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유아교육사상사 - 개정판

저자김동일·조옥희 공저

  • 발행일2011-02-10
  • ISBN978-89-5964-693-7
  • 정가16,000
  • 페이지수336쪽

도서 소개

☞ 1판 1쇄 1996.4.15-1판 11쇄 2008.8.30

교육사의 전개는 한 시대의 교육현상에 관한 교육적 제 영역을 투시하고 반성하여 오늘의 교육에 대한 한 지표를 구하고 내일의 교육의 주춧돌이 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오늘날 교육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의 하나는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철학적 기반을 연구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다. 이는 과거의 교육학설의 연구가 현대의 창조적 교육사고에 이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서양유아교육사상의 역사적 발달을 인물중심으로 교육철학적 맥락에서 다루었다.
각 인물마다 가지고 있는 사상과 교육이론이 교육실제에 어떻게 반영되고 기여하는가에 관심을 기울여 저술하였으나, 각 인물의 사상과 교육내용이 방대하여 모두 다루기에는 한정된 지면에 무리가 따랐다. 그러나 반드시 다루어야 할 공통적인 내용을 선정하려고 애썼다. 따라서 각 인물마다의 교육사상과 생활철학이 교육의 필요성을 어떻게 변천시켰으며, 교육의 필요성이 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어떻게 변천시켰고 또한 이 교육개념의 변천으로 인해서 교과의 내용, 교수방법, 교육실제가 어떻게 변천되었는가를 다루었다.
그동안 유아교육사상(철학)을 강의해 오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강의내용과 학위 논문을 위해서 수집한 자료들을 정리하여 책으로 꾸며 보았다. 이 책은 완성된 것이 아니다. 계속 연구하고 보충되어야 할 것이며, 독자 제현의 질정을 통해 연구 보완함으로써 더 나은 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
이 책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 유아교육현장의 교사, 유아교육전문기관의 종사자는 물론 유아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유아교육 철학과 사상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끝으로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애써주신 양서원의 박철용 회장님에게 감사를 드린다.

2011년 2월 저자 씀.


ㅣ 차 례 ㅣ

제1장 로크
1. 생애 11
2. 사상적 배경 13
3. 교육이론 15: 1) 유아관16 / 2) 교육목적19 / 3) 교육내용22 / 4) 교육방법27
4. 현대 교육에의 기여 32

제2장 루소
1. 생애 39
2. 사상적 배경 41
3. 교육이론 48: 1) 유아관48 / 2) 교육목적49 / 3) 교육내용51 / 4) 교육방법60
4. 현대 교육에의 기여 69: 1) 교육목적의 측면69 / 2) 교육내용의 측면70 / 3) 교육방법의 측면72

제3장 페스탈로찌
1. 생애 81
2. 사상적 배경 83
3. 교육이론 86: 1) 유아관86 / 2) 교육목적87 / 3) 교육내용90 / 4) 교육방법94
4. 현대 교육에의 기여 100

제4장 프뢰벨
1. 생애 107
2. 유아교육사상의 기초 109: 1) 신관110 / 2) 자연관111 / 3) 인간관112
3. 유아교육의 원리 115: 1) 교육이념116 / 2) 교육내용119 / 3) 교육방법124
4. 유아교육의 실제 128: 1) 프뢰벨의 유치원128 / 2) 노작교육론129 / 3) 은물130 / 4) 유희론134 / 5) 교사교육136
5. 유아교육의 발전과정과 현대적 의의 136

제5장 듀이
1. 생애 145
2. 교육사상 146: 1) 듀이와 프래그머티즘146 / 2) 도구주의147 / 3) 성장이론148
3. 교육의 원리 151: 1) 아동교육관151 / 2) 교육목적153 / 3) 교육내용154 / 4) 교육방법160 / 5) 교사론165
4. 듀이의 교육사상과 현대적 의의 169

제6장 브루너
1. 생애 177
2. 교육사상 177
3. 교육의 원리 180
1) 브루너의 심리학 이론180 / 2) 구조의 이해182 / 3) 지식의 구조184 / 4) 탐구와 발견187 / 5) 나선형 교육과정189
4. 브루너의 교육과정의 현대적 의의 191

제7장 몬테소리
1. 생애와 활동 197
2. 사상적 배경 199: 1) 교육사상적 배경199 / 2) 교육철학적 배경203
3. 교육의 원리 208
1) 유아관208 / 2) 교육이념으로서의 정상화211 / 3) 교육내용213 / 4) 자동교육적 방법221 / 5) 준비된 환경230
4. 교사 235: 1) 몬테소리 교사의 의의 및 역할235 / 2) 교사교육241
5. 현대 교육에의 기여 248: 1) 비판248 / 2) 현대적 의의 및 공헌249

제8장 피아제
1. 생애 257
2. 피아제 이론의 성립과 발생적 인식론 260
3. 피아제 이론 264: 1) 지능의 본질264
4. 피아제 이론과 유아교육 271
1) 교육목적271 / 2) 학습의 준비성274 / 3) 교육내용 및 방법274 / 4) 학습동기277 / 5) 학습의 평가278 / 6) 교사의 역할279
5. 피아제 이론의 교육적 시사 281

제9장 니일
1. 생애 289
2. 사상적 배경 293
3. 교육사상 298
1) 유아관298 / 2) 교육의 기본이념301 / 3) 지적 교육관303 / 4) 정적 교육 및 도덕교육관306 / 5) 신체교육 및 성교육관308 / 6) 교사교육관309
4. 실천적 교육이론 312: 1) 서머힐 학교의 교육목적312 / ) 교육내용314 /3) 교육방법316
5. 현대 교육에의 기여 318

저자 소개

■ 김 동 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교육학 박사)
현, 대구산업정보대학 유아교육과 명예교수, 루소의 숲 교육원 원장
<주요 저서> Rousseau의 유아교육사상, 성취동기론, 대학생활의 목표 설계, 유아교육철학, 에밀 길라잡이(역서), 손톱 밑의 행복(칼럼집)

■ 조 옥 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교육학 박사)
현, 창신대학 아동청소년복지과 교수
<주요 저서> 마리아 몬테소리, 몬테소리 유아교육, 영유아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