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는 사회의 성원이 공유하고 있는 것이고 역사적으로 전승된 것이며, 학습된 것이고 사회성원 행동의 지침이며 통합된 제체 또는 형태로서 사회성원의 경험조직의 표준이다. 이런 점에서 문화는 몇 가지 특성이 있는데 공유, 학습, 기호, 다세대 간의 전이, 적응 및 통합 등과 관련된다. 문화는 또한 생물학적으로 유전되며, 그 안에서 변화하고 진화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기와 청소년문화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출현하고 변화해가는 사회역사적 산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획일적이고 고정적인 기준으로 문화현상을 진단하기 어렵다. 글로벌정보화다문화로 특징지어지는 오늘날의 시대적 상황에서 청소년문화는 종전의 미숙문화, 하위문화, 비행문화 등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삶의 양식과 이미지를 창출하는 새로운 문화현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전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청소년문화의 특성들은 다양하게 지적된다. 다양성, 물질주의적 경향, 문화감수성, 현실만족주의적 경향 등이 강조되고 있으며, 자기표현주의적 성향, 영상세대로서의 특성도 지적된다. 문화세대로서의 청소년, 마니아문화, 일상문화, 하위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이 논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우리의 청소년문화는 각기 다른 모습으로 시대적으로 공유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 변화추이나 특성과 유사하거나 다른 양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다양한 모습의 우리 시대의 청소년문화를 기존과 다른 모습으로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문화의 개념과 유형은 물론, 문화적 역량과 문화복지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학습문화, 여가문화, 이성교제문화, 팬덤문화를 각론으로 포함하고 있다. 강조할 점은 정보화시대와 관련한 사이버문화와 다문화시대와 관련한 문화적응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컴퓨터게임문화, 소셜 미디어 문화, 그리고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문화 등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이 책을 함께 저술한 네 명의 저자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의 한국 청소년들을 공부를 통해 지켜보았으며, 청소년문화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가지고 청소년분야의 이론탐구와 정책연구 그리고 실천현장에서 일한 경험들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또한 교육학, 사회복지학, 청소년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청소년을 이해하는 학문적 노력을 하고 있으며, 대학의 청소년 관련 학과에서 교수 또는 국가연구기관의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중견학자들이다. 각기 다른 학문적 전공분야를 가지고 있으나 모두가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우리 청소년문화를 글로벌, 정보화, 다문화의 새로운 시대적 흐름 속에서 접근함으로써 앞서 말한 새로운 청소년연구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가대에 부응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은 모든 필자들의 원고를 크게 12개 장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고 천정웅 교수가 기획하고 전체 편집을 맡아 하였으며, 공동저자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각 장을 집필하였다. 제1장 청소년문화의 개념과 유형(김윤나), 제2장 청소년 문화의 특성과 문화적 역량(천정웅), 제3장 정체감의 유형과 사회적 맥락(장근영), 제4장 청소년의 학습문화(이채식), 제5장 청소년의 여가문화(이채식), 제6장 청소년 이성교제(장근영), 제7장 청소년 사이버문화(장근영), 제8장 컴퓨터 게임문화(장근영), 제9장 소셜 미디어 문화(천정웅), 제10장 사이버참여문화(천정웅), 제11장 대중문화와 청소년 팬덤문화(천정웅), 제12장 북한이탈청소년 적응문화(김윤나) 등으로 구성하였다.
집필자들이 기본적인 집필체제를 맞추고 분량 등을 지키려고 노력했지만, 각장별 주제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가 일관성을 갖도록 하기는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기존의 책에서 다루지 않은 새로운 주제들을 포함하였으며, 유사한 주제들의 경우에도 그 내용에서 최근의 동향과 내용을 반영함은 물론,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고 논의하는 접근을 하였다. 이 책에 새롭게 제시된 주제영역들은 향후 청소년학의 분야에서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이 책은 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World Academy for Youth Studies: WAYS)가 기획하는 차세대 청소년학 시리즈의 여덟 번째 책으로 발간하였다. WAYS는 2006년 이후 격년마다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on Youth Studies)을 개최하고 있으며 국제적 차원의 청소년연구를 위한 지적공동체로서 활동하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이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는 청소년분야의 기대에 부응하면서 청소년과 관련한 다양한 학제적 전공분야에서의 이론과 실천들을 담는 계기를 가짐으로써 한국 청소년학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끝으로, 이 책의 발간을 흔쾌히 맡아주신 양서원출판그룹의 박철용 회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필자들을 대신하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발간사를 대신한다.
2013년 12월 저자들을 대신하여 천정웅
l 차 례 l
Chapter 1 청소년문화의 개념과 유형
1.청소년문화의 개념 / 2.청소년문화의 속성 / 3.청소년문화의 구성 / 4.청소년문화의 유형 분류 / 5.청소년문화의 유형
Chapter 2 청소년문화의 특성과 문화적 역량
1.청소년문화의 특성 / 2.문화적 역량에 대한 이해 / 3.청소년과 문화적 역량 / 4.청소년과 문화복지
Chapter 3 정체감의 유형과 사회적 맥락
1.프로이트의 인간발달론 / 2.에릭슨의 사회심리적 인간발달론 / 3.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인간발달이론의 차이 / 4.마샤의 정체감 지위 이론
Chapter 4 청소년의 학습문화
1.교육의 변화와 학습문화 / 2.청소년의 일상생활과 학습문화의 특징 / 3.청소년의 건강한 학습문화의 과제
Chapter 5 청소년의 여가문화
1.청소년 여가와 여가의 기능 / 2.여가변화와 청소년 여가 / 3.청소년 여가생활의 현황 및 특징 / 4.청소년의 lrjs강한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한 과제
Chapter 6 청소년 이성교제: 왜 하는가?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
1.청소년 이성교제의 정의 / 2.청소년 이성교제의 실태 / 3.이성교제의 심리적 기제 / 4.이성교제의 진행과정 / 5.청소년 이성교제의 역기능 / 6.이성교제 역기능에 대한 대처 방안
Chapter 7 청소년 사이버문화의 이해
1.사이버 공간의 특성 / 2.사이버 문화의 특성 / 3.사이버 문화와 세대차
Chapter 8 컴퓨터 게임문화와 인터넷 중독
1.컴퓨터 게임의 이해 / 2.인터넷 중독의 이해 / 3.컴퓨터 게임의 청소년 유해성에 대한 반론
Chapter 9 청소년 소셜 미디어 문화
1.소셜 네트워크의 특성 / 2.소셜 미디어와 사회적 자본 / 3.청소년의 시민적 관여와 소셜 미디어
Chapter 10 청소년과 사이버참여문화
1.청소년 사이버참여의 형태 / 2.청소년의 온라인 사회참여 과정 / 3.청소년 사이버참여의 종류와 소셜 미디어
Chapter 11 대중문화와 청소년 팬덤문화
1.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 / 2.청소년과 대중음악 / 3.청소년과 팬덤문화 / 4.팬덤문화의 양면성과 일본과의 비교
Chapter 12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문화
1.문화적응의 개념 및 정의 / 2.베리의 문화적응 이론 / 3.무화적응 담론 / 4.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문화
■ 천 정 웅(대구가톨릭대학교)
천정웅 교수는 미국 캔자스대학교(The University of Kansas)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청소년개발원 기획조정 실장, 한국청소년학회 사무총장, 미국 아이오와대학교(University of Iowa) 방문학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청소년학, 사회복지 및 영성복지, 양적/질적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 등에 진력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문 및 영문 논문과 저서가 있다. 2003년 “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World Academy for Youth Studies)”를 창립하였으며 2006년 이후 국제컨퍼런스,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for Studies)”을 격년마다 주요 국가를 순회하면서 개최하고 있다. 글로벌청소년학회, 한국국제사회복지학회, 한국시민청소년학회 등을 창립하여 회장,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장 근 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장근영 박사는 연세대학교에서 발달심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같은 학교에서 “한국과 일본 리니지게임 유저의 라이프스타일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에는 연세대학교에서 컨설턴트로서 온라인강좌 사이트의 기획과 운영을 담당했으며 2000년부터 2년간 연세대학교 학부대학에서 학사지도교수로 일한 바 있다. 『심리학 오디세이』, 『팝콘심리학』, 『싸이코짱가의 영화 속 심리학』, 등의 대중서를 집필하였고, 국제청소년 민주시민 역량조사 및 생애핵심역량연구 등을 진행하였다.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며, 사이버 공간의 인간심리, 뉴미디어와 청소년 문화, 디지털 게임의 심리 등 주로 미디어와 관련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강의와 연구를 수행중이다.
■ 이 채 식(대구한의대학교)
이채식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The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를 역임했으며, 긍정청소년개발, 청소년문화, 청소년활동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대구한의대학교에서 청소년활동론, 청소년프로그램 및 평가, 청소년문화론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청소년복지론』, 『역량중심의 청소년지도설계』, 『청소년문화론』, 『청소년문제행동론』 등을 공저하였다.
■ 김 윤 나(서울사이버대학교)
김윤나 교수는 중앙대학교에서 사회복지 석사학위, 사회복지학 청소년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최고위정책과정,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Creative Techno-Leaders Program for CEO 과정을 이수하고, 현재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청소년복지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앙대학교, 경기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중앙대학교부설종합사회복지관 등에서 강의와 연구, 실천을 경험하였다. 청소년정책, 청소년인권과 참여, 청소년복지, 청소년활동, 청소년문화, 청소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북한이탈청소년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