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청소년참여론

저자천정웅

  • 발행일2014-01-06
  • ISBN978-89-994-0177-0(93370)
  • 정가18,000
  • 페이지수316쪽
  • 사이즈4*6배변형

도서 소개

이 책은 청소년들이 관련 정책사업을 결정하고 시행하는 과정에 의견을 제시하거나 직접 참여하는 등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의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청소년은 이제 더 이상 어른들이 가르치고 이끌어야 하는 미성숙한 조재가 아니다. 그들은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인격체이자 성인에게 찾아볼 수 없는 우수한 역량을 지닌 책임 있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무한한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앞으로 우리 사회가 껴안고 협력해 나갈 힘 있는 동반자인 것이다.
실제, 청소년을 위한 세계적 동향으로 청소년의 사회참여가 촉진되고 있으며 정치경제문화의 여러 영역에서 ‘청소년참여’가 촉진되고 있다. 이미 유엔은 1985년을 ‘세계청소년의 해’로 정하면서 ‘평화 발전 참여’를 그 주제로 채택하여 청소년에서 사회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동반자적 관계 속에서 평화로운 미래를 건설해 가고자 하는 희망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최근의 여러 국제회의에서 ‘청소년참여’가 주요 테마로 논의되고 있으며 청소년의 역할을 중시하는 인식이 해마다 높아져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흡한 점이 많지만 지낭 1998년 이후 국가청소년정책의 기조로 청소년참여를 포함하고 있으며, 세계적 경향은 청소년들이 정책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청소년들이 자신과 관련된 이슈와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의견과 대안을 제시하거나 필요한 사업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더욱 확산되어 가고 있다.
여기서 참여라는 것은 단순히 제도나 정책결정 과정에 관여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영역의 의사결정과정에 그들을 참여시키는 것은 발전된 미래사회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청소년의 권리이며 의무인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권리와 지위를 보장하고 청소년들의 삶의 모든 영역에 그들의 참여를 보장하고 증진시키는 노력은 더 이상 소홀히 할 수 없는 시대적인 요청이자 국가사회적 실현과제가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국가정책적인 차원에서 청소년의 권리와 지위를 증대시키기 위한 세계적 조류에 걸맞은 정책이념이 필요하며, 각 자치단체와 민간단체, 사회의 전 영역에서 청소년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런 인식에서 필자는 그동안 청소년참여를 주제로 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며 그러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최근 발표한 몇 편의 논문과 후속연구 결과를 포함하여 전체 체제를 새롭게 구상하고 정리하였다. 부족한 필자의 청소년학에 대한 지식과 열정이 한 권의 책으로 꾸며지게 된다는 사실 앞에서 독자들에 대한 최선의 예의를 갖추기 위해 그동안 계속적인 연구와 강의를 통해 얻은 새로운 저작들과 자료를 끊임없이 보완하면서 다듬고 검토하였음을 밝혀둔다. 많은 내용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혹시라도 부분적으로 인용이 누락되거나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점이 있다면, 다음 기회에는 더욱 완전하게 보완할 것을 기대해본다.
이 책에서 말하는 “P이론”은 가능성(possibility)의 긍낙, 잠재성(potentiality)의 개발, 참여주의(participation)를 구성요소로 하는 청소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려는 노력의 하나이다. 시대의 변화를 읽어 내고 진정으로 우리가 지향해야 해 청소년을 위한 관점과 정책, 실천현장에 관한 진지한 성찰과 방향모색이 필요하다는 시도로 제시된 것이다. 또한, “P이론”은 종래의 청소년문제 대두에 따라 불가피하게 대응해 오는 가운데 발전되어 온 여러 가지 접근법들을 “N이론” 즉, 필요의 이론(Theory of Necessity)으로 보고 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용어화한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청소년참여의 대구, 전제와 의미, 가치와 이점, 권리적 의미, 개념과 목적, 유형화 논의, 형태와 영역, 방향과 활동기구, 동향과 정책제도화의 다양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다. 나아가 청소년참여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 시민적 관여의 이론, 환경문제와 청소년참여활동, 소셜 네트워크와 인터넷행동주의, 참여의 장애요인과 성인중심주의 그리고 청소년참여의 과제와 미래 등 청소년참여와 관련된 주요 내용들을 최대한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청소년에 대한 필자의 ‘관심’을 ‘청소년학’으로까지 발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어 준 이 땅의 모든 청소년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지 않을 수 없다. 청소년참여를 주제로 함께 연구하면서 지난 20년여 동안 같이 토론해 주고 격려해 준 동료들과 선후배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면서 필자의 청소년연구를 언제나 가까이에서 도와주었던 이름을 밝힐 수 없는 다른 많은 분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이와 같은 많은 도움과 격려에도 불구하고 여러 부분에서 더 보완하고 수정해야 할 점이 많은 것은 순전히 저자의 천하비재(淺學菲才)탓이다. 단지 지난 30여 년간 꾸준히 발전해 온 우리 청소년학계에 청소년참여라는 새로운 영역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 최초의 책이라는 점에서 위안을 삼고자 한다.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학계 여러분의 아량과 비판으로 이 책이 ‘청소년학’과 ‘청소년 참여’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확산하는 밑거름이 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것이다.
아무쪼록 청소년과 청소년참여 그리고 청소년학에 관심이 있거나 이해하고자 할 때, 청소년을 이해하고 청소년에 관한 연구와 실천학으로서 현장지도를 하게 될 때, 그리고 청소년학을 본격적으로 학문으로서 탐구하고자 할 때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지도편달이 있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책의 발간을 흔쾌히 맡아주신 양서원출판그룹의 박철용 회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발간사를 대신한다.

2013년 12월 천 정 웅


l 차 례 l

Chapter 1 청소년참여의 대두
1.좋은 사회의 기준과 청소년참여 / 2.청소년참여 촉진의 동향 / 3.청소년참여의 본질

Chapter 2 청소년참여의 전제와 의미
1.청소년참여의 전제조건 / 2.청소년참여의 의미 / 3.청소년참여의 필요성

Chapter 3 청소년참여의 가치와 이점
1.참여의 일반적 가치 / 2.청소년참여의 가치론적 의미 / 3.청소년참여의 이점들

Chapter 4 청소년참여의 권리적 의미
1.청소년참여권의 개념 / 2.참여권의 범주와 유엔아동권리협약 / 3.참여권 신장과 한국의 동향

Chapter 5 청소년참여의 개념과 목적
1.참여의 정의 / 2.청소년참여의 개념 / 3.청소년참여의 목적

Chapter 6 청소년참여의 유형화
1.단계적 계층화 모형 / 2.비계층적 연속형 모델 / 3.청소년참여 유형의 비판적 논의 / 4.청소년참여의 대안 모형

Chapter 7 청소년참여의 형태와 영역
1.청소년참여의 형태 / 2.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의 형태 / 3.청소년참여의 주요 영역 / 4.청소년참여 영역에서의 참여자의 역할

Chapter 8 청소년참여의 방향과 활동의 확산
1.청소년참여의 기본 방향 / 2.청소년참여활동의 확산 / 3.청소년참여기구의 운영

Chapter 9 청소년참여의 동향과 정책제도화
1.청소년참여의 주요 동향 / 2.청소년참여 동향의 특성 / 3.청소년참여의 정책제도화

Chapter 10 청소년의 시민적 관여와 주요 이론
1.시민적 관여와 청소년발전 / 2.청소년의 시민적 관여의 주요 이론들 / 3.시민적 관영의 주요 요인과 참여의 이점들

Chapter 11 환경문제와 청소년참여 동향
1.환경문제의 특성과 청소년참여의 의미 / 2.청소년의 환경활동 참여동향 / 3.청소년 환경활동 참여 증진의 방향

Chapter 12 청소년의 시민적 관여와 소셜 네트워크
1.청소년의 시민적 관여와 소셜 미디어 / 2.청소년의 미디어 활용과 소셜 미디어의 영향 / 3.소셜 네트워크와 청소년 인터넷행동주의

Chapter 13 청소년참여의 장애요인과 성인중심주의
1.청소년참여의 장애요인 / 2.성인중심주의의 개념과 존재형태 / 3.성인중심주의 논의와 비판들 / 4.성인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과제들

Chapter 14 청소년참여의 과제와 미래
1.청소년참여 촉진을 위한 과제 / 2.청소년참여의 미래를 위한 제언 / 3.빠뜨린 이야기-청소년참여를 위해 지금 할 일들

저자 소개

■ 천 정 웅(대구가톨릭대학교)

미국 캔자스대학교(The University of Kansas)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청소년개발원 기획조정실장, 한국청소년학회 사무총장,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The University of Iowa) 방문학자, 미국 캔자스대학교 사회정책분석연구원 Research Manager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부와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주로, 청소년복지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국제사회복지론, 고급통계자료분석론, 질적연구방법론, 사회복지법제론, 청소년인권과 참여, 청소년활동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20여 년간 청소년학, 사회복지 및 여성복지 등과 관련한 이론과 실천, 양적/질적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 강의 및 저작활동에 진력해오고 있다. 한국전통사상에 관해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적극적 관점의 청소년개발>, <차세대 청소년학총론>, <청소년인권과 참여>, <청소년멘토링>, <지구환경레짐의 정치경제학> 등의 저서와 “청소년참여의 유형화 연구”, “청소년정책의 발전적 특성 연구” 등 다수의 국문 논문이 있다. “Best practices in community-based prevention for youth substance reducti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outcomes and satisfaction, service utiliz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path analysis" 등 단독저자로서 SCI, SSCI 등재 영문저널에 게재된 다수의 영문 논문이 있다.
2003년 미국에서 “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World Academy for Youth Studies)”를 창립했으며 2006년에는 한국 청소년복지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on Youths Studies)"을 제한하여 격년마다 세계 주요 국가를 순회하면서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다. 2010년 창립된 글로벌청소년학회, 한국시민청소년학회, 국제사회복지학회 등에서 회장,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