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2판-
- 황영준 안미화
-
-
ㅣ 2판 머리말 ㅣ
2015년에 「n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초판을 내고 4년의 시간이 지났다. 이후 교직과정을 준비하는 학생 및 현직교사들의 관심과 사랑으로 개정판을 내게 된 것에 대해 감사를 드..
-
-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 유평수
-
-
머리말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것은 국가의 장래에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기에 단순한 직업인을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교직에 대한 사명감을 심어주..
-
- 현대교육행정및교육경영
- 최종진 심은석 박균달 박경수 조호식 노희선
-
- ☞ 1판 1쇄 발행 2016년 8월 30일
| 머리말 |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는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분야의 획기적인 변화로 학문적 범위나 강조점 또한 달라지고 있어,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교재는 부분적..
-
- 교육지도성
- 주현준,김민희,박상완
-
- 지도성은 교육행정학의 핵심 연구 영역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간 수많은 연구를 통해 지도성이 효과적 또는 성공적인 학교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왕성한 연구에도 ..
-
- 교장의 리더십
- 주현준
-
- ■ 리더십은 신비롭고 매력적이다. 그래서인지 리더십을 공부하면 할수록 빠져나올 수 없는 강한 유혹을 느낀다. 리더십이 매력적이고 신비로운 것은 아마도 정해진 답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논문..
-
- 신 교육행정의 이해
- 김수영·전제상 공저
-
- ■ 흔히 21세기 사회는 지식기반사회, 정보 · 기술사회, 국제화사회, 인간존중사회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교육분야에서는 세계 교육 학교(global schooling)시대가 될 것이라는 미래학자들의 예측대로 우리나라에..
-
- 교육경영 총서3 교원교육의 방향과 과제
- 정태범 지음
-
- ■ 건국 이후 한국의 교직사회는 숱한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교직은 한때 우리 사회에서 존경받는 직종이었다. 그러나 지금의 교직은 산업사회의 다른 직종과 마찬가지로 평범한 하나의 직종..
-
- 학교경영계획론
- 정태범 지음
-
- ■ 교육계획은 학교가 일정 기간 운영할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교육계획을 세우지 않고 학교를 운영하겠다면 이는 설계도 없이 집을 지으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학교에서 학생을 위한 교육을 잘 하려..
-
- 교육행정학의 기초
- 김윤섭 지음
-
- ■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교육기관 등에 종사하는 분들이 『교육행정학』을 공부하는 경우 교육행정학의 이론적 기초 부분 즉, 이론의 발달과정이나 학문적 성격, 연구의 접근방법에 대해서는 좀 소홀히 하..
-
-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 진동섭 옮김
-
- ■ “ 교직 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 ” 은 미국 시카고 대학 교육학과 교수인 로티(Dan C. Lortie)의 저서 “ Schoolteacher-A Sociological study ” 를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오래 된 책이다. 1960년대와 70년대 ..
-
- 무단 이메일 수집을 거부합니다.
- 양서원출판그룹회원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지는 타사의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것을 거부하며, 이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2003년 1월 1일 게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