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음악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고 아름답게 만들어 주는 선물이자 언어입니다. 음악을 느끼고, 음악에 반응하고, 음악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은 인간에게 부여된 본성과도 같은 것입니다. 하지만 ‘음악’이, ‘음악이라는 교과’가 모두에게 즐거운 경험으로 남아 있지 않는 것은 왜일까요?
예비 유아교사들을 교육하면서 우리는 너무도 다양한 음악적 경험과 너무도 다양한 음악에 대한 생각과 너무도 다양한 요구에 직면해 왔습니다. 어떤 학생들은 수준급으로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을 창작해 낼 수 있는 반면, 어떤 학생들은 악보를 읽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또한 어떤 학생들은 음악을 좋아하고 늘 가까이 하는 반면, 어떤 학생들은 음악시간이나 노래지도가 가장 힘들고 괴로운 과제가 됩니다.
예비교사들이 실습을 나가서나 추후에 교사가 되어서 직면하게 될 유아교육 현장의 교육 환경도 다양합니다. 어떤 유아교육기관은 음악관련 교재 · 교구들이 풍부할 것이고, 어떤 기관은 기본적인 자료들조차 구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유아교사가 음악을 다른 교과와 통합하여 다양한 활동과 내용으로 전개해 나아가고 그것이 또한 바람직한 방향이지만, 일부 기관에서는 음악교사가 별도의 활동을 지도하기도 합니다. 나아가 유아교사들이 담당하게 될 유아들 역시 음악에 대한 경험과 능력의 측면에서 다양합니다.
이러한 다양성을 이해하고 반영하기 위해서는 유아음악교육의 교수 방법과 접근법이 다양하고 융통성이 있어야 합니다. 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에게 단순히 동일한 지식과 방법을 전달하고, 똑같은 교수매체를 만들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아닙니다. 현대 교육에서 교사들은 자신의 지식을 교수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비관적인 사고력을 갖춘 반성적인 실천가가 되어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예비 유아교사들에게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유아에게 적절한 교수 방법뿐만 아니라 유아들의 다양한 요구와 다양한 상황에 대처해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이 책은 시작되었습니다. 또한 교사가 얼마나 피아노를 잘 치고, 노래를 잘 부루고, 틀에 박힌 방법으로 음악을 가르칠 수 있는가보다 얼마나 진정으로 음악을 이해하고 함께하며 즐길 수 있는가에 더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습니다. 저자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인 능력이나 지식에 있어서의 많은 차이도 보다 다양한 유아교사들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됩니다.
교육이란 학생들에게 물고기를 잡아 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 물고기를 잡는 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아교사는 자신만의 교육과정을 만들어 나아갈 수 있고, 교실 안에 음악을 통합시킬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2007년을 맞으며 저자 일동
ㅣ 차 례 ㅣ
PART 1 음악의 기본 개념
PART 2 유아음악 교수 방법
PART 3 유아음악 교육과정과 실제
부록 A CD에 수록된 노래 악보
부록 B 음악과 관련된 유아용 그림책과 CD
저자 소개
■ 김 진 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문학사)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유아교육(M.A.)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유아교육(Ed.M.)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유아교육(Ed.D.)
현, 미국 College of Staten Island,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유아교육과 조교수
■ 엄 정 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문학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문학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부교수
■ 이 승 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문학석사)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유아교육(Ed. D.)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전임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