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미국의 교육과정 개혁이야기 -국가 기준에서 교실 현장 속으로 교육과정 다리 놓기-

저자강현석-허영식-신영수-최윤경-추갑식 공역

  • 발행일2012-03-15
  • ISBN978-89-5964-907-5(93370)
  • 정가18,000
  • 페이지수336
  • 사이즈4*6배변형판

도서 소개

■ 이 책에서는 교육과정을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하여 학교 중심의 모든 의사결정의 총체’로 보고 있다. 따라서 협소한 교과목이나 교수요목, 편제와 시간 배당의 의미를 벗어나 교육내용과 학습 경험의 의미를 모두 포괄한다. 그리고 교육목표와 교수-학습, 평가와의 연계성을 강조한다. 동시에 기준 교육과정과 교실 수업 간의 연계를 강조하고 하향식 설계를 통하여 기준을 달성하고 성과 중심의 책무성도 유의하고 교사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문성을 개발하고 자율적인 교육과정 의사결정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에 포함된 내용들은 Meg(여), April(여), Brad(남)라는 세 명의 교사들이 직접 경험하는 실제 이야기들이다. 세 명의 교사들은 교실 수업 실제에 교육과정 다리를 세우기 위해 국가의 기준을 어떻게 사용하고 어떠한 교실 수업을 창조하고 평가를 실시하며, 연구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해 나갈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

이 책은 전체 7개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에서는 교육에 대한 관심사의 증가와, 기준과 책무성 강조의 역사를 소개하고 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과 통제력의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2장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선정의 주체와 기준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 교육과정 통제의 양식을 다루고 있다.
3장에서는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과 관련하여 학습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지식의 구성, 지능, 기억과 인지, 뇌의 연구 등과 이것들을 교실 수업의 실제 속으로 연결시키는 문제를 다룬다.
4장에서는 창의적인 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다룬다. 기준을 선정하고 하향식으로 설계하는 방식을 논의한다. 특히 학습이론과 내용기준-수행기준-실행활동으로 이어지는 3단계의 기준 중심 교육과정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5장은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한 창의적인 수업 환경을 구성하는 문제이다. 연극의 비유를 들어 교실 수업의 실행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6장은 평가의 문제로서, 기준과 측정의 문제를 다루면서 근접 평가와 원심 평가를 구분하여 소개하고 있다. 양자의 연속체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잘 확립하고 수행 평가 루브릭 작성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7장에서는 미래의 변화와 교사 전문성 개발과 관련한 과제, 공학의 활용을 논의하고 있다.

2012년 경칩을 기다리며 역자를 대표하여 강현석 씀


ㅣ 차 례 ㅣ

제 1장 기준과 시험이 중요한 이유
1.이 장에 대해서
2.정치적인 어젠다의 상부에서: 교육
3.기준과 평가에 왜 초점을 두는가
4.낙오아동방지법
5.경제적 영향력과 몇 마디 경고
6.미디어가 기준에 대한 의견에 영향을 미치다
7.현재의 공적인 관심의 흐름에 대한 기원
8.교육계의 초기 반응
9.정부가 개혁을 요구하다
10.개혁의 요구에 대한 초기 반응
11.다른 나라의 기준
12.요약: 시스템상의 총체적 변화, 재구조화, 그리고 개혁

제 2장 누가 교육과정을 선정하는가: 기준과 평가는 필요한가
1.이 장에 대해서
2.몇 가지 카리스마적인 의견의 차이
3.대중의 관심, 여론, 그리고 영향
4.교사와 교사 단체의 반응
5.대학 교수와 연구자들이 반응하다
6.교육과정 통제의 양식
7.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비정부단체(NGO)
8.교육과정 설계 준비

제 3장 학습이 일어나는 방법
1.이장에 대해서
2.교육철학: Piaget와 구성주의
3.타협(Compromise)
4.지능 개념의 변화하는 특성
5.인지, 메타인지, 그리고 목표: 실천으로의 연계성
6.관심
7.실제적 경험과 수업 과정에서의 공학(Technology)
8.연구와 실천과의 연계: 요약 가설

제 4장 교육과정 기준 선정과 ‘하향식 설계’
1.이 장에 대해서
2.교육과정위원회 모임
3.개략적 역사
4.새로운 용어로 기준을 정의하기
5.교육과정 실행(Enactment)

제 5장 창조적인 교실 수업 구성하기
1.이 장에 대해서: 차이점 다루기
2.교수 환경 조직하기
3.배우: 연기자와 감독
4.각본: 전체 줄거리

제 6장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성공을 측정하기
1.이장에 대해서
2.기준과 기준의 측정
3.측정 혹은 평가(Assessment)의 의도
4.평가 형태의 역사
5.고부담 평가의 질과 결과
6.HSSB 평가 개선하기
7.Meg, April, 그리고 Brad는 어디에서 시작해야 할까?
8.도전1: 타당도 확립하기
9.도전2: 과제 혹은 수행 VS 개념
10.도전3: 루브릭 작성하기
11.도전4: 평가 결과를 분해하기
12.도전5: 수행 수준과 등급 매기기
13.도전6: 학생, 부모, 공동체와 결과 공유하기

제 7장 우리는 여기에서 어디로 가는가
1.이 장에 대해서
2.필요한 변화를 위한 리더십은 어디에서 오는가
3.교사를 위한 전문성 개발
4.연구와 교육과정을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공학을 사용하기
5.공공의 시민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공학

저자 소개

■ 강 현 석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석박사)
Univ. of Wisconsin-Madison 연구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임연구원, 순천대학교 교수 역임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 허 영 식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사회교육과 졸업,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사회과학부 철학 박사(사회과학 교육학 전공)
(현) 청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 신 영 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졸업,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박사)
(현) 경북대학교 강사, 경북 장곡초등학교 교사

■ 최 윤 경

대구교육대학교 졸업, 한국교원대학교 졸업(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박사)
(현) 경북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강사

■ 추 갑 식

부산교육대학교 졸업,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수료
(현) 대구교육대학교 강사, 대구 매곡초등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