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우리나라에서 아동학이 공식적으로 하나의 독립된 전공으로서 발전하기 시작한 지도 상당한 세월이 흘렀으나 아직도 아동학이라는 전공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비교적 막연하고 상식적인 개념을 가지고 접근하고 있는 것을 자주 접하게 된다. 어찌 보면 섭섭하다고 하겠으나 한편으로는 아동학을 전공하는 전문가들의 노력과 애정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한편, 아동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들이 아동학이라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강의 내용은 담당 교수의 관심분야에 따라 아동발달이 강조되기도 하고 또는 아동교육이나 복지가 강조되기도 하며 또는 가족관계가 강조되기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동학에 대한 교재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하겠다.
이 책은 저자들이 오랫동안 아동학과에 몸담고 있으면서 이러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통감하고 이에 대한 해결을 시도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저술을 시작 할 때에는 각자의 전문적인 세부전공을 살려 아동학이라는 학문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막상 시작하고 보니 앞으로 생각을 모으고 다듬고 토론하며 정리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음을 더욱 깊이 느끼게 된다. 일단은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아동학이나 아동과 관련된 학문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전공교재로 세상에 내 놓기로 결정하였다. 아동학이 포괄적으로 포함해야 할 분야들이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아동복지나 가족관계 등의 영역은 따로 한개의 독립된 장으로 다루지 못하였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그러나 우선은 저자들의 전공 영역을 중심으로 충실하게 아동학을 접근해 나가는 것도 바람직한 길이라는 데에 의견을 모으고 아동학의 중요한 영역이라고 판단되는 아동심리와 아동교육을 몇 개의 주제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제1장 아동학의 학문적 기초
제2장 아동발달의 이해
제3장 아동의 놀이행동
제4장 아동의 또래관계
제5장 유아교육 목적으로서의 창의성 교육
제6장 한국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교육
제7장 아동교육 프로그램
제8장 아동교육과 교사
제9장 아동기의 정신병리
제10장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
저자 소개
◆ 강 문 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졸업(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석사)
캐나다 Manitoba대학교 졸업(교육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교수 / 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교수
◆ 장 연 집
서울여자대학교 졸업(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석사)
프랑스 University Louis-Pasteur,Strabong 대학원 졸업(심리학 박사)
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교수 / 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교수
◆ 문 미 옥
이화여자대학교 졸업(문학사,유아교육전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 문학석사(유아교육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유아교육 전공)
현, 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교수
◆ 최 석 란
이화여자대학교 졸업 (문학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대학원 졸업 교육학석사(유아교육전공)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대학원 졸업 철학석사(유아교육전공)
현, 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교수
◆ 조 은 진
이화여자대학교 졸업(문학사,유아교육전공)
Ohio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졸업 문학서사(유아교육전공)
University of Maryland 대학원 졸업 철학박사(유아교육전공)
현, 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