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미술교육에 경험 더하기 1

저자박라미·김윤아 공저

  • 발행일2004-12
  • ISBN89-955998-0-4
  • 정가13,000
  • 페이지수128쪽/국배변형판

도서 소개

■ 그동안 아동의 미술활동은 작품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치부되어 왔으며 아동의 미술작업 과정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를 다시 교육에 반영하는 일은 간과되어 왔다. 시대가 변화되면서 우리는 아동에 대하여 다른 인식을 가져야 되는 요구를 부여받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미술교육에 관련된 모든 이에게 책임감을 요구하며 아동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 보길 희망하는 것이다. 아동을 능동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은 그들의 실천 과정들에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권한 부여는 교사의 주도에서 아동에게 주도를 전이하는 것이다. 이는 아동에게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과 같이 아동에게 미적 안목이 형성될 수 있는 아동 자신의 새로운 구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지금의 교육은 답을 명료하게 전해 주는 교육에 대하여 회의를 가지고 있으며 아동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갈등을 조성하길 희망한다. 이는 학습자인 아동에게 동적인 사고를 위함이며 아동으로 하여금 사고를 통하여 ‘ 앎 ’ 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 앎 ’을 형성하는 아동의 과정은 평형을 위한 능동적인 탐색을 가능하게 하며 능동적인 탐색들은 다측면의 사고를 동반하게 한다. 이는 객관적 지식으로서의 축적이 아니라 자신의 내재적인 구성을 자극하고 이를 통하여 자신의 내면에 화석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아동의 피상적인 경험을 우리는 참된 경험으로 오인하며 그 경험 과정을 교사의 의도와 주도에 의하여 경험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험은 아동이 공감하기 어려우며 당연히 교사의 주도로 흘러갈 수밖에 없다 하겠다. 아동의 경험은 아동의 주도로 아동에게 일어나야 하며 이를 통하여 아동에게 그야말로 ‘ 산 경험 ’ 을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아동의 ‘ 산 경험 ’ 은 교사의 것이 아니라 아동의 것이며 교사는 이러한 아동의 ‘ 산 경험 ’ 을 중히 여길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이러한 미술활동에서 아동의 경험을 관찰 평가할 수 있는 감식안을 가져야 할 것이며 수업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하겠다.

우리는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하여 긍정적인 전망보다는 여러 가지 우려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려를 위한 대안책을 강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이는 교육의 변화들과 무관하지 않다. 미래의 세계는 지금의 학습자인 아동이 주체가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인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그들에게 스치고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활용되는 지식으로, 향유하고 누릴 수 있는 지식으로 남아야 한다. 이를 위한 교육은 아동에게 그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서는 아동의 생활 주변의 문화 속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우호적 관계를 성립할 수 있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아동들과 함께 구성하였으며 교사의 주도가 아니라 아동의 미술활동에서 아동이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것을 중히 여기려 하였다. 교사는 이를 절대적인 개선책으로 이해하여 실천하기보다는 아동의 개별성과 주고나성을 이해하여 각 아동에게 보다 좋은 방향으로 해석되어 실천되길 희망한다. 또한 교사의 의도에 의한 결과나 명료한 결과보다는 아동의 가변성을 인정하고 각기 다른 아동의 표현으로 나타나길 기대한다. 본 서가 아동에게 즐겁고 소중한 경험이 될 수 있는 작은 기회를 선사 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Ⅰ. 들어가며

Ⅱ. 미술을 경험한다는 것

Ⅲ.‘되돌아 봄’을 통해 미술교육에 말하기

Ⅳ. 미래를 준비하려는 미술교육

Ⅴ. 나오며

저자 소개

■ 박 라 미

성신여자대학교 미술교육 석사
영남대학교 교육학 박사 수료
한국조형교육학회,한국미술교육학회,아동미술학회,
한국유아교육학회,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회원
2000~2002,2004,월간유아 미술프로그램 책임 집필
2003~2004,21세기 미술교육 미술프로그램 책임 집필
대구예술대학교 겸임교수
대구카톨릭대학교 디자인 대학원,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출강
해아미술교육연구소장(www.hea-i.co.kr)
<저 서>
·색으로 번지는 아이 생각(미술나라,전12권)
·사랑이 있으면 아이는 감동을 그린다(예경)
·미술재료 다시 보기(다음세대) 외
<논 문>
·신 미술 교육을 위한 비판적 미술활동 및 자기주도 의미부여의 필요성,(한국 조형교육학회,2003)
·소비자시대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한 디자인 교육방안(박라미,안준희,한국교육학회,2003)
·자극을 통한 학습자중심의 다각적 표현을 위한 미술교육프로그램 연구(한국 조형교육학회,2002)외


■ 김 윤 아

영남대학교 조형대학 시각디자인 전공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아동미술디자인 전공
2004 월간유아 미술프로그램 집필위원
해아 미술교육연구소 교육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