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들은 창작공예활동의 과정을 통해 창의성과 조형의 구성요소와 원리, 미적 안목, 예술적 감성 등이 길러지며 다양한 재료와 용구를 탐색하고 활용해 봄으로써 문제해결 능력과 융통성 있는 사고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감정 등을 능동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창작공예활동을 정형화된 방법이 아닌 유연한 사고에서 진전하여 독창적인 방법으로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하고 도와줄 수 있는 교사와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 현장에서 영유아를 지도하는 교사,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 유아 창작공예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며 창의적인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집필되었다.
하나의 작품 주제를 정해 활동 순서도에 따라 활동하는 것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재료의 성질을 이해하고 재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표현방법을 제시하여 교사의 필요에 의해, 주제에 따라, 유아 연령에 따라 변형하고 응용시킬 수 있는 활동들로 구성하였다.
본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창작공예활동을 인형과 가면, 직조와 자수, 모빌, 악기, 구성, 기타 공예활동으로 나누었으며 이를 다시 재료에 따라 인형과 가면은 연필, 종이접시, 양말, 색상지, 스타킹, 철사, 스티로폼 공, 장갑, 석고붕대, 요요 인형과 종이, 쇼핑백, 페이퍼 마쉐가면으로, 직조와 자수는 종이, 나무젓가락, 종이접시 직조와 자수로, 모빌은 종이, 석고, 빨대, 조각, 스티로폼 공 모빌로, 악기는 마라카스, 작은북, 실로폰, 장구로, 구성은 종이, 도형, 백업, 스티로폼 공, 털실, 면재, 페트병, 우드락, 빨대 구성으로, 기타 공예로는 종이컵, 계란판, 우유팩, 스타킹, 페이퍼 마쉐, 철사, 골판지, 지점토, 비누, 알루미늄 포일, 클레이, 성냥개비, 유리병 공예와 시계, 오뚝이, 고리 던지기, 머리띠, 크리스마스 트리, 모자, 액자, 롤러코스터, 종이 모형으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현장에서 영유아들의 창작공예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사를 위해 매 활동별 활동목표와 활동자료, 활동방법, 유의점 및 응용방법, 확장활동을 제시하였다.
예시된 작품은 예비 교사들의 작품으로서 이를 참고하여 창의적인 발상과 그를 시행할 수 있는 표현능력을 익혀 현장에서 직접 적용․실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출간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격려와 도움이 있었다.
사랑하는 가족들, 열심히 작품 제작에 힘써준 전북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 출간을 맡아주신 양서원, 모든 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4년 1월 저자
l 차 례 l
인형과 가면
연필 인형 / 종이접시 인형 / 양말 인형 / 색상지 인형 / 스타킹 인형 / 철사 인형 / 스티로폼 공 인형 / 장갑 인형 / 석고붕대 인형 / 요요 인형 / 종이 가면 / 쇼핑백 가면 / 페이퍼 마쉐 가면
직조와 자수
종이 직조 / 나무젓가락 직조 / 종이접시 직조 / 자수
모빌
종이 모빌 / 석고 모빌 / 빨대 모빌 / 조각 모빌 / 스티로폼 공 모빌
악기
마라카스 / 작은북 / 실로폰 / 장구
구성
종이 구성 / 도형 구성 / 백업 구성 / 스티로폼 공 구성 / 털실 구성 / 면재 구성 / 페트병 구성 / 우드락 구성 / 빨대 구성
기타 공예
종이컵 공예 / 계란판 공예 / 우유팩 공예 / 스타킹 공예 / 페이퍼 마쉐 공예 / 철사 공예 / 골판지 공예 / 지점토 공예 / 비누 공예 / 알루미늄 포일 공예 / 클레이 공예 / 성냥개비 공예 / 유리병 공예 / 시계 / 오뚝이 / 고리 던지기 / 머리띠 / 크리스마스 트리 / 모자 / 액자 / 롤러코스터 / 종이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