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의 존속과 유지에 대한 영속성은 그 사회의 연장자들에 대한 존경과 배려를 통해 가장 잘 측정될 수 있다(아놀드 토인비, 1976).
1950년대부터 노인인구가 증가되어 노화 과정에 관한 연구와 노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노년학은 발전하였다. 노년학의 하위 분야인 노인교육학은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 사회에 노인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노인은 스스로 노년기를 개발과 성장의 시기로 인식해야 한다. 사회의 구성원은 노년기를 쇠퇴와 결핍의 시기로 인식하지 말고 노인들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활동 기회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노인과 신세대 간의 상호적인 교환이 이루어질 때 우리 사회는 노인이 소지하고 있는 귀중한 삶의 경험을 사회발전을 위한 지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평생학습사회의 등장으로 노인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물질적 풍요와 여가의 증대는 모든 연령층이 다양한 교육 장면에 참여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진화의 가능성을 실현시켜주었다. 평생학습사회란 역연령에 의한 나이를 불문하고 학습자가 사회의 변화에 생존하기 위하여 계속대서 기존에 지니고 있던 지식과 사고를 확장시켜 나가야 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노인교육은 사회변화 속에서 노인이 자신의 삶의 지향에 따라서 당당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해 가도록 정체성의 확립을 이끌어 주어야 한다. 정보통신의 발달로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문화예술 방면에서도 새로운 조류와 코드가 유행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 역시 새로운 사회 변화와 지식의 발전에 적응하기 위해 끊임없는 학습이 요구된다.
다행이도 노인의 상(像)은 부정적인 노인상에서 생산성을 소지하고 있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변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노년기를 더 이상 발달을 기대할 수 없는 쇠퇴의 시기로 보고, 노인은 회복 불가능한 장애를 지닌 사람들로 규정해 왔다. 그러나 인간이 평생에 걸쳐 발달한다는 전 생에 발달관점의 등장은 노인을 무한한 잠재력과 능력을 지닌 존재로 바꾸어 놓았다.
생활수준 및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노인 자신들의 욕구 또한 변화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궁핍했던 시대의 노인들은 의식주와 같은 생존의 욕구가 가장 컸지만, 경제적으로 안정되고 교육 및 사회적 지위도 높아진 지금의 노인들은 자아실현과 같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요구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교육수준이 높아진 새로운 노년층은 건강이나 안전, 안락한 삶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욕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기를 개발하고 자아를 실현하려는 학습 욕구를 가지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이 행복한 삶을 주인공이 되려면 지난 삶을 성찰하고 자기를 스스로 완성시켜 가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서는 이러한 노인의 요구를 중시하고, 새로운 노년기를 설계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데 역점을 두고 집필하였다.
이 책이 나오는 데 많은 도움을 주신 가족 및 출판사 관계자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2011년 가을 공주에서 박성희.
l 차 례 l
Chapter 01. 고령화사회와 노인교육의 패러다임
1.고령화사회 / 2.고령화사회의 특징 / 3.노인교육의 패러다임
Chapter 02. 제라고지와 노인교육의 개념
1.노인교육의 시작 및 학습사회 / 2.제라고지의 개념 / 3.노인의 핵심역량 / 4.문제해결 능력을 지향하는 노인교육 / 5.노인학습의 개념 / 6.노인학습자의 유형
Chapter 03. 노년기 철학과 노인교육
1.노년기 철학의 기초 / 2.죽음학 / 3.좋은 죽음 / 4.웰빙과 웰다잉 / 5.행복한 노후를 위한 웰빙-웰다잉 교육
Chapter 04. 노인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1.노화 / 2.노화이론 / 3.사회적 노화와 퇴직
Chapter 05. 노인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1.노인에 대한 심리학적 기초 / 2.노년기의 발달과업 및 심리이론 / 3.노년기 정신건강 및 장애 / 4.노인 정신건강 증진 및 자실 예방 / 5.노인의 인지와 학습능력 / 6.노인심리학과 정체성
Chapter 06. 노인교육 방법론
1.노인교육 이론 / 2.노인교육 방법의 원칙 / 3.노인교육의 방법 / 4.나를 알아가기
Chapter 07. 노인과 지역사회
1.평생학습도시 조성과 지역사회 개발 / 2.학습도시의 개념 / 3.노인이 주체가 되는 지역사회 만들기 사례
Chapter 08. 노년기 빈곤과 취업교육
1.노인의 취업 현황 및 빈곤 / 2.취업훈련 부처와 훈련기관 / 3.고령화사회와 노인의 근로능력 / 4.독일의 노인취업정책 / 5.고령자 취업 지원방안
Chapter 09. 노인과 자원봉사
1.자원봉사의 이해 / 2.노인자원봉사의 의의 / 3.새로운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4.노인자원봉사의 발달 및 현황 / 5.노인자원봉사의 사례 및 발전 방향
Chapter 10. 독일의 고령화 및 노인교육
1.고령화 추세와 특징 / 2.노인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현황 / 3.독일의 말기 노인교육
Chapter 11. 독일 노인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운영
1.노인교육기관 / 2.대학에서의 노인교육 및 프로그램 / 3.노인대학
Chapter 12. 교육복지와 노년기 삶의 질
1.교육복지의 개념 / 2.독일 교육복지 개념의 역사적 발달과정 / 3.공동체 교육 / 4.노인의 교육복지 패러다임
Chapter 13. 노인교육 관련법 및 노인교육의 과제
1.미래사회와 노인교육 / 2.노인교육과 관련된 국제선언, 관련법 및 회의 / 3.노인교육 / 4.노인교육의 기본 방향 / 5.노인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 6.노인교육의 발전 방향
■ 박 성 희
서울여자대학교 가정학과 졸업(학사)
독일 게오르그-아우구스트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과 졸업(학사, 석사, 박사)
전, 대진대학교 교직부 초빙교수 / 강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연구교수
현,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BK 21 교육복지연구역량강화사업팀) 연구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교육사회학(공저, 2011)
평생교육론(공저, 2010)
질적연구방법의 이해(2004)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2011)
노년기의 자기정체성 만들기와 비판적 제라고지의 의의(2010)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2011)
노인의 학습경험에서 도출한 노인완성학습으로서의 노인학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2009)
직업생애사에 기반한 고령층여성의 고용가능성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2009)
농촌여성노인의 생애사분석을 통한 성공적 노화에 관한 지역사회교육전략(2009)
여성노인의 젠더불평등 경험과 인식전환에 대한 연구(2008)
의미구성학습과 노인자서전쓰기 교육의 의의(2008)
질적연구방법에 기반한 초등학교 학부모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 개발(2008)
프랑크푸르트 노인대학사례를 통한 대학 확장교육으로서의 노인교육활성화 방안(2007)
노년기부부의 관계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노년기부부의 학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2006)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연구(2006)
중년기남성공무원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및 평생교육학적 제안(2004)
평생교육으로서의 연구방법론: 생애사 분석법(2003)
한국여성의 노년과 세대관계로 살펴 본 여성노인의 현대화 과정
(게오르그-아우구스트 괴팅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a) 外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