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관계놀이상담

저자성영혜,김윤경,최순옥,이창미,홍정애,윤난호,조혜영

  • 발행일2013-09-10
  • ISBN978-89-994-0157-2(93370)
  • 정가15,000
  • 페이지수180쪽
  • 사이즈4*6배변형

도서 소개

관계놀이상담은 ‘놀이’가 그중에서도 ‘관계놀이’가 우리 인간 생활에서 으뜸을 차지해야 한다고 하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아니 가정이 아니라 확신이다.
관계놀이란 관계놀이성이 지니고 있는 상호주관성, 공감능력, 몰입, 사회적 관점능력 등과 더불어, 나를 객관화시켜 바로 볼 수 있는 능력을 폭넓게 의미하기 때문이다. 관계놀이는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나만의 창의적인 활동(일)의 발현은 물론 인류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즉 이성적 능력을 개발하고 활성화하여 우리 인류의 생활을 발전시키고 풍요롭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능력은 이를 가치있는 방향으로 유도하고 통제해준 기능을 맡고 있는 감성능력 덕분이며, 감성능력은 관계놀이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계놀이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된 인간의 능력을 계발하는 이론이기도 하다.
관계를 맺고 함께 놀이를 할 수 있는 능력은 ‘눈’이 아닌 ‘가슴’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비언어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소통까지 볼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마음을 알려면 다른 사람의 마음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Fonagy, 2001)하는데, 진짜 중요한 것은 눈으로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누구나 화를 내기는 쉽다. 그러나 적당한 사람에게, 알맞은 정도로, 합당한 때에, 옳은 목적을 위해, 제대로 화를 내는 일은 쉽지 않다)에서, 지성과 감성의 조화를 말하고 있듯이, 문제는 감성 자체보다 감성을 어떻게 적절하게 표현하느냐이다. 다시 말해 감성에 어떻게 지성을 부여하며, 어떻게 사회 곳곳에서 시민정신이 나타나게 되고, 공동체적 삶에 어떻게 배려의 정신을 심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관계놀이란 정서 공유를 의미하기 때문에, 잘 노는 사람은 남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관계를 잘 맺을 수밖에 없다. 정서 공유는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 단위이다.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친밀한 관계를 만드는 힘은 이성이 아니라 교감이며, 접속이 아니라 접촉이다. 체온 없는 관계, 대면 없는 소통은 우리의 뇌를 반쪽짜리로 만든다. 인간은 위협에 직면하면 안전을 얻기 위해 굴이나 동굴과 같은 어떤 장소를 찾는 것이 아니라, ‘더 강하고, 더 현명하다’고 여겨지는 사람과 함께하려고 한다(Bowlby).
관계놀이상담은 개인의 발전은 물론 개인과 개인, 개인과 가족․집단․조직의 상호관계에 필요한 감성능력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자 기획된 저서이다. 즉 관계적․정서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변화과정을 통해 성찰적 자기를 발견하게 하는 것이다. 비고츠키(Vygotsky)가 “인간의 모든 발달은 상호작용에서 먼저 나타나고 내면화되어 개인의 변화로 이어진다”고 하였듯이, 인간의 모든 발달은 생물학적 발달이 아니라 문화적 발달인 것이다.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타인의 삶을 배려하는 우리나라 한국의 문화가 관계놀이상담의 큰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 집필진들은 확신한다. 특히 한국 전통전래놀이는 개인보다는 집단이 함께 참여하면서 즐기는 ‘함께 문화’의 본보기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엄마와 아기가 함께하는, 친구들끼리 함께하는 모든 전통전래놀이는 관계를 위한 아주 훌륭한 기법임에 틀림없을 것으로 확신한다.
놀이 특히 함께 만들어 가는 놀이, 그리고 더불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원하는 모든 분들은 본 저서를 통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나아가서 관계놀이상담에 관한 이론 및 실제에 관한 연구 역시 함께 만들어 가는 계기가 형성되었으면 하는 바람 또한 간절하다.
여러분의 조언과 관심을 부탁드리면서.

2013. 9. 저자 일동


ㅣ 차 례 ㅣ

I 관계놀이상담
1. 관계놀이상담 개념
1) 성찰적 기능과 관계놀이상담 / 2) 상호주관성과 관계놀이상담 / 3) 감정이입능력과 관계놀이상담 / 4) 거울신경체계와 관계놀이상담 / 5) 뇌 가소성과 관계놀이상담

2. 관계놀이상담 목표
1) 과거 귀인에서 미래지향적으로 / 2) 심리 내적인 면에서 상호주관적인 것으로 / 3) 수동적에서 능동적․참여적으로 / 4) 설명에서 경험으로 / 5) 평면적에서 입체적․표상적으로

3. 관계놀이상담 방법

II 관계놀이상담의 이론적 배경
1. 애착이론
1)애착이론의 주요 개념과 기원 / 2)애착의 발달적 관점 / 3)애착이론과 관계놀이상담

2. 대상관계이론
1)대상관계이론의 주요 개념과 기원 / 2)대상관계의 발달적 관점 / 3)대상관계이론과 관계놀이상담

3. 뇌발달이론
1)뇌발달이론의 기원과 주요 개념 / 2)뇌발달의 발달적 관점 / 3)뇌발달과 관계놀이상담

4. Touch Match
1)Touch Match의 의미 / 2)Touching의 의미

III 관계놀이상담의 실제
1. 관계놀이상담의 목표

2. 관계놀이상담의 과정
1)관계시작하기 / 2)관계형성하기 / 3)관계내면화하기

3. 관계놀이상담의 기법
1)감각적 놀이를 통한 신체인식 / 2)감정적 놀이를 통한 정서조절 / 3)내면화 놀이를 통한 정신적 표상

IV 전통육아와 관계놀이상담
1. 전통육아와 전통놀이
1)전통육아 / 2)전통놀이

2. 전통육아와 관계형성
1)전통육가와 신체접촉 / 2)전통육아와 정성안정

3. 전통육아와 관계놀이상담
1)감각적 놀이를 통한 신체인식 / 2)감정적 놀이를 통한 정서조절 / 3)내면화 놀이를 통한 정신적 표상

V 전망과 과제

저자 소개

■ 성 영 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사회사업)
한국관계놀이상담학회 고문

■ 김 윤 경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아동심리치료)
한국관계놀이상담학회 회장

■ 최 순 옥

장안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아동청소년복지)
한국관계놀이상담학회 부회장

■ 이 창 미

시공미디어 부설 어린이교육문화연구소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아동복지)
한국관계놀이상담학회 부회장

■ 홍 정 애

홍정애아동가족상담센터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아동심리치료)
한국관계놀이상담학회 윤리위원장

■ 윤 난 호

서일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 주임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아동복지)
한국관계놀이상담학회 학술위원장

■ 조 혜 영

음봉산동종합사회복지관 아동발달지원센터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아동심리치료)
한국관계놀이상담학회 학술수석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