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Rousseau는 『Emile』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현재 가지고 있는 잘못괸 관념 아래에서는 가면 갈수록 혼란에 빠진다. 가장 현명한 학자들도 어른이 알아야만 하는 일에만 전념하고 있어서 유아가 어떠한 것을 이해할 수 있는가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언제나 유아 가운데서 어른 (L"homme dans L"enfant)을 구하면서, 유아가 어른이 되기 전에 무엇을 했던가를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이 내가 가장 열심히 연구하려고 한 문제이다.”고 말했다. 이는 Rousseau의 유아중심사상의 중요한 일면이며 어른들의 잘못된 유아관을 지적한 것으로서 마치 어른들이 망원경을 거꾸로 해서 아동을 바라보듯 잘못된 유아관에 대한 일대 도전이다.
유아 속에서 유아를 발견하고, 유아를 유아로서 다루어야 하고, 유아로서 교육해야 한다는 것이 Rousseau의 유아교육의 근본이다. 유아에 대한 어른들의 인위적인 속박이나 가혹한 취급으로부터 유아를 해방시키고 유아를 교육의 중심으로 한 것이 자연주의 교육의 근본이며, 이는 Rousseau의 유아교육이론의 기저이다.
자연의 성장과정, 즉 자연질서에 따른 교육이 Rousseau의 유아교육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Rousseau는 유아의 발달과정을 자연질서에 따라 자연법에 일치하는 각 단계로 구분한 최초의 연구자이다.
Rousseau의 『Emile』에서 밝힌 유아교육 사상은 유아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전환의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는 한 인격적인 존재며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다. 인격적인 존재로서 보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유아중심 교육을 주장한 Rousseau야말로 현대 유아교육의 선구자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유아중심 교육은 Rousseau에 의해서 제창되었다고 보아야 하며, 역사적 Rousseau에 의해서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Dewey가 말했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과도 같은 일대 변혁이 일기 시작한 것은 Rousseau때부터이다.
오늘날의 풍부한 물질환경과 산업사회에서의 정보화사회로의 이행은 핵가족 현상의 심화,부모의 사회활동 증가, 더 나아가서는 가족 해체 현상으로 심각하게 곪아가고 있다. 가족간의 대화 단절, 물질만능, 비인간화로 인해 야기되는 가치관의 혼란은 유아가 올바르게 성장할 환경으로는 부적합하여 유아교육이 우리 시대의 가장 절실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유아가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아교육에 관한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하여 올바른 교육 지표를 세우고자 Rousseau의 『Emile』을 중심으로 한 유아교육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제1장 교육사상의 배경
제2장 교육사상의 지평
제3장 교육사상의 본질
제4장 가정교육론
제5장 교육사상이 현대교육에 미친 영향
저자 소개
■ 김 동 일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교육학 박사)
현, 대구산업정보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 루소,숲 체험 교육원 원장
Home page: www.edu.co.kr/dikim
< 저 서 >
성취 동기 육성, 대학생활의 목표 설계, 유아교육 사상사, 유아교육 철학
손톱 밑의 행복(칼럼), 에밀길라잡이(번역서)
<루소-에밀 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