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놀이를 하면서 아이들은 성장한다. 놀이는 아이들의 본성이지만, 어른이 그들을 배려하는 태도를 가지지 않고 어울리면, 아이들은 제대로 놀지 못한다. 현대에는 특히 그러하다.
이 책은 내가 교사가 된 첫날부터 12년 간에 걸쳐 교사로서 당면한 일에 대하여 생각해 온 것을 서술한 것이다.
나는 어린이를 연구하면서 대부분의 장년기를 보냈다. 그 초기에는 20세기 전반에 전성기를 누린 미국 진보주의 교육을 하는 오챠노미즈여자대학(구 동경여자고등사범학교) 부속유치원에서 유아들의 놀이에 매력을 느꼈다. 정해진 교육과정에 따라 움직이지 않고, 아이들의 내부로부터 발생하여 생동감 넘치게 만들어 가는 놀이에서 나는 인간 교육의 원형을 보았다. 동시에 그것을 만들어 나가는 ‘교사의 고민’을 보았다. 나는 심리학자로서 객관적 실증과학의 방법론에 의존하여 그 관계를 밝혀보고 싶다는 생각에 오랜 시간을 투자했으나, 그 시도를 포기해야만 했었다. 유아교육이란 인간과 인간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해 나가는 일이고, 지성과 상상력을 포함한 인간의 모든 것이 결부되어 있는 일이므로 지금 생각해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한편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우리 일본사회는 경제적 고도성장기에 있었으며, 이에 맞추어 지적 조기교육 프로그램이 유행하여 교사들은 과학적으로 효과가 증명된 방법을 응용하는 입장에 있었다. ‘교사의 고민’도 아이들의 놀이도 위험에 처하였다.
나는 학문의 방법론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생각하여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 경위에 관해서는 ‘보육연구 전향의 과정’을 『인간현상으로서의 보육연구』(1974), 쯔모리 마코토 · 혼다 마스꼬 편에 기록하였고, 그 이후 나는 아이들과 어울리는 인간학의 입장에서 사고를 이끌어 왔다.
『어린이학의 시작』(1979), 『보육의 체험과 사색』(1980), 『자아의 싹틈』(1984)은 이러한 입장에 선 나의 유아교육 및 보육론이다. 그 단계마다 나 자신이 교육 현장에 참여해 오긴 하였으나 매일 아이들과 어울려 지내지는 않았다.
1983년에 나는 교육 현장으로 몸을 옮겨서 아이들과 늘 같이 있을 수 있게 되었다. 나의 교육 현장은 2, 3세 유아로부터 12, 13세 아동까지 약 30여 명의 아이들이 있는 작은 사립특수학교(사회복지법인 은장재단 모자애육회 애육양호학교 및 가정지도 그룹)이다. 장애를 가진 아이들도 놀이를 통하여 인간적인 성장을 한다는 점에서는 보통의 여느 아이들과 같다. 교육 및 보육에 있어서 아이들과 어울려 지내는 상호관계는 어느 아이들에게도 공통적이다. 이러한 참여의 과정에 써 둔 것이 『어린이의 세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1987) 및 『보육의 하루와 그 주변』(1989)이다.
나는 매달마다 교육의 현장에서 실천하고, 생각하고, 발견한 것을 월간지 『유아의 교육』(오챠노미즈여자대학 부속 유치원 편집, 프뢰벨관 간행)에 집필해 왔다. 이번에 약 12년여 간의 교육실천과장에서 발표했던 글을 선택하여, 그 내용을 전체적으로 수정하였다. 연대순으로 쭉 훑어보니 2년마다 교사로서 테마가 있었음이 눈에 띄었다. 이에 따라 2년을 하나의 테마로 묶어 이 책의 한 장으로 하였다.
이 책은 모든 아이들을 위해 놀이가 중심이 되는 교육 및 보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긴 세월 동안 품어온 의문에 대한 나 나름대로의 답변이다. 유아교육연구자 뿐만이 아니라 경험이 있는 교사, 처음으로 교사 생활을 하는 사람이나 부모들이 참고로 해 주었으면 한다.
ㅣ 차 례 ㅣ
제1장 교육 현장에 몸을 담고서 -교사 새내기 1, 2년째-
1.아이가 시작한 작은 일에 시선 멈추기 / 2.역동적으로 움직이는 하루 / 3.존재에 대한 의문: 노란 자동차
4.자아실현으로의 과정 / 5.손을 쓰는 일: 열려지는 미래 / 6.학년말에서 새학년으로 옮겨갈 때
7.교사가 정체할 때: 2년째의 위기 / 8.‘기르는’일에 대한 재인식을
제2장 일상의 하루하루 -교사 3, 4년째-
-아이들의 생각을 쫓아서-
1.아이의 세계 속으로(1): 함께 걷기 / 2.아이의 세계 속으로(2): 마주보며 걷기 / 3.존재와 리듬
4.아이와 교사의 자아실현 / 5.언제나 변함없이
제3장 ‘현재’에 충실하며 살기 -교사 5, 6년째-
1.변화의 수용 / 2.아이들 개개인과 사는 현재 / 3.충실한 ‘현재’에서 시작되는 아이들의 성장
4.아이들이 자라는 하루 / 5.아이, 신체적 행위를 통해 인생을 탐구하는 철학자
6.신체의 위기와 더불어 사는 삶 / 7.교육의 전문성과 협력성 / 8.학급
제4장 교육과 더불어 나타나는 발달 -교사 7, 8년째-
1.교육실천 가운데서 이루어지는 ‘발달’
2.소유하는 것과 잃는 것: ‘함께 존재하는 것’에서 ‘함께 성장하는 것’
3.‘안경’에 관한 성찰 / 4.비눗방울과 관련한 대화: 자아실현의 허와 실
5.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성취 / 6.상황을 표현으로 이해하기
7.손으로 더듬어가며 찾는 힘든 하루의 소중함 / 8.밤에 자고 낮에 일어나 있는 동안에 / 9.교사의 능력과 한계
제5장 바람이나 괴로움을 표현하는 놀이 -교사 9, 10년째-
1. 얼굴 / 2.걸어다니기 / 3.다가오는 것을 받아들이기 / 4.과거를 끌어안은 채 전진하는 인간
제6장 교육에서의 지성과 신체의 타성 -교사 11, 12년째-
1.돌아온 놀이 / 2.훈련 / 3.아침 / 4.원점 / 5.교육의 지성: 깊이 있는 상호작용으로
6.신체적 행위이자 지적 행위인 교육 / 7.신체의 타성을 멈추게 하는 힘 / 8.통합교육
9.눈합에 있는 교육의 기본 / 10.짐 / 11.아이와 함께 한 외출 / 12.아이가 꿈꾸는 작은 행복
제7장 교사의 지평
1.마음속 깊이 자리 잡은 시야 / 2.역사의 시야: 우리가 살아온 20세기 / 3.교사의 시야 / 4.장애에 관한 시야
제8장 아이와 함께 크는 교사
1.아이와 함께 크는 교사 / 2.만남 / 3.어울림: 표현과 이해 / 4.현재의 형성 / 5.성찰
저자 소개
ㅣ 저 자 ㅣ
■ 쯔모리 마코토(津守眞)
1926년 동경에서 출생하여, 동경대학 문학부 심리학과를 졸업하였다. 1950년대에 미국 Minnesota대학 아동연구소로 유학하였으며, 1951∼1983년까지 일본국립 오챠노미즈여자대학 아동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3년 대학재임 중 愛育養護學敎 교장으로 옮겨 22년간 교장으로 재직하였고, 2001년에는 일본보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오챠노미즈여자대학 명예교수, 사회복지법인 野菊寮 이사장, 애육양호학교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히로시마 대학에서 수여하는 제15회 페스탈로찌 상을 수상하였으며, 지금도 일본 유아교육 및 보육의 실천적 방향 제시와 정신적 지주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ㅣ 주요저서 및 논문 ㅣ
乳幼兒정신발달진단법(공저, 1961), 인간현상としての보육연구(인간현상으로서의 보육연구, 공저, 1974)
子ども學のはじまり(어린이학의 시작, 1979), 保育の체험と사색(보육의 체험과 사색, 1980)
자아のめばえ(자아의 싹틈, 1984), 子どもの세계をどうみるか(어린이의 세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987)
보육の一日とその周邊(보육의 하룻날과 그 주변, 1989), 보육자の지평(아이와 함께 크는 교사, 박향아 역, 1997)
보육자としての교사 岩彼강좌현대 교육6 교사상 재구策 암피서점(1998)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MEP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1998)
出會いの보육학(만남의 보육학, 2008) 외 다수.
ㅣ 역 자 ㅣ
■ 박 향 아
1980년 일본국립 오챠노미즈여자대학에 유학하여 아동학 석사학위와 1993년 Ph.D를 취득하였다. 유학기간중 애육양호학교 인턴 및 비상勤강사를 지냈으며, 2001년에는 미국 Fairleigh Dickinson 대학 방문교수와 2007년에는 일한문화교류기금의 펠로우십으로 일본복지대학 객원교수로 다녀온 바 있다. 현재는 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다.
ㅣ 주요저서 및 논문 ㅣ
박사학위논문(1993), 十八세기の한국の遊びに관する연구一「사소절」を手がかりとして
비교연구: 일본의 유아교육 현황 및 특색, 한일 유치원교육과정의 비교학적 일고찰, 일본유치원교육개혁의 통사적 접근에 의한 분석, 한국과 일본의 유아교사읠 전래동요에 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등
전통놀이 연구: 子どもの傳承遊びの구조해명に關する기초적연구, 전承遊びの변용과정に關する연구, 전통사회における교육と遊び 등
현대사회의 부모와 자녀(1998, 공저), 평화의 씨앗(1998, UNESCO, Seeds for Peace 역서),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교육활동 지도자료(2000, 2005)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