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유아교육현장교사의 글을 책으로 엮으며...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에 보편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과목 중의 하나가 "유아사회교육"이다. 이 교과목은 유아가 바람직한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더불어 유아들의 사회생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회적 지식, 가치, 태도 및 사회적 기술을 유아가 학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유아교사가 무엇을,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탐구하고 익히는 과목이다.
그런데, 현행 유치원 교육과정이나 7차 유치원 교육과정, 또는 유아보육기관의 표준보육과정에서 보듯 "사회생활" 영역이나 "사회관계" 영역은 유아의 개인, 가정, 집단생활은 물론 사회현상에 관한 기본개념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에 따라 "유아사회교육"은 유치원 교육과정이나 표준보육과정의 한 영역을 학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유아교육의 총화적 성격을 지니는 교과목이 된다. 그만틈(예비)유아교사에게 이 교과목은 학습범위가 넓고 깊은 한편으로 다른 교과목과 여러 부분에서 중첩되어 관련교재는 그 내용이 아주 세분화되어 있거나 대학교재처럼 모든 영역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유아의 적절한 사회적 성장을 돕는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그런 까닭에 이 책은 일반적인 "유아사회교육" 교재의 형태를 벗어나 유아생활과 밀접히 관련된 사회현상만을 중심으로 단원을 설정하여 과목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즉, 1부의 1장과 2장에서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고, 2부 실제편에서 13개의 사회현상과 관련된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유아들이 기본개념을 형성하고 그와 관련된 가치 및 태도, 그리고 사회적 기술을 익히도록 하는 유아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책을 구성하였다.
한편, 대학교재나 교사용 자료집의 집필과 발간이 주로 대학의 교수들에 의해 주도되어 교육현장감각 반영이 미흡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 책의 집필진은 전원 유아교육 및 보육현장교사로 구성되었다(책의 준비과정이 길어지는 과정에서 대학으로 직을 옮긴 저자도 있지만), 각 주제별로 유아교육현장 감각을 살려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실제 활동을 제시하며, 나아가 탐구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꾸밈으로써 대학의 양성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예비유아교사나 현장의 유아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원고를 엮어 책을 펴내면서 처음의 의도와 기대가 괘 충족되었다는 생각이 들어 의미 있는 작업을 마쳤다는 흐뭇함이 한편으로 여러모로 부족한 부분을 더 보완하여야 했어야 했다는, 또 앞으로 해야 한다는 미안함과 부담이 함께 한다. 현장교사들이 바쁜 현장생활 속에 글을 쓰고 교육활동을 다듬어 계획안을 제시하다 보니 자료 정리에 미흡한 부분이 있는 점도(일부 자료는 출처 확인이 끝내 안됨) 그 중의 하나이다. 글을 쓴 현장교사들과 글을 읽는 교사들이 함께 보완해 가는 계기가 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
모쪼록 유아를 위해 애쓰는 모든 분들에게 유아사회교육과 관련하여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2008년 2월 책을 엮은이
ㅣ 차 례 ㅣ
제 1부 유아사회교육의 이해
제 1장 유아사회교육의 의미와 내용
1.유아사회교육의 정의 / 2.유아사회교육의 필요성 / 3.유아사회교육의 목적
4.유아사회교육의 특성 / 5.유치원 교육과정의 "사회생활"영역 / 6.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 영역
제 2장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1. 교수·학습 지원 / 2.교수·학습활동의 유형 / 3.교수·학습을 바람직한 환경구성
4.교수·학습 모형 / 5.유아사회교육 평가의 목적 및 방법
제 2부 유아사회교육의 실제
제 3장 유아도덕교육
제 4장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
제 5장 유아전통문화교육
제 6장 유아국제이해교육
제 7장 유아인권교육
제 8장 유아양성평등교육
제 9장 유아성교육
제10장 유아경제교육
제11장 유아역사교육
제12장 유아통일교육
제13장 유아다문화교육
제14장 유아환경교육
제15장 유아민주시민교육
저자 소개
ㅣ 엮은이 ㅣ
■ 윤 기 영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학과 교수(ykyoung@seowon.ac.kr)
ㅣ 글쓴이 ㅣ
■ 성 혜 자(제 1장) : 수성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감(hyeja1217@hanmail.net)
■ 김 성 민(제 2장) : 우송정보대학 보육교사 교육원 강사(min1103@hanmail.net)
■ 이 정 분(제 3장) : 세계로어린이집 원장 (happychidjb@hanmail.net)
■ 김 현 식(제 4장) : 소수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kskjk777@hanmail.net)
■ 최 희 숙(제 5장) : 새싹나라유치원 원장, 배재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겸임교수(pinokioyou@hanmail.net)
■ 장 경 숙(제 6장) : 부강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kyunga57@hanmail.net)
■ 박 계 도(제 7장) : 삼산초등학교 교사(dokyepark@hanmail.net)
■ 김 영 주(제 8장) : 수안들어린이집 원장(yshamil@hanmail.net)
■ 류 문 숙(제 9장) : 문의초등학교 도원분교장 병설유치원 교사(rdy79@hanmail.net)
■ 송 배 란(제10장) : 비봉유치원 교사(sbr63@hanmail.net)
■ 허 은 주(제11장) : 큰별어린이집 원장(herj1@hanmail.net)
■ 송 석 희(제12장) : 산성유치원 원장(sose296@hanmail.net)
■ 박 민 자(제 13장) : 삼수초등학교 매산분교장 병설유치원 교장(minja7357@hanmail.net)
■ 손 영 빈(제14장)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학과 강사(lovely9518@hanmail.net)
■ 이 은 희9제15장) : 대전보건대학 유아교육과 교수(have@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