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교육과정

저자구병두,최종진,김부국,김상남,차승봉,박균달,정의식,김경민,이범석,이경철,구희진

  • 발행일2015-02-27
  • ISBN978-89-994-0363-7(93370)
  • 정가19,000
  • 페이지수400쪽
  • 사이즈크라운판

도서 소개

 

물질적인 것은 나누면 반감되지만 교육활동과 같이 정신적인 것은 베풀면 배가 되어 돌아온다는 믿음으로 대학에서 강의를 해 온 지도 벌써 이십 수 성상이 지났다. 어느덧 뒤를 돌아보아도 될 만큼 짧지 않은 세월이 흐른 것이다.
가끔 강의노트를 정리할 때면 언젠가 TV프로그램을 통해서 들은 ‘인더스 강의 전설’을 떠올리곤 한다. 인더스 강의 전설인즉, 인더스 강 위에 책을 띄우면 훌륭한 책은 뜨지만 하찮은 책은 가라앉는다는 것이다. 이런 인더스 강의 전설이 때로는 자극제가 되기도 하지만 쉽게 용기를 내지 못하는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늘상 교육은 ‘자극하고 격려하는 것’이라고 떠들면서 쉽사리 작업에 착수하지 못하다가 본인에 대한 자극의 일환으로 하필이면 무척이나 바빴던 지난해 2학기를 택하여 원고작업과 힘든 싸움을 시작하여 지난해 겨울방학과 또 한 해의 여름방학 내내 집필을 계속하면서 이 한 권의 책을 내놓게 되었다.
원고작업을 하는 동안 탈고되는 날이면 마치 농부가 땀 흘려 열심히 가꾼 한해 농사를 거둬들일 때와 같은 기분을 만끽하리라고 다짐했지만 웬일인지 그런 느낌은커녕 인더스 강의 전설이 오히려 부끄러움을 안겨준다.
이 책은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개념과 제 이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교육과정의 개념과 발전, 교육과정의 유형,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기초,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교육과정의 구성과 목표설정,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단원의 구성, 교수 학습과정,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육과정이론의 유형, 교육과정 사회학 및 교육과정 평가 등을 다루었다.
무엇보다도 이 작은 책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많은 선배 학자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왜냐하면 학문의 불모지에서 이룩한 선배님들의 학문적 토대가 없었던들 이 책은 엄두조차 내지 못했을 것이다. 이제는 여러 선배님의 질책과 조언을 기다린다. 이러한 선배님들의 질책과 조언은 더 큰 자극제로 작용하여 인더스 강의 전설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땀 흘려 이룬 농부의 환희에 찬 모습으로 닮아가는 데 분명히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끝으로 이 책이 출판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신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과 직원 여러분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5년 2월 著者 識


l 차 례 l

CHAPTER 1 . 교육과정의 개념과 발전
1. 교육과정의 개념
1) 교육과정의 어의 / 2) 교육과정의 정의 / 3) 교육과정의 성격 / 4)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 5) 교육과정의 개념 모형

2. 교육과정의 변천
1) 20세기 이전의 교육과정 발전 / 2) 20세기 이후의 교육과정 발전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사
1) 군정기 / 2)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생성

CHAPTER 2 .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1) 기본 견해 / 2)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3)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4)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2. 경험중심 교육과정
1) 기본 견해 / 2)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3)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4)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3. 학문중심 교육과정
1) 기본 견해 /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3)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4. 인간중심 교육과정
1) 기본 견해 / 2)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3)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4) 인간중심 교육과정

5. 공식적 교육과정과 영 교육과정
1) 공식적 교육과정의 기본 견해 / 2) 영 교육과정

6. 실제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1) 실제적 교육과정 / 2) 잠재적 교육과정

CHAPTER 3 .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1.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1) 철학의 개념 / 2) 철학하는 태도 / 3) 철학하는 방법 / 4) 철학의 영역 / 5) 철학적 태도 탐색의 목적 / 6) 철학적 태도의 성향

2. 주요 교육철학의 이론
1) 20세기 전기의 교육철학 / 2) 20세기 후기의 교육철학

CHAPTER 4 .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기초
1. 사회변화와 교육과정

2. 현대사회의 특성과 교육과정
1) 사회의 다원화와 급속화 / 2) 과학·기술의 통합과 급속한 발달 / 3) 정보·지식의 폭발적 증가 / 4) 다양한 직업의 등장과 직업 간의 상호작용의 증가 / 5) 여유시간, 성인, 여성 지위 등 증가

3. 사회적 · 교육적 현안
1)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 2) 학업에 재능이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 / 3) 교과에 대한 관심 / 4) 불우한 학생에 대한 관심 / 5) 확장된 우선 사항 : 새로운 불우 아동집단 / 6) 학교 수준의 개혁 / 7) 협약학교운동

4. 교육적 변화를 위한 개혁

CHAPTER 5 .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1. 행동주의 심리학
1) 학습이란? / 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태동 / 3) 행동주의에 기초한 학습이론 / 4) 관찰학습과정 / 5) 자기조절 / 6) 인지적 행동 수정 / 7) 사회학습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8)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이론의 원리

2. 인지심리학
1) 인지심리학의 개념 / 2) 인지심리학과 신경과학 / 3) 기억이란?

3. 현상학과 인본주의 심리학
1) 현상학이란? / 2) 현상학이론의 인간관 / 3) 현상학이론의 주요 개념 / 4) 인본주의 심리학

4. 학습자와 교육과정

5. 학습자의 성장 · 발달 특성
1) 인지발달이론 / 2) 발달과업이론 / 3) 도덕발달이론 / 4)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CHAPTER 6 . 교육과정의 구성과 목표설정
1.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1) 최소 필요량의 원리 / 2) 지역성의 원리 / 3) 사회와 개인의 융화원리 / 4) 계속 발전성의 원리 / 5) 시대성의 원리

2. 교육목표의 설정
1) 교육목표의 기능 / 2) 교육목표 설정의 원리 및 절차 / 3) 교육목표 진술의 기준 / 4) 교육목표의 분류

CHAPTER 7 . 교육과정의 선정과 조직
1. 교육내용의 의미
1) 교과로 보는 견해 / 2) 학습경험으로 보는 견해 / 3) 지식의 구조로 보는 견해

2. 교육내용 선정의 원리 및 방법
1) 교육내용 선정의 원리 / 2) 교육내용의 선정방법

3.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및 방법
1)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 2) 교육내용의 조직방법

CHAPTER 8 . 단원의 구성
1. 단원의 개념과 유형
1) 단원의 개념 / 2) 단원의 유형

2. 단원의 계획과 전개
1) 단원의 계획 / 2) 단원의 전개

CHAPTER 9 . 교수 - 학습과정
1. 교수 학습의 개념
1) 교수 / 2) 학습 / 3) 교수 학습의 차이점 / 4) 교수 학습의 원리 / 5) 교수 학습의 성립요소

2. 교육과정과 교수의 관계
1) 이원적 모형 / 2) 연결적 모형 / 3) 내포적 모형 / 4) 순환적 모형

3. 교수이론
1) Bruner의 교수이론 / 2) Cronbach의 적성 처치 상호작용 모형 / 3)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 / 4) Gagné의 수업이론 / 5) Glaser의 교수 모형 / 6) Ausubel의 유의미 학습 / 7) Flanders의 수업분석 모형

4. 교수 학습방법의 유형
1) 고전적 교수 학습방법 / 2) 지력개발 교수 학습방법 / 3) 상호작용 촉진 교수 학습방법 / 4) 개별화 교수 학습방법 / 5) 공학적 교수 학습방법 / 6) 치유적 교수 학습방법

CHAPTER 10 .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1.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2)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적인 고려사항 / 3) 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되는 구성요소 / 4)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

2. 교육과정 운영
1) 교육과정 운영의 분권화 / 2)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원리

CHAPTER 11 . 교육과정이론의 유형
1. 전통주의
2. 개념 경험주의
3. 재개념주의

CHAPTER 12 . 교육과정 사회학
1. 지식사회학
2. 경제적 재생산이론
3. 문화적 재생산이론
4. 헤게모니이론

CHAPTER 13. 교육과정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현황
1) 교육과정 평가의 발전 방향 / 2) 교육과정 평가의 전망

2.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과 본질
1)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 2) 교육과정 평가의 본질

3. 교육과정 평가의 기능

4.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1) 기본 모형 / 2) 심화 모형

5. 교육과정 평가의 일반적 절차
1) 평가의 목적 확인 / 2) 평가영역과 내용의 선정 / 3) 평가방법의 결정 / 4)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5) 평가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 6) 평가 환경의 구축 / 7) 자료의 수집 / 8) 자료의 분석 / 9) 평가결과의 해석 / 10) 평가결과의 보고 / 11) 평가결과의 활용 / 12) 메타평가

6. 교육과정 평가의 과제
1) 수행평가의 개념 / 2) 수행평가의 필요성 / 3) 수행평가의 방법

저자 소개

■ 구 병 두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법무부 연수원, 중소기업연수원 강사
한국농업교육학회 이사
현, 건국대학교 교수

■ 최 종 진

국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교육부 창의·인성모델학교 컨설턴트 및 평가위원
교육부 대학특성화사업 선정 평가위원
범부처 지역돌봄협의체 컨설턴트위원
현, 한중대학교 교직학과 교수

■ 김 부 국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현,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 김 상 남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현, 강원관광대학교 교수

■ 차 승 봉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현,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박 균 달

국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경기도교육청 수업분석연구회 연구위원
현, 제암초등학교 부장교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 정 의 식

한중대학교 교육학 석사
8군단 상담 교수요원
현, (주)앰앤에스홀딩스, U.S.Kids Golf Korea 대표이사
한중대학교 초빙교수

■ 김 경 민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 수료
서울시 초등학교 근무
현, 호치민시 한국국제학교 교사

■ 이 범 석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현,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이 경 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현, 한국교육보육경영연구소 소장
교육대표자정책 총동문회 회장
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구 희 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