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표준보육과정에 의한 주간교육계획안

저자전남련·황연옥·강은숙 공저

  • 발행일2009-04-25
  • ISBN978-89-5964-472-8
  • 정가17,000
  • 페이지수248쪽/국배판

도서 소개

■ 영유아보육법 개정(2004)의 핵심내용은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하여 평가 인증제도 실시와 국가 수준의 보편적인 내용 수준을 담을 수 있는 표준보육과정 개발, 보육시설 원장·교사의 국가자격증 제도 실시 등을 들 수 있다. 보육시설의 평가인증제도 실시로 인해 많은 보육시설이 영유아들의 발달에 적합한 실내·외 환경을 구성하고 있으며, 보육시설의 원장·교사의 국가자격증 제도 실시로 종전보다는 교사들의 교육 수준도 더 많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2005년 국가 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개발하여 보급하였으나 아직도 대부분의 보육시설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을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이 복잡하고 유치원 교육과정에 익숙해져 있던 교사들이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갑작스럽게 독자적인 계획안을 짜기가 어렵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교사들이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혼합한 형태의 계획안을 짜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교사들이 대부분 학교에서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학습하지 못하였고 유아교육기관에서 구독하고 있는 월간지들도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을 혼합한 형태의 주간교육계획안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교사들이 혼돈 가운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하여 저자는 보육시설에 종사하는 교사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고자 2008년 부터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들을 중심으로 표준보육과정에 적합한 주간교육계획안 작성기법을 강의하여 왔으며, 제주지역의 원장·교사들을 중심으로 노동부 고용보험 환급과정으로 주간교육계획안 작성방법을 연령별·수준별·주제별로 나누어 지도하고 수정한 내용을 담아 한 권의 책으로 엮어 보았다.

이 책을 접하는 모든 교사들이 이미 짜여진 내용을 그대로 복사하는 수준이 아니라 자신만의 전문성을 살려서 다른 교사들과 차별화된 전략적인 교사가 되어 금그릇처럼 귀하게 쓰임 받기를 기원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질적인, 전문적인 발전을 위하여 ‘표준보육과정에 의한 주간교육계획안 작성기법’의 장을 시간이 허락하는 한 최선을 다해 개최하여 많은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09년 4월 글로벌멘토링 연구소에서 저자 대표 전 남 련


ㅣ 차 례 ㅣ
1장 표준보육과정
1.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1)표준보육과정의 성격 / 2)표준보육과정의 구성체계 / 3)표준보육과정의 개발배경 / 4)표준보육과정의 기본원리 / 5)표준보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 6)표준보육과정의 목표
2. 표준보육과정의 영역: 1)기본생활 / 2)신체운동 / 3)사회관계 / 4)의사소통 / 5)자연탐구 / 6)예술경험
3. 평가: 1)보육과정에 대한 평가 / 2)영유아에 대한 평가

2장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성격
2.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1)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 2)유치원 교육 목적과 목표 / 3)교육과정의 영역과 시간 / 4)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3. 유치원 교육과정의 영역: 1)건강생활 / 2)사회생활 / 3)표현생활 / 4)언어생활 / 5)탐구생활

3장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
1. 성격: 1)표준보육과정의 성격 / 2)유치원 교육과정의 성격 / 3)비교
2. 추구하는 인간상
3. 목표
4. 영역
1)기본생활-사회생활, 건강생활 일부분 포함 / 2)신체운동-건강생활 / 3)사회관계-사회생활 / 4)의사소통-언어생활 / 5)자연탐구-탐구생활 / 6)예술경험-표현생활
5. 평가

4장 영역별 통합교육의 내용
1. 언어 영역 / 2. 수 영역 / 3. 과학 영역 / 4. 사회 영역 / 5. 조형 영역 / 6. 신체운동 영역 / 7. 음률 영역

5장 표준보육과정에 의한 연령별 주간교육 계획안 예시
1. 만 2세 미만 주간교육계획안 / 2. 만 2세 주간교육계획안 / 3. 만 3∼5세 주간교육계획안

저자 소개

■ 전 남 련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졸업(석사), 평택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박사)
전, 백설유치원, 부천시청어린이집, 르호봇어린이집 원장, 부천시/하남시 보육위원
제주한라대학, 제주관광대학, 동남보건대학, 서라벌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 수원여자대학, 평택대학교, 평택대학교 대학원 외래교수
현, 평택대학교 사회교육원 외래교수, 서울시 강동구 보육정책위원, 글로벌멘토링 연구소 소장
< 저 서 >
보육학개론(공저), 보육실습, 아동복지(공저), 보육과정(공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공저), 유아와 상호작용을 통한 프로젝트 접근법(공저), 유아관찰평가의 이론과 실제(공저), 아동행동 연구 및 관찰평가(공저), 유아전통교육(공저), 창의적 신체게임활동(공저), 유아와 함께하는 손유희 모음집,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공저), 영유아보육개론(공저), 유아놀이지도(공저) 외 다수

■ 황 연 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과 졸업(석사)
전, 경원대학교 겸임교수, 서울시 우수시설 평가위원, 서일대학 사회복지과 강사
현, 구립 둔촌어린이집 원장, 유아교육신문 전문위원, 글로벌멘토링 연구회 연구원, 강동구 보육정책위원, 강동구 국·공립 보육시설연합회 회장, 경원대학교 외래교수
< 저 서 > :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공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공저)

■ 강 은 숙

탐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졸업(석사)
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보육정책위원, 제주특별자치도 보육시설연합회 민간분과 위원장
현, 인예어린이집 원장, 제주산업정보대학 강사, 제주산업정보대학 보육교사교육원 강사, 제주특별자치도 보육정책위원, 제주특별자치도 보육정보센터 운영위원, 글로벌멘토링 연구회 연구원
< 저 서 >
유아와 상호작용을 통한 프로젝트 접근법(공저),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공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