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한국 미래를 위한 유아관련 학제 *견본증정불가

저자한국유아교육학회

  • ISBN978-89-5964-202-1
  • 정가17,000
  • 페이지수324쪽/4*6배판

도서 소개

■ 2006년에서부터 2007년 2월 현재까지 학제 개편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행 학제인 6-3-3-4제 학제는 1951년 수립된 이후 반세기가 넘었지만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개편 없이 지속되어 왔으므로 이제는 개편해야 한다는 판단에서이다. 유치원의 경우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12월 31일에 제정된 구 교육법에서부터 이미 초 · 중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법적으로 학교로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교육법에는 학교라고 되어 있으면서도 이의 실행을 위한 정책이 수반되지 않아 실질적인 공교육이 실현되지 못하였다.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무상 공교육의 정착은 국가발전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안이다. 유치원을 기간학제에 포함하여 공교육을 정착하고자 하는 논의는 1987년 교육개혁심의회에서도 있었다. 현재는 교육혁신위원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을 주축으로 유아교육을 기간학제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제개편 논의의 내용으로 제안되는 구체안을 살펴보면 초등입학시기를 만5세로 하향화하자는 안, 만5세만을 별도로 학제에 넣고 초등 유휴교실을 활용하자는 방안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은 유아교육자들에 의한 제안이 아니라 정치적 논리와 경제적 논리의 측면을 가진 입장에서 제안되어진 내용들이다. 이러한 학제 개편안은 유아교육 혹은 유치원교육의 개념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어떤 교육적 특성을 가진 교육인가 하는 본질적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학제를 논하는 것이라는 지적을 아니 할 수 없다.

유아관련 학제 개편의 발전적인 방향 모색을 위해 그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여러 정책토론의 장에서 지금까지 주장하고 논의해 온 내용들 중, 유아교육자들이 논의하고 의사결정해야 할 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학제로서의 유아교육 대상연령은 몇 살이어야 하는가?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앞당기면 전체 교육연한이 짧아지므로 생산성이 확대되어 국가 경쟁력이 커질 것인가? 저출산으로 인한 초등학교 입학생 감소 때문에 초등학교에 비어 있는 교실을 활용하여 5세아 유치반만을 학제화하는 방안은 좋은 안인가?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거의 같은 기능을 하게 되었으나 담당부처가 이원화되어 있어 비효율적으므로 이들 간의 통합이냐 이원체제 고수냐를 놓고 심각한 고민 중이지 않은가? 미래 사회는 어차피 어떤 형태로든 유아교육과 보육 간의 구조의 변화가 예측되는데 이를 외면하고 논의할 것인가? 아니면 이 문제에 대하여 어느 정도까지를 학제 논의에서 다룰 것인가?

유아기는 한 개인의 제반 발달이 결정되는 시기로 질 높은 교육의 필요성은 지대하다. 유아교육은 여성의 사회 진출률 증가 및 사회구조의 변화 등으로 교육기회균등을 실현하기 위해 국가가 공교육으로서 전폭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되었다.

이에 한국유아교육학회는 학제개편 논의에 정당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세계의 유아교육학제에 대한 분석연구와 우리나라 유아학제관련 연구들을 수행하여 유아교육연구지에 쟁점연구로서 3회에 걸쳐 10여 편의 연구물을 발표하였다. 연구된 결과는 모두 학제 개편을 추진하는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혁신위원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등 유관단체와 연구팀에게 제공하여 유아학제 관련한 보고서 작성의 자료로 삼도록 추진하였다. 또한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혁신위원회가 주최하는 모든 학제개편토론회에 발제와 토론을 학회 임원과 학제연구팀이 담당하여 유아관련 학제의 논의의 방향을 유아교육 관점에서 주도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해 왔다.

유아교육연구지에 게제 발표된 학제논문들과 각 토론회에서 발표된 원고들을 정리하여 유아교육제도에 대한 유아교육자의 이해를 돕고자 책으로 출판하기로 하였다.

본 책은 세계 유아교육제도 비교연구, 유아교육정책 등의 강의 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유아교육정책가, 현장전문가들이 유아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2월 한국유아교육학회 회장 문 미 옥


제 1장 한국 미래를 위한 유아관련 학제 개편 방향
제 2장 어린이 삶의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유아교육학제 개편
제 3장 뇌 발달 접근에서 본 유아교육의 방향
제 4장 우리나라 국 · 공립유치원 관련 문헌 및 인식조사에 기초한 바람직한 유아교육학제 개편
제 5장 미국 k-grade 체제의 반성과 변화에 의한 Universal Pre-Kindergarten 체제 전환이 우리나라 유아교육학제에 주는 시사: Kentucky 주를 중심으로
제 6장 유아교육학제 개편 방향성 정립을 위한 프랑스 유아교육제도 이해
제 7장 독일 유아교육 개혁에서의 논쟁
제 8장 스웨덴의 유아교육제도
제 9장 영국의 초등학교 조기 취학을 통해 본 우리나라의 유아교육학제 개편 방향
제10장 유아교육학제 개편을 위한 노르웨이 유아교 · 보육의 고찰
제11장 북한 의무교육제도와 보육제도
제12장 ‘교육기회균등’에서 벗어나 있는 현행 학제

저자 소개

【 한국유아교육학회 】

■ 문 미 옥: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제1장)

■ 조 부 경: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2장, 제4장)

■ 김 영 실: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2장)

■ 신 은 수: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2장, 제5장)

■ 김 유 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제3장)

■ 고 영 미: 순천향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4장)

■ 손 미 령: Morehead State University 교수(제5장)

■ 엄 정 애: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5장)

■ 이 화 도: 대구 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6장)

■ Vergnaud, Gerard(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소장(Directeur de Recherche éemeriteé au CNRS), 파리 5대학 교육학 석좌교수)(제6장)

■ 윤 선 영: 건양대학교 아동보육학과 교수(제7장)

■ Kerber-Ganse, Waltraut: 전 베를린대학교 교수(제7장)

■ 신 동 주: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제8장)

■ Ingrid Engdahl: Stockholm Institute of Education 교수(제8장)

■ 조 성 연: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9장)

■ 김 선 영: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교수(제9장)

■ Donn, Gari: University of Edinburgh,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ociety 교수(제9장)

■ 이 연 승: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10장)

■ 이 민 정: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10장)

■ 안 해 준: 수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제10장)

■ 곽 노 의: 서울교육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제11장)

■ 이 용 자: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제11장)

■ 최 양 미: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제12장)

■ 이 윤 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제1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