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가족과 생활문화

저자송정애·이양훈·정해은 공저

  • 발행일2009-08-30
  • ISBN978-89-5964-515-2
  • 정가17,000
  • 페이지수384쪽/크라운판

도서 소개

■ 최근 들어 가족과 가족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가족을 위한 지원 서비스의 필요성도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건강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2004년 건강가정지원법을 제정하고 지역에는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설치 운영되면서 대학의 관련학과에서 건강가정지원관련 교과목이 개설되기 시작하였다. 건강가정지원관련 교과목은 대부분 건강가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상담, 교육과 관련된 과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가족문화에 대한 과목과 교재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이는 아직까지 가족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고 학문적 뒷받침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건강한 가족을 위한 바람직한 가족문화 조성과 이를 위한 지원이 사회적으로 폭넓게 인정받고 활용되기 위하여는 학문적인 기반과 더불어 현장 활용력을 보다 더 높여야 한다.
가족문화는 크게는 가족학과 문화인류학, 사회학, 사회복지학의 하위 분야로 가족문제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거나 가족이 보다 더 건강하게 성장하기를 희망하는 가족을 대상으로 건강한 가족문화를 형성·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촉진시키는 전문 분야다. 따라서 본 서에서는 다양한 문제로 건강한 가족문화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가족과 건강한 가족문화조성에 관심을 가지고 현장에서 가족문화를 지원하는 실무자와 가족문화와 관련있는 전문가가 되고자 공부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가족문화의 개념과 생활문화의 변화, 세대와 가족문화, 가족문화프로그램 운영기법 등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가족문화에 대한 기본 개념과 기초를 다루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문화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2장에서는 생활문화와 통과의례, 제3장은 세대와 가족문화, 제4장 가족생활과 경제문화, 제5장 가족여가와 공동체문화, 제6장 다양한 가족과 문화, 제7장 건강가정사업과 가족문화, 제8장 가족문화프로그램 기획과 실제, 마지막으로 제9장 새로운 가족문화를 위한 과제를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서가 가족문화의 올바른 소개와 더불어 가족문화와 관련된 실제 운영 프로그램을 보다 더 확대·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제공하고 지역사회복지관이나 건강가정지원센터 등 가족문화 관련기관에서 활동하는 가족문화 관련실무자와 가족문화 전문가가 되고자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가족문화 지도의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본 서가 더욱 알차게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분야의 전문가,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건설적인 의견을 기대하면서 본 서의 집필을 위하여 학기 중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집필에 열중했던 집필진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내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나올 때까지 애써 주신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과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2009년 8월 무더운 여름날 저자 일동


ㅣ 차 례 ㅣ
chapter 01 가족문화란 9
제1절 가족문화의 개념 10: 1. 문화의 의미 10 / 2. 문화와 집단 11 / 3. 가족문화 15
제2절 가족의 가치와 관점 17: 1. 가족의 가치와 이념 17 / 2. 가족을 보는 관점 19

Chapter 02 생활문화와 통과의례 23
제1절 한국의 전통적 생활문화 24: 1. 삼국시대 24 / 2. 고려시대 33 / 3. 조선시대 39
제2절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49
1. 산업화 시대의 등장 49 / 2. 생활문화를 바꾼 이기들 51 / 3.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원리 55
제3절 지식정보사회의 생활 60: 1. 지식정보사회 60 / 2. 지식정보사회의 생활문화 62
제4절 통과의례문화 66: 1. 통과의례문화에 대한 관점 66 / 2. 우리나라의 통과의례문화 67 / 3. 가정생활예절 104

Chapter 03 세대와 가족문화 123
제1절 세대의 구분 및 세대별 특징 124
제2절 세대에 따른 문화의 차이 128: 1. 386세대의 문화 128 / 2. N세대의 문화 132
제3절 가족생활주기와 가족문화 137
1. 가족생활주기와 문화 137 / 2. 청소년 자녀시기 가족문화 139 / 3. 중년기 가족문화 147 / 4. 노년기 가족문화 157

Chapter 04 가족생활과 경제문화 167
제1절 건강한 가족생활문화 168
1. 건강한 가족의 기능 168 / 2. 건강가족의 특성 169 / 3. 건강한 가족생활문화의 구축 170
제2절 가족경제와 문화 175: 1. 가족경제와 역할 변화 176 / 2. 일·가정 양립 기업문화 182 / 3. 가족소비문화 186
제3절 재산 및 상속문화 191

Chapter 05 가족여가와 공동체문화 199
제1절 가족여가문화 200
1. 가족여가문화의 중요성 200 / 2. 가족여가활동과 동기 203 / 3. 가족여가문화의 활동 유형 및 프로그램 209 / 4. 가족여가활성화를 위한 방안 218
제2절 공동체와 가족자원활동 문화 223: 1. 가족과 공동체문화 223 / 2. 가족과 자원활동문화 239

Chapter 06 다양한 가족과 문화 249
제1절 한부모가족과 문화 250
1. 한부모가족의 개념 250 / 2. 한부모가족에 대한 이해 252 / 3. 한부모가족의 역할 253 / 4.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방안 255
제2절 다문화가족과 문화 260
1. 다문화가족의 개념 260 / 2. 한국의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욕구 261 / 3. 한국의 다문화가족 정책과 지원 서비스 267 / 4. 한국의 다문화가족의 실천 과제 270
제3절 조손가족과 문화 273
1. 조손가족의 개념 및 현황 273 / 2. 조손가족의 이해 274 / 3. 조손가족의 역할 276 / 4. 조손가족을 위한 지원 278

Chapter 07 건강가정사업과 가족문화 283
제1절 건강가정사업 특성과 사업내용 284
1. 가족문화의 형성 285 / 2. 건강가정사업의 개념 294 / 3. 건강가정사업의 특성 295 / 4. 건강가정사업의 목적과 기능 297 / 5. 건강가정사업의 세부 내용 299 / 6.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실제 사업 내용 300
제2절 건강가정사업과 가족문화 302
1. 건강가정사업으로서 가족문화 프로그램 303 / 2. 가족문화 프로그램의 유형 304

Chapter 08 가족문화 프로그램 기획과 실제 309
제1절 가족문화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310
1. 가족문화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목적 310 / 2. 가족문화 프로그램의 분류 312
제2절 가족문화 프로그램 모델과 운영과정 315
제3절 가족문화 프로그램의 운영기법 327
1. 가족문화 프로그램 운영 327 / 2. 가족문화 프로그램 운영 시 일반적 고려사항 329 / 3. 가족문화 프로그램 촉진기법 331
제4절 가족문화 프로그램 실제 340

Chapter 09 새로운 가족문화를 위한 과제 351
제1절 새로운 가족문화의 필요성 352
제2절 가족문화와 정책의 현실 353
제3절 새로운 가족문화조성을 위한 과제 356
1. 건강한 가족문화조성을 위한 가족문화전문가 양성배치 356 / 2. 가족문화의 전망과 정책적 제언 358

저자 소개

■ 송 정 애

동국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아동가족학 전공, 이학박사)
파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장 역임
현, 신흥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 주요 저서 > 가족복지론(공저, 2007), 가족상담이론과 실제(2006) 외 다수

■ 이 양 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 우송정보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 주요 저서 > 사회복지법제론(공저, 2009), 사회복지개론(공저, 2004) 외 다수

■ 정 해 은

동국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아동가족학 전공, 가정학박사)
현, 오산대학 아동보육과 교수
< 주요 저서 > 유아예절교육(공저, 2004), 가족복지론(공저, 2007)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