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4쇄 : 2018-02-10
☞ 1판 1쇄 : 2013-08-25
머리말
2012년 말 우리나라에는 어린이집이 4만 2천 개가 넘게 운영되고 있고, 이곳에서 1백 4십만 8천 명 이상의 영유아들이 생활하고 있습니다(보육통계, 2012). 2013년 영유아 전면 무상보육 실시에 따라 어린이집 생활을 하는 영유아가 증가하는 상화에서 어린이집의 역할과 비전이 우리 사회에 앞으로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미래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 될 아이들을 양육하고 교육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할 양질의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일은 국가적으로도 매우 가치가 있는 일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는 1998년 생활과하대학 어린이집을 개원한 이래 현재 본부 직속기관인 어린이보육지원센터가 백학어린이집(영아전담)과 느티나무어린이집(유아전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어린이집에서는 서울대학교 아동학연구실이 연구․개발한 주제탐구표현활동프로그램을 통해 영유아들이 자발적으로 탐구하고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부설이나 위탁 운영하는 어린이집 현장에서 전문성과 현장성을 키워 온 제자들과 함께 보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보육교사의 교육에 대한 책을 쓸 수 있어 의미가 깊습니다.
1부는 보육교사의 이해로 보육교사직의 이해와 보육교사직의 선택과 실제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2부는 바람직한 보육교사사의 이해로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3부는 연령별 보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무지식으로 0~1세, 2세, 3~5세 보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지식을 각각 담았습니다. 4부는 보육교사 자격제도의 이해로 보육교사 양성, 보육교직원 자격기준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5부는 보육교사 근무환경의 이해로 보육교사의 임면, 보육교사의 복무와 처우, 보육교사와 정신건강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6장은 보육교사의 발달과 성장으로 보육교사의 교직주기에 따른 발달 특성,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보육교사와 인간관계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 세상에 사람을 키우는 일만큼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영유아들은 앞으로 미래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자, 지금도 작은 성인입니다. 이들이 밝고 건강하게 성장시킬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들이 도와야 합니다. 특히 보육교사들이 직업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보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이 책이 보육교사를 꿈꾸는 이들에게 올바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여 보육교사로서의 자질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현재 어린이들과 함께 생활하는 보육교사들에게도 보다 전문성 있고 성숙한 보육교사로서 한 걸음 더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대표저자 이순형
ㅣ 차례 ㅣ
PART 01 보육교사의 이해
Chapter 01 보육교사직의 이해
1.교직의 이해 / 2.보육교사직의 이해
Chapter 02 보육교사직의 선택과 실제
1.보육교사직의 선택 / 2.보육교사직의 실제 / 3.보육교사직의 장점과 한계점
PART 02 바람직한 보육교사상의 이해
Chapter 03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
1.보육교사의 역할 / 2.보육교사의 자질
Chapter 04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
1.현황 / 2.개선방향
Chapter 05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1.보육교사의 교직윤리 개념 및 필요성 / 2.우리나라의 보육교사 윤리강령 / 3.미국의 보육교사 윤리강령과 실천선언문 / 4.윤리적 딜레마의 해결과정: 윤리강령 적용 사례 / 5.교직윤리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PART 03 연령별 보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지식
Chapter 06 0~1세 보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지식
1.0~1세 영아의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 / 2.0~1세 보육과정 운영 / 3.0~1세 교사를 위한 기술
Chapter 07 2세 보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지식
1.2세 영아의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 / 2.2세 보육과정 운영 / 3.2세 교사를 위한 기술
Chapter 08 3~5세 보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지식
1.3~5세 유아의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 / 2.3~5세 보육과정 운영 / 3.3~5세 교사를 위한 기술
PART 04 보육교사의 자격제도의 이해
Chapter 09 보육교사 양성
1.보육교사 양성의 필요성과 목적 / 2.보육교사 양성교육 체계와 내용 / 3.보육교사 양성교육 체계의 문제점과 대안
Chapter 10 보육교직원 자격기준 및 관리
1.보육교직원 자격기준 / 2.보육교직원 자격검정 및 자격증 발급 / 3.보육교직원의 승급교육
PART 05 보육교사 근무환경의 이해
Chapter 11 보육교사의 임면
1.보육교사 임용 / 2.보육교사의 면직
Chapter 12 보육교사의 복무와 처우
1.보육교사의 복무 / 2.보육교사의 처우
Chapter 13 보육교사와 정신건강
1.정신건강의 개념 / 2.보육교사의 정신건강의 중요성 / 3.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이해 / 5.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이해
PART 06 보육교사의 발달과 성장
Chapter 14 보육교사의 교직주기에 따른 발달 특성
1.보육교사 발달의 개념과 중요성 / 2.교직주기에 따른 보육교사 관심사 이론 / 3.보육교사 관심사 평정척도
Chapter 15 보육교사의 전문서 발달
1.현직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 2.현직교육을 통한 전문성 발달 / 3.보수교육의 유형과 내용
Chapter 16 보육교사와 인간관계
1.원만한 인간관계의 필요성 / 2.영유아와의 관계 / 3.학부모와의 관계 / 4.보육교직원과의 관계
Chapter 17 보육교사 평가
1.보육교사 평가의 목적 / 2.보육교사 평가의 내용 / 3.보육교사 평가의 방법
■ 이 순 형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석사, 박사
전)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원장
서울대학교 어린이다문화교육센터 센터장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교수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센터장
■ 권 기 남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학사, 석사, 박사
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부원장
현)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김 진 욱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학사, 석사, 박사
전)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백학어린이집 원장
서울법원어린이집 원장
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 민 미 희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학사, 석사, 박사
전) 서울법원어린이집 원감
현) (재)한국보육진흥원 보육인력개발국 팀장
■ 김 정 민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학사, 석사, 박사
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부원장
국립체육진흥공단어린이집 원장
서울법원어린이집 원장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강사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느티나무어린이집 원장
■ 김 은 영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유아교육 전공 석사, 아동학 전공 박사
전) 중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과학특별활동 교사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강사
■ 이 성 옥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석사, 박사수료
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부원장
울산시 보육정보센터 센터장
강남구 보육정보센터 센터장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강사
■ 정 현 심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학사, 석사, 박사수료
전) 하이닉스어린이집 원장
국민체육진흥공단어린이집 원장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느티나무어린이집 원장
현) 상명대학교 겸임교수
■ 심 도 현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학사, 석사, 박사수료
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교사
현)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백학어린이집 원장
■ 안 혜 령
서울대학교 아동학 전공 학사, 석사, 박사수료
전) 서울법원어린이집 원감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느티나무어린이집 원장
현) 서울법원어린이집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