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관련 학제 개편의 발전적인 방향 모색을 위해 그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여러 정책토론의 장에서 지금까지 주장하고 논의해 온 내용들 중, 유아교육자들이 논의하고 의사결정해야 할 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학제로서의 유아교육 대상연령은 몇 살이어야 하는가?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앞당기면 전체 교육연한이 짧아지므로 생산성이 확대되어 국가 경쟁력이 커질 것인가? 저출산으로 인한 초등학교 입학생 감소 때문에 초등학교에 비어 있는 교실을 활용하여 5세아 유치반만을 학제화하는 방안은 좋은 안인가?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거의 같은 기능을 하게 되었으나 담당부처가 이원화되어 있어 비효율적이므로 이들 간의 통합이냐 이원체제 교수냐를 놓고 심각한 교민 중이지 않은가? 이러한 시점에서 보육시설을 제외한 유치원만을 대상으로 학제 개편 논의를 해야 하는가? 미래 사회는 어차피 어떤 형태로든 유아교육과 보육 간의 구조의 변화가 예측되는데 이를 외면하고 논의할 것인가? 아니면 이 문제에 대하여 어느 정도까지를 학제 논의에서 다룰 것인가?
유아기는 한 개인의 제반 발달이 결정되는 시기로 질 높은 교육의 필요성은 지대하다. 유아교육은 여성의 사회 진출률 증가 및 사회구조의 변화 등으로 교육기회균등을 실현하기 위해 국가가 공교육으로서 전폭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되었다.
이에 한국유아교육학괴는 학제개편 논의에 정당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세계의 유아교육학제에 대한 분석연구와 우리나라 유아학제관련 연구들을 수행하여 유아교육연구지에 쟁점연구로서 3회에 걸쳐 10여 편의 연구물을 발표하였다. 연구된 결과는 모두 학제 개편을 추진하는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혁신위원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 유관단체와 연구팀에게 제공하여 유아학제 관련한 보고서 작서의 자료로 삼도록 추진하였다. 또한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혁신위원회가 주관하는 모든 학제개편토론회에 발제와 토론을 학회 임원과 학제연구팀이 담당하여 유아관련 학제의 논의의 방향을 유아교육 관점에서 주도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해 왔다.
유아교육연구지에 게제 발표된 학제논문들과 각 토론회에서 발표된 원고들을 정리하여 유아교육제도에 대한 유아교육자의 이해를 돕고자 책으로 출판하기로 하였다.
본 책은 세계 유아교육제도 비교연구, 유아교육정책 등의 강의 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유아교육정책가, 현장전문가들이 유아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2월 한국유아교육학회 회장 문 미 옥
제1장 한국 미래를 위한 유아관련 학제 개편 방향
제2장 어린이 삶의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유아교육학제 개편
제3장 뇌 발달 접근에서 본 유아교육의 방향
제4장 우리나라 국 · 공립유치원 관련 문헌 및 인식조사에 기초한 바람직한 유아교육학제 개편
제5장 미국 K-grade 체제의 반성과 변화에 의한 Universal Pre-Kindergarten 체제 전환이 우리나라 유아교육학제에 주는 시사 : Kentucky 주를 중심으로
제6장 유아교육학제 개편 방향성 정립을 위한 프랑스 유아교육제도 이해
제7장 독일 유아교육 개혁에서의 논쟁
제8장 스웨덴의 유아교육제도
제9장 영국의 초등학교 조기 취학을 통해 본 우리나라의 유아교육학제 개편 방향
제10장 유아교육학제 개편을 위한 노르웨이 유아교 · 보육의 고찰
제11장 북한 의무교육제도와 보육제도
제12장 ‘교육기회균등’에서 벗어나 있는 현행 학제
【 저자 : 한국유아교육학회원 】
■ 제1장 저자
문 미 옥 :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 제2장 저자
조 부 경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김 영 실 :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신 은 수 :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제3장 저자
김 유 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제4장 저자
조 부 경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고 영 미 : 순천향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제5장 저자
손 미 령 : Morehead State University 교수
신 은 수 :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엄 정 애 :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제6장 저자
이 화 도 : 대구 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Vergnaud, Gerard :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소장(Directeur de Recherche éemeriteé au CNRS), 파리5대학 교육학 석좌교수
■ 제7장 저자
윤 선 영 : 건양대학교 아동보육학과 교수
Kerber-Ganse, Waltraut : 전 베를린대학교 교수
■ 제8장 저자
신 동 주 :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Ingrid Engdahl : Stockholm Institute of Education 교수
■ 제9장 저자
이 연 승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이 민 정 :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안 혜 준 : 수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 제11장 저자
곽 노 의 : 서울교육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이 용 자 :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 제12장 저자
최 양 미 :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이 윤 진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