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6쇄 : 2022-02-25
☞ 1판 1쇄 : 2009-08-30
■ 가족의 건강성과 행복을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적인 개입의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면서 전문적인 가정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2004년 2월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되었다. 본 법은 통합적이고 예방적인 가정복지 서비스를 다양한 가족에게 제공함으로써 가족문제를 예방하고 가족의 역량을 강화하여 건강한 가족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가정기본법에서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 필요한 다양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전문인력으로 건강가정사를 명시하고 있다. 건강가정사는 건강가정에 대한 것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건강가정사업 수행을 위한 확고한 가치관을 갖고 효율적인 사업수행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기 위해 관련된 다양한 과목들을 이수해야 한다.
본 서는 건강가정사의 자격취득을 위한 핵심영역의 교과목 중 하나인 가족(정)과 문화에 대한 내용으로서 건강한 가정을 만들어 가는 데 한국의 가정생활문화를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를 통찰함으로써 현주소를 알고, 미래의 가정생활문화를 예측해 봄으로써 미래의 건강하고 새로운 한국의 가정문화를 창조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문화의 개념이 광범위하고 가정생활문화를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집필진들은 1여년간의 많은 논의와 토론을 거치면서 이 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서는 총 5부 13장으로 구성하였다.
1부는 가정생활문화 이해의 기초로서 가정생활문화 전반과 현재 한국의 가정생활문화의 현황을 중심으로 1, 2장을 구성하였다. 1장은 가정생활문화의 이해를 위한 내용으로 전세경 교수가, 2장은 현재 한국사회에 드러난 현대가정생활문화의 현상으로 문영소 박사가 집필하였다.
2부는 삶의 범주별 가정생활문화로서 3장은 의생활문화, 4장은 식생활문화를, 5장은 주생활문화, 6장은 여가생활문화 영역으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3, 4장은 김양희 교수와 김효민 강사가, 5, 6장은 김양희 교수와 백선아 강사가 공동 집필하였다.
3부는 가족생활주기별 가정생활문화로서 7장은 가족형성기의 가정생활문화, 8장은 자녀양육 및 교육기의 가정생활문화, 9장은 자녀청년기의 가정생활문화, 10장은 중·노년기의 가정생활문화에 대해서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김양희 교수, 박정윤 교수와 안진경 강사가 공동집필하였다.
4부는 다양한 가족의 가정생활문화로 구성하여 11장은 결혼이민자가족의 가정생활문화를, 12장은 아시아의 가정생활문화를 알고자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아, 중아아시아의 대표적인 국가의 가족생활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4부는 장온정 박사와 김예리 박사가 공동집필하였다.
끝으로 5부는 가정생활문화의 미래와 전망으로 13장에서는 미래가족생활문화의 전망과 창조로서 변화양상을 예측하고 건강한 가족생활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전망 내용을 전세경 교수가 집필하였다.
본 서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집필진 모두는 가족과 문화와 관련된 전공서적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새로운 시작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발간의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미진하거나 부족한 부분은 계속해서 보충할 것을 다집하면서 출판하게 되었다.
2009년 8월 저자 일동
ㅣ 차 례 ㅣ
제 1부 가정생활문화 이해의 기초
제 1장 가정생활문화의 이해
1. 가정생활문화의 의의
1)가정생활문화의 의미 / 2)가정생활문화 이해의 관점 / 3)가정생활문화와 관련된 몇 가지 기본 개념들
2. 가정생활문화의 특성: 1)역사성 / 2)보편성 / 3)독창성 / 4)다양성
3. 가정생활문화의 형성, 변화, 창조
1)가정생활문화의 형성 / 2)가정생활문화의 변화 / 3)가정생활문화의 창조
4. 가정생활문화의 구성: 1)삶의 범주로 보는 가정생활문화 / 2)가족생활주기로 보는 가정생활문화
제 2장 현대 가정생활문화
1. 의·식·주·소비생활문화
1)새로운 기준의 의복 선택 / 2)달라진 식생활 양식 / 3)사는 것과 사는 곳의 간극 / 4)발품과 손품
2. 관혼상제 의례문화
1)왜곡된 성인식 / 2)조건찾는 배우자 선택 / 3)죽음에 대한 예절 / 4)제사를 통한 소통
3. 가족관계 관련 생활문화의 현상
1)저출산·고령화 / 2)외도와 황혼이혼 / 3)노년기의 축복 / 4)다문화가족 / 5)신조어를 통해 본 가족상 / 6)위험한 유산
제 2부 삶의 범주로 보는 가정생활문화
제 3장 의생활문화
1. 의복과 생활: 1)신체보호의 기능 / 2)표현의 기능
2. 전통 의생활문화: 1)계급과 신분 상징 / 2)예의와 체면 중시
3. 현대 의생활문화
1)의복의 소비 실태 / 2)유행으로 나타나는 공동체의식과 구별의식 / 3)명품 소비 / 4)개성적 의복생활 / 5)의복구매의 변화
제 4장 식생활문화
1. 음식과 생활: 1)건강과 생명 / 2)정서적 만족 / 3)관계지향성
2. 전통 식생활문화
1)건강과 장수를 위한 음식문화 / 2)밥을 중시한 문화 / 3)타액 나눔의 밥상공동체 / 4)이웃과 나누는 잔치문화
3. 현대 식생활문화
1)외식문화의 발달 / 2)패스트푸드의 일상화 / 3)웰빙 음식문화 / 4)음식배달 문화 / 5)세대와 관계가 단절된 식문화 / 6)음주문화
제 5장 주생활문화
1. 주거와 생활: 1)보호와 휴식 / 2)자산 / 3)사회적 관계형성 및 자아표현 매개
2. 전통 주생활문화: 1)가족생활과 공간 / 2)가족관계와 공간
3. 현대 주거문화: 1)공동 주거시설의 증가 / 2)다양한 주거 형태의 출현 / 3)주거 환경의 첨단화
제 6장 여가생활문화
1. 여가와 생활: 1)가족 여가의 기능 / 2)가족 여가활동의 특성 / 3)가족 여가활동의 유형
2. 전통 여가생활문화: 1)농경시대의 여가문화 / 2)계급과 신분에 따른 놀이·여가문화
3. 현대사회의 여가생활문화
1)여가생활문화를 위한 환경조성 / 2)여가생활을 위한 가치관의 변화 / 3)세대별 여가활동의 특징 / 4)새로운 여가생활문화의 대안: 가족자원봉사
제 3부 가족생활주기와 가정생활문화
제 7장 가족형성기 가정생활문화
1. 결혼의 의의
2. 전통결혼문화: 1)특징 / 2)전통결혼의 준비과정 / 3)전통결혼 절차
3. 현대결혼문화: 1)특징 / 2)현대결혼 절차
4. 기타 가정생활문화: 1)신혼여행 / 2)예비부부의 전야의식 / 3)결혼기념일
제 8장 자녀양육 및 교육기 가정생활문화
1. 임신과 출산문화: 1)태교문화 / 2)출산문화
2. 생일문화: 1)전통 생일문화 / 2)현대 생일문화
3. 자녀 교육문화: 1)전통 자녀 교육문화 / 2)현대 자녀 교육문화
4. 기타 가정생활문화: 1)가족단위여가문화 / 2)가족기념일문화 / 3)입학식과 졸업식문화
제 9장 자녀청년기 가정생활문화
1. 성년의례문화: 1)전통 성년식 / 2)현대 성년식
2. 이성교제문화: 1)과거 이성교제 / 2)현대 이성교제
3. 기타 가정생활문화: 1)클럽문화 / 2)공연문화 / 3)인터넷 문화
제10장 중·노년기 가정생활문화
1. 상·제례 문화: 1)전통 상·제례 / 2)현대 상·제례
2. 중·노년기 부양문화: 1)전통 노인부양 문화 / 2)현대 노인부양 문화
3. 중·노년기 여가생활문화: 1)특성 / 2)여가생활의 현황
제 4부 다양한 가족의 가정생활문화
제11장 결혼이민자가족의 가정생활문화
1. 결혼이민자가족의 실태: 1)결혼이민자가족의 발달 배경 / 2)국제결혼의 실태
2. 결혼이민자가족의 가정생활: 1)결혼이민자가족의 결혼문화 / 2)결혼이민자가족의 실태
제12장 아시아의 가정생활문화
1. 동북아시아의 가정생활문화: 중국, 일본: 1)중국의 가정생활문화 / 2)일본의 가정생활문화
2. 동남아시아의 가정생활문화: 베트남, 필리핀: 1)베트남의 가정생활문화 / 2)필리핀의 가정생활문화
3. 중앙아시아의 가정생활문화: 몽골, 우즈베키스탄: 1)몽골의 가정생활문화 / 2)우즈베키스탄의 가정생활문화
제 5부 가정생활문화의 미래와 전망
제13장 미래 가정생활문화의 전망과 창조
1. 미래사회의 지속되는 변화
1)지식정보의 급격한 팽창과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 / 2)탈산업사회와 국제화 / 3)감성과 창의성 중시 / 4)저출산·고령화 현상과 가족의 다양화
2. 가정생활문화의 전망
1)의생활문화의 전망 / 2)식생활문화의 전망 / 3)주생활문화의 전망 / 4)소비, 여가생활문화의 전망 / 5)가족생활문화의 전망
3. 가정생활문화 창조의 방향
1)소통과 교류가 있는 가정생활문화 / 2)생태환경적 사고, 지속가능한 소비를 추구하는 가정생활문화 / 3)나눔과 봉사, 배려가 있는 가정생활문화 / 4)실용과 격식이 균형 있게 유지되는 가정생활문화 / 5)
■ 김 양 희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가정학전공)
현,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교수, 동작구 건강가정지원센터장
< 주요 논문 >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 안정감에 관한 연구” 외 다수
■ 전 세 경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가정교육학전공)
현, 공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
< 주요 논문 > “아동의 ‘집안일’ 수행의 교육적 의의를 통해 본 실과교과에서의 ‘가족의 일’ 교육의 방향에 관한 개념적 연구” 외 다수
■ 문 영 소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가정학전공)
현, 전북 정읍시의회 의원
< 주요 논문 > “건강가정 및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을 기초로 한 실과 교과에서의 가족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외 다수
■ 박 정 윤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가족학전공)
현,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교수
< 주요 논문 > “부모역할 지원정책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외 다수
■ 장 온 정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가족복지전공)
현, 충남 여성정책개발원 비상임연구원,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대우교수
< 주요 논문 > “결혼이민자 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관련 가치관 및 문화적응 태도가 결혼 적응에 미치는 영향” 외 다수
■ 김 예 리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가족복지전공)
현, 동작구 건강가정지원센터, 동작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무국장
< 주요 논문 > “가족생태이론에 기초한 미혼 남녀의 결혼관과 관련변인 연구” 외 다수
■ 김 효 민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수료(가족복지전공)
현,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강사
< 주요 논문 > “가정생활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외 다수
■ 백 선 아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수료(가족복지전공)
현,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강사, 춘천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강사
< 주요 논문 > “결혼이민자가족 관련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외 다수
■ 안 진 경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석박사 통합과정 수료
현, 동작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팀장
< 주요 논문 >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