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수어회화

저자최성규,김정중,유지영

  • 발행일2013-09-30
  • ISBN978-89-994-0156-5(93330)
  • 정가13,000
  • 페이지수214쪽
  • 사이즈4*6배변형

도서 소개

수어교재의 대부분은 한국수어의 어휘를 소개하는 ‘어휘목록집’의 특성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음성언어가 없는 한국수어의 특성상 어휘를 우선적으로 지도해야 하는 언어의 계급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휘목록에 천착한 한국수어 지도는 언어적 자실을 무색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하였다. 한국수어가 수어어휘를 한국어의 어순에 맞추어 나열하는이 교재는 한국 농인의 언어인 한국수어를 지도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지금까지 출판되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을 무의식적으로 묵인하는 결과의 원인이 되었다.
수어도 언어이다. 한국수어도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내포한다. 이 교재에서는 한국수어의 어휘에 기초하여 통사론과 의미론, 나아가 화용론적 특성을 함께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물론 이 교재가 한국수어의 언어학 전공서적이 아니므로 심층적 지식으로 접근하지는 않았다. 대신 한국수어의 통사론과 의미론적 특성을 이중언어 자원에서 접근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수어는 한국어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언어적 자질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수어는 독립어이지만, 한국어는 교착어이다. 특히 한국어는 음성언어 자질에 기초하므로 한국수어와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수어에 대한 이해는 한국어 중심의 사고로 접근하거나 일관되어서는 안된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영어 그 자체의 언어적 특성을 알기 위하여 노력해야 하듯이, 한국수어의 학습에서도 한국어와의 차이점보다는 한국수어 자체의 언어적 특성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언어는 문화적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수어는 청각 또는 음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시각에 의존하는 언어이다. 듣고 말하는 청각문화와 보고 이해하는 시각문화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많다. 이 교재를 통해 시각문화의 중요성에 대하여 한 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농인은 듣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볼 수 있는 사람이다. 농인이 듣고 말하는 것을 제의한 모든 일을 성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는 사실을 이 교재를 통해 인식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교재의 출발을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은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특히 이 교재의 수어 표현에 대한 감수와 조언을 아끼지 않으셨던 故 이정옥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리며, 수어를 수어답게 말하고 전달하도록 모델이 되어 준 대구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신흥섭 선생님과 고단아 학생, 그리고 수어사진을 정성껏 편집해 준 홍지윤 학생의 노고에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끝으로 양서원 회장님과 임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3년 8월 연구시에서 저자대표 최성규


l 차 례 l

I. 이론
1.언어의 정의 / 2.수어의 언어적 특성 / 3.청각언어와 시각언어 / 4.농아동의 가정과 양육방법 / 5.수어 수업의 유의점

II. 개인
2강 1절 안녕하세요 / 2강 2절 당신은 농인입니까? / 3강 1절 저는(수어이름)입니다 / 3강 2절 원하는 머리 모양이 있으세요?

III. 가정
4강 1절 제 여동생은 예쁩니다 / 4강 2절 내일은 아버지 생신입니다 / 5강 1절 날씨가 어때요? / 5강 2절 어디가 편찮으세요?

IV. 학교
6강 1절 전공이 무엇입니까? / 6강 2절 시험이 어렵습니다 / 7강 1절 기숙사는 어디로 갑니까? / 7강 2절 장애학생지원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V. 사회
8강 1절 수어통역서비스를 신청하러 왔습니다 / 8강 2절 주소 이전 신청하러 왔습니다 / 9강 1절 대중교통을 이용해요 / 9강 2절 오늘 저녁은 제가 살게요

VI. 경제
10강 1절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 10강 2절 면접은 언제인가요? / 11강 1절 할인 행사가 있어요 / 11강 2절 교환하고 싶어요

VII. 여가
12강 1절 영화 좋아해요? / 12강 2절 요리는 할 줄 아세요? / 13강 1절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어요 / 13강 2절 방학 어떻게 보랠 거예요?

저자 소개

■ 최 성 규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초등특수교육과 교수
미국 Ball State University 특수교육학과 졸업 교육학 박사
미국 Gallaudet University 파견 교수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학회장

■ 김 정 중

대구대학교 특수교육과 강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청각장애인통역사
한국농아인협회 경북협회 경산지부 이사

■ 유 지 영

수화통역사
사회복지사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