 노래하는 것처럼 생명은 어느 곳에서든 항상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체득(體得)은 일상적인 교육과정 속에서도 시도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본 서의 핵심이다.
기초 이론편
3월 인연의 소중함
4월 우리 주변의 다른 생명
5월 자연과 우리는 하나
6월 세계 평화(불살생)
7월 생명 순환을 지속시키는 물
8월 생명 가꾸는 분들의 은혜(보은)
9월 땅은 생명의 어머니
10월 우리 모두는 같아요(장애,나이,성별)
11월 우리 모두는 같아요(세계 여러나라,인종,종교)
12월 바람직한 생활습관(생명을 위한 절제)
1월 모두 함께 살아요(보시,이웃,공존공생)
2월 선명상과 기도를 통한 자연교감(바른 생각,바른 몸)
저자 소개
■ 권 은 주(대원)
· 동국대학교 졸업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가정학 석사 및 이학 박사)
· 미국 New York State University 객원교수
· 경주 동국대학교 부설 동국유치원 원장
· 현,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 저서 및 논문 >
저서로는「 불전설화와 유아교육」,「불교아동학개론」,「불교 유아교육 현장 지도자를 위한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어린이들의 불성 발현을 위한 불교 유치원 통합교육활동 프로그램」,「삶의 지혜를 배우는 부처님 이야기」(전8권)등이 있으며, 『불전설와(자타카)의 유아교육적 가치 탐색』,『인간·아동발달에 대한 불교 이론 연구』,『불교와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분석』,『불교 생명존중 사상의 유아교육적 적용』,『생명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탐색』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 강 성 희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졸업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대학원 석사(아동심리 전공)
· 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 구립 미아4동 어린이집 시설장
· 충북대,숙명여대,동아대,동국대 등 강사 역임
· 현, 구립 신당1동 어린이집 시설장
·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외래교수
· 한국아동청소년권리안전센터 이사
< 저서 및 논문 >
저서로는 「영유아기발달」이 있으며,『아동의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적응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의역할』,『학령기 아동의 자기보호』,『안전 실태 및 자기보호에 대한 준비도』,『자기보호 아동의 적용,권리에 대한 아동의 인식』,『불교유치원 교육 프로그램 모델 보건복지부의 영유아 안전보육프로그램』,『삼성어린이개발센터의 보육시설 안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