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그동안 사회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교육학(사회교육), 문화인류학 등을 비롯한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지속되어 왔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1970년대 이후 이른바 사회문제로서 청소년문제가 부각되면서 1990년대부터는 점차 새로운 연구와 정책 그리고 실천 영역으로서 청소년 분야가 형성·발전되어 왔다. 그 후 3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청소년분야는 청소년학이라는 학문적 특성을 가진 독립된 분과학문으로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청소년학이 하나의 학문분야로 발전하게 된 데에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청소년단체 등의 청소년연구(한국청소년연구소, 1985)와 뒤이은 국책 연구기관(한국청소년연구원, 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89)에서의 정책연구 등의 성과와 청소년관련학과 교수들과 연구자들의 학구적 노력, 그리고 청소년관력학회의 적극적인 활동이 바탕이 되었음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다. 1992년 3월에 처음 생긴 청소년관련학과 또는 전공은 2010년 12월 현재 전국 30여 개로 확대되어으며, 1991년 처음 생긴 청소년관련학회는 2010년 창립된 글로벌청소년학회와 한국시민청소년학회 등을 포함하여 6개로 늘어났고 청소년분야 전문 학술지는 7종에 이르고 있다.
청소년관련 학계에서는 청소년학이 분과학문으로 완전히 정립되었다고 평가하지는 않지만, 그동안 청소년과 관련한 학문적인 분야가 외형적인 양적 성장과 연구 여건의 성숙 등을 이루어왔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 실천 현장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왔으며 청소년정책의 변화가 이루어져 왔음도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특히 주목할 점은 청소년을 단순히 신체적 성장이나 연령에 따른 성숙 과정으로 보는 개념에서 사회적·정치적·경제적 사회 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개념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청소년을 새롭게 살펴보려는 학문적 연구 관심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관점이 바뀌면서 이전의 청소년연구와 다른 인식과 접근이 대두되었다. 이른바 자원으로서의 청소년(youth as resource), 성인과 동등한 사회 발전의 동반자라는 인식 변화가 청소년연구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청소년학은 그동안 많은 저술들을 통해 발전되어 왔으며 청소년관련학과와 청소년지도자들을 위한 교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교재들이 이러한 청소년의 개념 변화와 연구 관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글로벌시대, 정보화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의 시대적 흐름을 따라잡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런 인식은 최근 청소년연구 분야에서의 변화를 요구하는 다양한 학술모임에서 제기되어 왔으며, 그러한 결과는 2009년 이후 시민 청소년학회와 글로벌청소년학회의 창립으로 이어져 왔다. 이 책의 필자들은 이러한 시점에서 함게 만나게 되었으며, 지난 30년간의 청소년학과 구별되는 새로운 세대로서의 청소년학, 즉「차세대 청소년학총론」에 대한 생각을 나누게 되었다.
이 책을 함께 저술한 4명의 저자들은 한국에서의 이러한 청소년학의 발전 과정을 1980년대 중반 이후 지켜보았으며, 청소년분야의 이론 탐구와 정책연구, 그리고 실천 현장에서 일한 경험들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또한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영국 등에서 청소년관련학문을 공부하고 연구하였으며 대학의 청소년관련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느 중견학자들이다. 각기 학문적전공 분야가 다르지만 모두 학제적 연구 분야로서의 청소년하이라는 하나의 구심점을 향해 접근함으로써 앞서 말한 새로운 청소년학총론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의 구성은 모든 필자들의 원고를 크게 열다섯 장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에 대한 기초지식을 1장으로 하고 처소년학의 특성 이해와 관련한 것을 제15장으로 하는 흐름을 갖도록 하였다. 제1장 청소년의 이해, 제3장 청소년문제, 제4장 청소년복지, 제5장 청소년인권, 그리고 제12장 청소년참여는 천정웅 교수가 집필했으며, 제2장 청소년문화, 제7장 청소년지도방법, 제11장 청소년정책, 그리고 제15장 한국 청소년학의 지적구조는 김민 교수가 맡아하였다. 또한 제6장 청소년할동, 제9장 청소년개발, 제10장 지역사회 청소년개발은 김진호 교수가 집필하였으며, 제8장 청소년리더십, 제13장 다문화와 청소년시민교육, 제14장 지구시민교육가 국제개발은 박선영 교수가 집필하였다.
집필자들이 기본적인 집필체제를 맞추고 분량 등을 지키려고 노력했지만 각 장별 주제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가 일관성을 갖고록 하기는 쉽지 않았다. 그러에도 이 책은 기존 책에서 다루지 않은 새로운 주제들을 포함하였으며, 유사한 주제들의 경우에도 그 내용에서 최근의 동향과 내용을 반영함은 물론,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고 논의하는 접근을 하였다. 특히, 주제를 논의함에 있어서는 한국적 관점은 물론, 외국에서 보는 관점들도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 국제적으로 비교하였다. 이 책에 새롭게 제시된 주제 영역들은 향후 청소년학의 각론 분야에서 더욱 깊이 있게 연구되리라 기대한다.
이 책은 「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World Academy for Youth Studies: WAYS)」가 기획하는 「차세대 청소년학」시리즈의 첫 번째로 발간된다 . WAYS는 2006년 이후 격년마다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on Youth Studies)」을 개최하고 있으며 국제적 차원의 청소년연구를 위한 지적 공동체로서 활동하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이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는 청소년분야의 기대에 부응하면서 청소년과 관련한 다양한 학제적 전공 분양에서의 이론과 시천 들을 담는 계기를 가짐으로써 한국 청소년학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끝으로 이 책의 발간을 흔쾌히 맡아주신 도서출판사 양서원의 박철용 회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필자들을 대표하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발간사에 대한다.
2010년 12월. 저자대표 천정웅
ㅣ 차 례 ㅣ
제1장 청소년의 이해
Ⅰ.서론
Ⅱ.청소년의 개념
1.어원적 정의 / 2.청소년의 연령 구분
Ⅲ.청소년이해의 차원과 발달적 특성
1.청소년이해의 4가지 차원 / 2.청소년의 발달적 특성
Ⅳ.청소년발달의 제 이론
1.생무학적 이론 / 2.정신분석 이론 / 3.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 4.인지발달 이론 / 5.사회학습 이론 / 6.인본주의 이론 / 7.생태학적 이론
Ⅴ.결론
제2장 청소년문화
Ⅰ.문화연구의 이론적 탐색
1.문화의 정의 / 2.문화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
Ⅱ.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
1.대중문화에 대한 이해 / 2.청소년학에서의 대중문화 연구
Ⅲ.청소년문화에 대한 이해
1.청소년문화를 바라보는 관점 / 2.현대 청소년문화의 특성
제3장 청소년문제
Ⅰ.서론
Ⅱ.청소년문제의 범주
1.청소년문제의 범주 / 2.청소년문제의 개념적 논점들
Ⅲ.청소년문제를 보는 이론적 관점
1.심리학적 원인 / 2.사회구조적 원인론 / 3.사회통제에 초점을 두는 이론 / 4.문화적 일탈 이론 / 5.청소년 사이버일탈
Ⅳ.주요 청소년문제으 이해
1.청소년가출 / 2.청소년자살 / 3.청소년 성문제 / 4.청소년폭력 / 5.청소년 사이버일탈
Ⅴ.결론
제4장 청소년복지
Ⅰ.청소년복지의 개념
1.청소년복지의 정으 / 2.청소년복지의 필요성과 특징
Ⅱ.청소년복지의 시기별 특징
1.청소년복지의 발전과정 / 2.청소년복지의 시기 구분과 특징
Ⅲ.청소년복지의 접근 방법
1.청소년에 대한 3대 접근 방법 / 2.사회복지의 3대 관점과 청소년복지의 접근법 / 3.청소년복지의 적극적 관점: 청소년개발과 강점관점
Ⅵ.청소년복지의 주요내용
제5장 청소년인권
Ⅰ.서론
Ⅱ.인권의 개념, 용어, 범주 및 주요 역사
Ⅲ.유엔아동권리협약의 이해
Ⅳ.한국 아동·청소년인권 현황
Ⅴ.아동·청소년권리교육과 실천활동
Ⅵ.청소년인권 증진과 권리교육의 과제
제6장 청소년활동
Ⅰ.청소년활동의 개념과 특성
1.청소년활동의 개념 / 2.청소년발달과 활동경험, 그리고 교육 / 3.청소년활동의 특징
Ⅱ.청소년활동의 이론적 기초
1.경험학습 이론 / 2.몰입경험 이론
Ⅲ.청소년활동의 영역
Ⅳ.청소년활동의 구성 요소
Ⅴ.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과제: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제7장 청소년지도법
Ⅰ.청소년지도의 개념과 이론적 접근
1.청소년지도의 개념과 의미 / 2.청소년지도, 청소년교육, 청소년육성, 청소년개발 / 3.청소년지도의 이론적 접근
Ⅱ.청소년지도방법의 이해
1.청소년지도방법의 개념과 영역 / 2.프로그램 지도방법에 대한 이해
Ⅲ.프로그램 과정에서의 지도방법
1.프로그램 기획과정 / 2.프로그램 설계 / 3.프로그램 실행 / 4.프로그램 평가
제8장 청소년리더십
Ⅰ.서론
Ⅱ.청소년리더십
1.청소년리더십의 중요성 / 2.리더십 / 3.청소년개발
Ⅲ.결론
제9장 청소년개발
Ⅰ.청소년개발의 개념과 의의
1.청소년개발의 중요성 / 2.청소년개발의 개념 / 3.Youth
■ 천 정 웅(대구가톨릭대학교)
미국 캔자스대학교(The University of Kansas)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청소년개발원 기획조정실장, 한국청소년학회 사무총장, 미국 아이오와대학교(University of Iowa) 방문학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청소년학, 사회복지 및 영성복지, 양적/질적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 등에 진력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문 및 영문 논문과 저서가 있다. 2003년 "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World Academy for Youth Studies)"를 창립하였으며 2006년 이후 국제컨퍼런스,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for Youth Studies)"을 격년마다 주요 국가를 순회하면서 개최하고 있다. 최근 창립된 글로벌청소년학회, 한국국제사회복지학회, 한국시민청소년학회에서 회장,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김 민(순천향대학교)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대학에서 교육사회학 및 청소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주성대학 청소년문화학과에서 부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청소년하위문화현상 분석과 청소년정책 및 청소년국제개발 협력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청소년학의 지적구조 등을 비롯한 다수의 학술논문과 청소년문화론, 청소년지도방법론 등의 저서가 있다. 청소년복지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시민청소년학회 부회장, 글로벌청소년학회 국제개발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김 진 호(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한국청소년개발원(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청소년개발, 청소년문화, 청소년지도자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방송통신대학교에서는 청소년활동론, 인적자원개발론, 청소년프로그램 및 평가, 청소년환경론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청소년활동지도론, 청소년환경론, 청소년지도방법론 등을 공저하였다.
■ 박 선 영(동서대학교)
영국 버밍햄(Birmingham)대학교에서 국제교육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시민교육(citizenship education)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5년 이후 청소년관련학고에서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부산 동서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중이다.
청소년문화, 청소년복지, 청소년프로그램 개발과 분석 등을 강이하고 있으며, 청소년을 위한 시민교육, 한국과 영국의 비교연구, 청소년복지와 자원봉사, 글로벌 시민성, 비형식교육, 비정부기관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청소녀늘 위한 국제교환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국제프로그램에 직접 참가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