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발전과정에서 또 하나의 큰 획을 긋는 해이다. 현대적 개념의 유아교육이 첫발을 뗀 지 이제 100년을 바라보면서 우리 사회에서의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정책과 지원으로 구체화되어 가고 있다. 만 5세 교육에 대한 전면 무상교육이 실현되고 영유아 보육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이 그 질적 수준을 담보할 수 있도록 유치원, 어린이집 공통의 교육과정(누리과정)이 제정, 실천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제3차 표준보육과정도 그 모습을 정비하게 되었다. 이는 1969년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제정된 지 45년만의 일이며 그간의 노력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열린 마음들이 통합의 길을 닦게 되었다고 본다. 이제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100년의 교육을 새롭게 꿈꾸고 계획하는 시점에 서 있게 되었다.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로 성장하는 기반이 유아교육에서 충실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글로벌시대 교육의 키워드로 창의성과 감성교육, 인성교육, 자연친화교육, 문화예술교육, 다문화교육이 논의되었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충실히 실현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함께 반영되고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각 유치원과 어린이집마다 다양한 측면에서 특화되는 프로그램으로 발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획일화된 교육에서 발전하여 변화하는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좀 더 다양한 모습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서의 구성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유아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이론적 배경, 역사적 변화과정들이 고찰되었고 표준보육과정(제3차)에 대해서도 상세히 다루어 변화하는 시기에 현장에서 혼돈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의 실제 운영 측면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다루었다 교육과정의 제정도 중요하나 현장에서 이것이 바르게 전개되는 것이 곧 교육과정의 실현이기 때문이다.
제2부에서는 유아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제3부에서는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으며 글로벌시대 교육의 키워드로 주목되고 있는 창의성과 감성교육, 인성교육, 자연친화교육, 문화예술교육, 다문화교육 각각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현장에서 더욱 발전적으로 연구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글로벌시대 교육의 키워드를 정리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주시고 자극과 지도해 주신 김재은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유아교육의 이론에서부터 실제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의 경험적 지식을 나누어 주고 지도해 준 이기숙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이 책에서 참고가 된 많은 연구자들에게도 감사드린다. 이와 함께 인성교육문화연구소의 강경희, 전방실 선생님과 원고를 이리저리 다듬어 준 박선영 선생에게도 감사한다. 오래전 약속을 이제야 지키게 되었음에도 인내해 주시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책을 만들어 준 양서원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2013. 5. 동숭동 연구실에서 저자
l 차 례 l
Part I 영유아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Chapter 01 글로벌시대와 영유아교육
1.글로벌시대의 특성과 교육 / 2.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 3.영아보육 및 교육의 특성 / 4.영유아 보육교육기관
Chapter 02 영유아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1.이론적 배경 / 2.유아교육과정의 개념적 기초 / 3.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Chapter 03 우리나라 영유아교육과정
1.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 2.영유아 보육시설의 표준보육과정 / 3.만 3~5세를 위한 누리과정
Chapter 04 영유아교육과정의 계획 구성 및 평가
1.교육목표의 설정 / 2.교육목표의 진술 / 3.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4.교수-학습 방법 / 5.평가의 목적 및 성격 / 6.유아 평가 / 7.영유아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기관에 대한 평가 / 8.유치원 시범 평가 / 9.보육시설 평가인증제
Chapter 05 영유아교육과정의 운영: 영아기, 걸음마기 및 유아기
1.유아교육과정 운영의 계획 / 2.영아와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일과계획과 운영 / 3.영아와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환경구성 / 4.만 3~5세 유아를 위한 일과계획와 운영 / 5.만 3~5세 유아를 위한 환경구성
Part II 영유아교육과정과 프로그램
Chapter 06 초기 유아교육 프로그램
1.몬테소리 프로그램 / 2.헤드스타트 프로그램 / 3.하이스코프 프로그램 / 4.프로젝트 접근법
Chapter 07 현대 유아교육 프로그램
1.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 / 2.발도르프 프로그램
Part III 글로벌시대 영유아교육과정 탐구
Chapter 08 창의성과 감성교육
1.유아 창의성교육 / 2.감성교육
Chapter 09 인성교육
1.이성교육의 개념 / 2.인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 3.인성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덕목 / 4.다른 나라의 인성교육 사례 / 5.각 연령 단계별 주요 덕목
Chapter 10 자연친화교육
1.자연친화교육의 개념 / 2.생태교육과 자연친화교육의 실제
Chapter 11 문화예술교육
1.예술교육의 개념 / 2.유아 예술교육 / 3.우리나라의 예술교육 현황 / 4.세계의 예술교육 사례
Chapter 12 다문화교육
1.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접근법 / 2.유아-아동기 다문화교육 / 3.다문화교육을 위한 목표와 내용 구성 요소 / 4.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실제
■ 홍 순 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및 대학원
미국 하와이 대학원(철학박사)
영국 런던대학 및 캐나다 UBC, Univ. of Toronto 교환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장 및 AAOU사무총장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인성교육문화연구소 대표
【저서】
사회 도덕성 발달, 지능과 창의성, 창의성과 감성교육,
유아교육과정, 평화교육탐구, 유아품성지도(공저)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