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교육계획은 학교가 일정 기간 운영할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교육계획을 세우지 않고 학교를 운영하겠다면 이는 설계도 없이 집을 지으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학교에서 학생을 위한 교육을 잘 하려면 그 계획도 그만큼 세밀하게 세워야 한다. 그리고 모든 계획은 실천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계획을 세우려는 노력과 마찬가지로 실천에서도 그 목표를 달성하려는 정성과 노력이 따라야 한다. 더러는 계획은 요란하면서 실천은 용두사미가 되는 일이 없지 않다.
학교경영계획은 초판에 이어 이번에는 판형을 바꾸어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학교경영계획에 포함시킬 수 있는 발전 과제를 추가하였으며 내용 전반을 수정하였다.
학교교육계획론에서는 학교 교육계획에 필요한 기초이론과 발전과제를 제시하고 교육계획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고 그 모형에 따라 교육계획의 기저, 교육목표와 방침의 설정, 학교조직 계획, 교육과정 운영, 교원의 능력 개발, 교육조건 정비 등을 포함하는 교육활동계획 및 교육평가계획 등을 포함하였다. 여기의 내용은 실제 교육계획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였다. 여기에 제시하는 많은 예시는 실제 학교의 교육계획에서 사용되었던 것들이다.
Ⅰ. 학교경영계획의 이론적 기초
Ⅱ. 학교경영의 발전적 과제
Ⅲ. 학교경영계획의 모형
Ⅳ. 학교경영계획의 기저
Ⅴ. 학교의 교육목표 및 방침 설정
Ⅵ. 학교경영조직계획
Ⅶ. 교육활동계획
Ⅷ. 학교평가계획
저자 소개
■ 鄭 泰 範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행정학과 졸업
· 동 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석사)
·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대학원(철학 박사)
· 중앙교육연구소 연구원
· 한국교육개발원 책임연구원
· 충남대학교 문과대학 부교수
· 교육부 편수국장,교직국제국장
· 한국교육학회의 교육행정학회 회장
· 한국교원대학교 교수,교육연구원장,교원연수원장
· 미국 커네티컷 대학교 교환교수
· 한국교원대학교 제1대학 학장, 대학원 원장, 교수부장
·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저서 및 논문>
· 교육행정 교육경영,공저,정민사,1986
· 미국교육의 동향과 한국교육의 방향,교육과학사,1993
· 장학론,교육과학사,1996
· 교육행정학 개정판,양서원,1998
· 학교교육의 구조적 개혁,양서원,1998
· 교육정책분석론,원미사,1999
· 학교경영진단,양서원,2000
· 학교경영론,교육과학사,2000
· 학교경영계획론,개정판,양서원,2001
· 교육의 생산함수 외 다수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