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유아사회교육은 과거,현재,그리고 미래의 여러 측면을 이해하고 과거에 일어난 역사를 배우므로 현재의 삶과 미래의 삶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려는 노력이다. 또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발달시키고 자신과 가족,이웃,사회와 국가,그리고 세계의 한 구성원으로 공동체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그리고 태도를 학습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사회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책임감 있고 성숙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시민을 길러내는 데 있다.
ㅣ 차 례 ㅣ
제1부 유아사회교육과 사회성 발달
제1장 유아사회교육의 목표 및 내용
제2장 아동발달 연구와 이론
제3장 유아 사회성 발달에 대한 이해
제4장 사회성 발달과 사회환경
제5장 사회성 증진을 위한 접근방법
제2부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구성
제6장 유아사회교육 계획 및 목적
제7장 미래사회에 대히하기 위한 사회교육내용
제8장 유아사회교육의 활동방법
제3부 사회교육활동의 실제
제9장 영아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제
제10장 유아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제
저자 소개
■ 최 석 란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졸업(문학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대학원 졸업 교육학석사(유아교육 전공)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대학원 졸업 철학박사(유아교육 전공)
현재,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아동학 전공 교수
■ 이 경 희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석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문학박사)
현재,재능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및 영유아교육연구소장
■ 이 상 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 전공 졸업(교육학석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문학박사)
현재,안양과학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 정 정 옥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문학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석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문학박사)
현재,호서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 교수 및 부설 어린이집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