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 사회가 놀랍게 변화하고 가족구성원 또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다양한 문화가 형성되고 다민족이 함께 살아가다 보니 가족 구조가 변화하면서 여성의 역할도 중요하게 되었다. 여성인구의 46%가 취업을 하고 있는 실정에서도 아직까지 여성폄하 실태는 느리게 진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이혼율이 최고에 도달되어 있음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어떻게 하는 것이 가족을 살리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인지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는 시기에 와 있다.
기존 가족복지론이나 가족관계론이 발간되어 가족을 강조하였지만 아직도 건강가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가족 갈등이 계속되고 있으며 가정폭력과 여성지위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음을 심히 유감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시기에 가족의 핵심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여성을 다루는 가족과 젠더를 집필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
가족을 이루어 나가는 데 꼭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바로 여성으로 그 여성을 빼놓고 가족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가족의 반쪽밖에 다루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족과 여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본서는 중요한 가족에서 과반수를 이루고 있는 여성의 문제를 다루어 가족과 여성이 관계되는 여러 요소들을 모아서 집필하였다.
사회복지학과 가정학을 전공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가족과 같은 영역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가족을 학문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인 틀과 그 기초를 닦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비록 가족이 무엇이며 젠더는 무엇인지, 여성주의 관점에서의 가족을 살펴보고 여성의 권위는 어디까지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사회 속에서 두 사람 이상의 조직사회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고 그 기초가 바로 가족에서 젠더의 역할이 아닌가 한다.
그러므로 이 가족과 젠더를 이해하여 사회복지학과 가정학을 가르치는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수업계획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따라서 가족과 젠더는 가족 내 구성원 간의 역동성(dynamics)과 상호작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성, 사랑, 성역할, 결혼 및 이혼, 여성과 남성의 불평등의 문제 등을 다루고자 한다.
이에 저자들은 대학 강단에서 가족과 젠더에 관계되는 내용들을 강의하면서 학생들이 사회복지학과 가정학에서 가족과 젠더를 공부할 때 쉽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고자 하였고 또한 짧은 지식의 벽을 넘지 못하여 선배 교수님들의 저서에서 많은 도움을 받아 출판하였다. 항상 끝날 때가 되면 시간에 쫓기어 서두르게 되고 그러다 보면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부분은 아량을 베풀어 주길 바란다.
앞으로도 보다 알찬 내용이 될 수 있도록 계속 수정 보완할 것을 약속드리며 독자 여러분들의 기탄없는 충고와 가르침을 겸허하게 받아들여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이 책의 집필을 위해 함께 힘든 작업을 하면서 소중한 시간을 할애하여 준 공동저자 김정옥, 백경숙, 유가효, 조희금, 홍계옥, 홍상욱에게 진심으로 고마움을 전하면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사회복지학과 가정학 관련 저서를 집필하는 데 더 많이 노력하는 저자가 되기를 바란다.
끝으로 본서가 나오기까지 애써 주신 도서출판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4. 6.저자를 대표하여
ㅣ 차 례 ㅣ
Chapter 01 가족과 젠더의 이해 ● 9
1. 가족과 젠더 11 / 2. 젠더에 대한 이해 20 / 3. 가족과 젠더의 변화 23
Chapter 02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여성 ● 33
1. 가부장제의 기원과 형성 35
2. 가부장제 사회의 남성과 여성 37
3. 가부장제 사회와 가족 41
4. 한국의 가부장적 가족제도 44
5. 한국사회의 근대화와 부계가족제도의 변화 49
Chapter 03 젠더와 성 ● 55
1. 시대적 유산인가, 학문인가? 57 / 2. 사회변동과 성 60 / 3. 몸과 사회적 삶 74 / 4. 성적 역기능 81
Chapter 04 젠더의 역사와 이론적 고찰 ● 91
1. 젠더의 역사 93 / 2. 젠더 제 이론 98 / 3. 젠더 형성에 대한 이론 109
Chapter 05 한부모가족 ● 117
1. 한부모가족의 개념 119
2. 한부모가족의 형성원인 119
3. 한부모가족에서 젠더 역할수행의 어려움 120
4. 한부모가족에서의 젠더 130
Chapter 06 가족정책과 젠더의 관점 ● 135
1. 가족정책의 개념 137
2. 가족정책과 젠더 관점 143
3. 건강가정기본법과 가족정책 관련 법 145
4. 젠더 관점과 가족정책의 실제 161
Chapter 07 젠더와 가정폭력 대처 ● 167
1. 젠더와 가정폭력의 정의 169
2. 가정폭력의 유형 172
3. 가정폭력의 실태와 현황 173
4. 가정폭력 피해자의 대처방법 185
5. 가정폭력 피해자의 법적 처리절차 187
Chapter 08 부부역할 및 부부적응 ● 193
1. 부부역할 195 / 2. 부부적응 201
Chapter 09 취업부부가족 ● 215
1. 취업부부가족의 개념 217
2. 취업부부가족의 형성 217
3. 취업부부가족의 실태 220
4. 취업부부가족의 가족형태 222
5. 취업부부가족에 대한 인식 223
6. 취업부부가족의 특성과 젠더 226
Chapter 10 성과 사랑의 이해 ● 233
1. 성에 대한 이해 235
2. 사랑에 대한 이해 241
3. 성과 사랑의 의미 250
4. 성과 사랑의 특성 253
5. 바람직한 성과 사랑 254
Chapter 11 이성교제와 배우자 선택 ● 261
1. 이성교제의 일반적 배경 263
2. 이성교제의 의의와 기능 264
3. 이성교제의 방법 267
4. 이성교제의 문제점 268
5. 노년기의 이성교제 273
6. 배우자 선택 275
Chapter 12 이혼과 가족 재구성 ● 289
1. 이혼의 개념 291
2. 이혼의 종류 291
3. 이혼 증가의 원인 292
4. 이혼에 대한 사회적 통념 296
5. 이혼의 실태 297
6. 이혼에 따른 문제점 307
7. 이혼숙려제 309
8. 이혼에 대한 적응 및 과제 310
9. 가족 재구성 312
Chapter 13 한국가족의 미래전망 ● 315
1. 한국가족의 변화양상 317 / 2. 한국가족의 미래와 과제 330
■ 박 귀 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
현재, 한영신학대학교 기독교아동복지학과 교수
<저서> 가족복지론, 사회복지실천론(공저), 노인복지론(공저), 사회문제론, 노년학, 자원봉사론(공저), 가족관계(공저) 등
■ 김 정 옥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정학 석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족소비자학과 명예교수
칠곡군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센터장
<저서> 이혼과 가족문제(공저), 결혼과 가족(공저), 건강가정론(공저), 가족관계(공저) 등
■ 백 경 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전공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전공 박사
현재,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아동가족학전공 교수
<저서> 가족관계(공저), 아동발달(공저), 아동복지론(공저), 청소년복지론(공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공저) 등
■ 유 가 효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현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소비자정보학과 교수
<저서> 인간발달(공저), 가족관계(공저), 가족폭력전문상담(공저), 놀이치료의 이해(공저) 등
■ 조 희 금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석사
경희대학교 박사
현재,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교수
<저서> 가정생활복지론(공저), 건강가정론(공저), 건강가정현장실습(공저) 등
■ 홍 계 옥
미네소타 대학원 문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현재, 서라벌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저서> 영유아발달(공저), 결혼과 가족의 이해(공저), 가족관계(공저) 등
■ 홍 상 욱
일본 오사까시립대학 대학원 생활복지학 학술석사
일본 오사까시립대학 대학원 생활복지학 학술박사
현재,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족주거학과 교수
<저서> Asia’s New Mothers(공저), 아시아의 가족과 젠더(공저), 21세기 아시아 가족(공저), 가족관계(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