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 2011-02-19
☞ 1판 4쇄 : 2017-03-03
청소년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그동안 사회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교육학(사회교육), 문화인류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지속되어 왔다. 특히 한국사회에서는 1990년대부터 점차 새로운 연구와 정책 그리고 실천 영역으로써 청소년분야가 형성발전되어 오면서, 오늘날은 청소년학이라는 학문적 특성을 가진 하나의 독립된 분과학문으로 자리잡아가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청소년학의 다양한 분야 중에서도 청소년활동은 우리나라 청소년분야의 성격을 특징짓는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청소년분야의 정체성을 확이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분야가 왜 생겨났는가?”라는 물음과 함께, 학교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는 다른 청소년분야의 성격을 이해해야하는데 있어서 “청소년활동”은 그 중심내용이 되고 있는 것이다.
청소년활동은 최근 개정된 교과과정에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반영됨으로써 학교 외 환경뿐만 아니라, 학교 내 환경에서 활발하게 실시될 수 잇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은 이러한 제도화과정을 통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청소년활동의 성격과 내용이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보다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대응하면서 발전해 나갈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청소년활동정책은 그동안 수련활동 중심에서 문화활동과 국제교류활동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되어 으며 최근에는 자원봉사활동과 방과후 활동, 그리고 멘토링활동 등 청소년참여과 권익을 증진하는 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청소년분야의 이론적 기반으로 논의되고 있는 청소년(역량)개발(youth development)과 청소년참여(youth participation)의 원리와 접근법이 중요한 이론적 기초와 실질적 기반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활동은 청소년들의 성장을 지향하는 자발적인 행위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내용 면에서는 청소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태도나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하는 역량을 개발하며, 사회변화와 발전에 참여하고 기여함으로써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경험을 축적하는 것 등 청소년의 일상생활 전체가 청소년활동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청소년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요구와 흥미에 기초하고 활동의 과정이 결과 이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그 과정은 청소년에 의해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이 책은 총4부로 구성되었다 . 제1부에서 청소년활동과 관련한 최근의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인 주요 동향을 포함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청소년개발과 현장체험학습, 청소년참여의 원리와 특성을 강조하였다. 제2부에서는 청소년활동의 실천적 인프라로서 청소년의 참여주체적 형태, 청소년단체와 활동시설, 활동프로그램, 청소년지도자에 관한 주요 내용을 소개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제3부에서는 청소년자원봉사, 방과후 활동, 맨토링활동, 그리고 국제교류활동등을 청소년활동의 주요 실천내용으로서 고찰하고 수련활동인증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서, 제4부에서는 지역사회의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과 청소년주도적 개입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청소년활동의 발전과 미래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실, 청소년학은 그동안 많은 저술들을 통해 발전되어 왔으며, 청소년관련학과와 청소년지도자들을 위한 교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교재들이 그간의 청소년 개념변화와 연구관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글로벌시대, 정보화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의 시대적 흐름을 따라잡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런 인식은 최근 청소년학과 관련한 연구분야에서의 변화를 요구하는 다양한 학술모임에서 제기되어 왔으며, 그러한 결과는 2009년 이후 시민 청소년학회와 글로벌청소년학회의 창립으로 이어져 왔다. 이 책의 필자들은 이러한 시점에서 함께 만나게 되었으며, 청소년학의 새로운 세대로서의 차세대 청소년활동론에 대한 생각을 나누게 되었다.
이 책을 함께 저술한 4명의 저자들은 한국에서의 이러한 청소년학의 발전과정을 1980년대 중반 이후 지켜보았으며, 청소년분야의 이론탐구와 정책연구, 그리고 실천현장에서 일한 경험들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또한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과 유럽 등에서 청소년관련 학문을 공부하고 연구하였으며, 대학의 청소년관련 학과 또는 연구기관에서 교수, 겸인교수 또는 연구위원 등으로 재직하고 있는 중견학자들이다. 각기 다른 학문적 전공분야를 가지고 있으나 모두가 학제적 연구분야로서의 청소년학이라는 하나의 구심점을 향해 접근함으로써 앞서 말한 새로운 청소년활동론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의 구성은 모든 필자들의 원고를 크게 14개 장으로 구분하고 청소년활동과 청소년개발의 원리를 1장으로 하고 청소년개발/청소년주도적 개입의 발전과 미래에 관한 내용을 제14장으로 하는 흐름을 갖고록 하였다. 제1장 청소년활동의 개념, 제6장 청소년단체와 시설, 제7장 청소년 프로그램, 제12장 청소년 방과후 활동에 관한 내용은 천정웅 교수가 집필했으며, 제2장 지역사회의 개념, 제3장 현장체험학습의 원리, 제9장 국제청소년활동, 그리고 제13장 청소년역량개발과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한 내용은 오해섭 교수가 맡아하였다. 또한 제4장 청소년참여의 개념, 제5장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참여의 형태, 제14장 청소년개발의 발전과 미래에 관련된 내용은 김정주 교수가 집필하였으며, 제8장 청소년지도자, 제10장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제11장 청소년 멘토링활동에 관한 부분은 김 민 교수가 집필하였다.
집필자들이 기본적인 집필체제를 맞추고 분량 등을 지키려고 노력했지만, 각 장별 주제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가 일관성을 갖도록 하기는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책은 기존의 책에서 다루지 않은 새로운 주제들을 포함하였으며, 유사한 주제들의 경우에도 그 내용에서 최근의 동향과 내용을 반영함은 물론,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고 논의하는 접근을 하였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제를 논의함에 있어서는 최근 청소년활동의 중심적 내용으로 적용되고 있는 청소년개발과 청소년참여의 관련 이론과 지역사회 및 청소년활동 현장의 주요 실천적 동향들을 연결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원리들과 실천활동들은 향후 청소년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발전적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은 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World Academy for Youth Studies: WAYS) 가 기획하는 차세대 청소년학 시리즈의 두 번째로 발간된다. WAYS는 2006 이후 격년마다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on Youth Studies)을 개최하고 있으며 국제적 차원의 청소년연구를 위한 지적공동체로서 활동하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이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는 청소년분야의 기대에 부응하면서 청소년활동과 관련한 다양한 학제적 전공분야에서의 이론과 실천들을 담는 계기를 가짐으로써 한국 청소년학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끝으로 이 책의 발간을 흔쾌히 맡아주신 도서출판 양서원의 박철용 회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필자들을 대신하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발간사에 대신한다.
2011년 2월 저자대표 천정웅
ㅣ 차 례 ㅣ
PART 1 청소년활동의 이론적 기초
1장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청소년개발의 원리
1.서론 / 2.청소년활동의 개념적 이해 / 3.적극적 관점에서의 청소년활동의 이해 / 4.청소년역량개발과 청소년활동 / 5.청소년개발적 접근의 의미 / 6.청소년개발의 원리와 개념 / 7.청소년개발의 작용체계와 "다섯 개의 C" / 8.청소년역량개발의 과제
2장 지역사회의 개념과 청소년개발 전략
1.서론 / 2.지역사회의 개념과 중요성 / 3.바람직한 지역사회가 지녀야 할 특서 / 4.지역사회 중심 청소년활동 / 5.지역사회 중심 청소년들과 성인들 간의 파트너십 전략 / 6.지역사회 청소년개발 정책방향 및 실천전략
3장 청소년 현장 체험학습의 원리와 실제
1.서론 / 2.현장 체험학습(Experiential Education)의 개념과 원리 / 3.우리나라 현장 체험학습의 실제 / 4.현장학습 계획 수립 / 5.현장학습의 전개과정 / 6.현장학습의 종류
4장 청소년참여의 개념과 의의
1.서론 / 2.청소년참여의 개념과 관련용어 / 3.청소년참여의 가치 / 4.청소년참여의 모형 / 5.청소년참여의 영역과 유형 / 6.청소년참영의 장애요인
PART 2 청소년활동의 실천적 기반
5장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참여의 형태
1.서론 / 2.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의의 / 3.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현황 / 4.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형태: 청소년-성인 파트너십 / 5.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방법 / 6.결론
6장 청소년단체와 활동시설
1.서론 / 2.청소년단체와 시설의 개념 / 3.청소년단체와 시설의 현황 / 4.청소년단체의 특성과 운영요건 / 5.청소년시설의 설치와 운영지원 / 6.청소년단체와 시설운영의 평가
7장 청소년활동의 조직과 프로그램의 운영
1.서론 / 2.청소년활동의 조직 / 3.청소년활동과 프로그램의 운영 / 4.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원리 / 5.활동프로그램의 편성운영 / 6.청소년활동의 조직과 운영상의 유의점
8장 청소년지도자
1.서론 / 2.청소년지도자의
■ 천 정 웅(대구가톨릭대학교)
미국 캔자스대학교(The University of Kansas)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청소년개발원 기획조정실장, 한국청소년학회 사무총장, 미국 아이오와대학교(The University of Oowa) 방문학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청소년학, 사회복지 및 영성복지, 양적/질적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 등에 진력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문 및 영문 논문과 저서가 있다. 2006년 이후 국제컨퍼런스,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for Youth Studies)"을 격년마다 주요 국가를 순회하면서 개최하고 있다. 최근, 2010년 7월에는 제3회 대회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서울에서 개최한 바 있다. 글로벌청소년학회, 한국국제사회복지학회, 한국시민청소년학회 등을 창립하여 회장과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오 해 섭(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미네소타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박사 후 연수를 거쳐, 현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국제협력팀장을 역임했으며, 청소년개발, 지역사회 청소년개발, 청소년지도자, 국제교류활동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다수의 논문과 연구보고서 및 청소년활동론(공저), 청소년지도방법론(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 김 정 주(모든학교 체험학습연구소)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방문학자와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실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체육대학교 및 호서대학교 청소년학과 등에서 강의했다. 현제 모든학교 체험학습연구소 소장이며, 명지전문대학 겸임교수와 청소년수련활동인증위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청소년학총론(공저)","청소년환경론(공저)” 등이 있으며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과 관련변인”,“지역청소년센터운영모델 연구” 등 연구논문과 보고서 다수가 있다.
■ 김 민(순천향대학교)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같은 대학에서 교육사회학 및 청소년교육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주성대학 청소년문화학과에서 부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청소년하위문화현상 분석과 청소년정책 및 청소년국제개발협력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청소년학의 지적구조 등을 비롯한 다수의 학술논문과 청소년문화론, 청소년지도방법론 등의 저서가 있다. 청소년복지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시민청소년학회 부회장, 글로벌청소년학회 국제개발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