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발명교육학 기초

저자강종표, 김용익, 김지숙, 김희필, 남현욱, 문대영, 문성환, 박광렬, 배선아, 유영길, 이시원, 이춘식, 정진현

  • 발행일2015-03-01
  • ISBN978-89-994-0370-5(93370)
  • 정가17,000
  • 페이지수308쪽
  • 사이즈크라운판

도서 소개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이 학교 정규교과를 통해 교육을 시작한 것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육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이전까지는 일반학교 발명교육으로서 방과 후에 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진 셈이다.
따라서 실과교육을 통한 발명교육을 내실화 있게 교육하기 위하여 ‘발명교육학 기초’의 교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교재는 전체 1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명교육의 모든 영역을 탐구하고 있으므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이 책의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 ‘기술과 발명’에서는 기술과 발명의 관계를 탐색하고 각각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기술과 발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2장 ‘생활 속의 발명’에서는 인간의 의식주와 발명, 과학 기술의 발전과 발명에 대해 알아보고, 생활의 필수품을 중심으로 주요 발명품의 발명자, 발명 에피소드, 발명품의 발달사 등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3장 ‘발명과 확산적 사고기법’에서는 아이디어 발상의 순서에 따라 확산적 사고기법의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4장 ‘발명과 수렴적 사고기법’에서는 생성된 아이디어를 유목화 하여 정리한 후 평가하여 최적의 아이디어를 선정하는 절차를 객관적,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수렴적 사고기법의 특징과 활용 방법을 살펴보았다.
제5장 ‘발명과 창의적 문제해결’에서는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의 이해 및 한정,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문제해결 방법 계획, 선정된 문제해결 방법 적용, 문제해결 결과 평가 등의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6장 ‘발명과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는 발명교육의 관점에서 융합인재교육을 살펴보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체험활동을 수행해 보도록 하였다.
제7장 ‘발명품 그리기’에서는 발명품을 그리는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도면 그리기의 기초 이론 내용과 구체적인 방법 및 프리핸드 스케치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을 알아보고, 실제 발명품 도면을 그리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제8장 ‘발명과 특허 지식’에서는 지식재산이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알아보고 특허출원 방법과 지식재산과 관련된 보호, 분쟁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제9장 ‘발명 특허 프로젝트’에서는 제1장부터 제8장까지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발명 특허 프로젝트 과정을 이해하고, 발명 특허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스스로 생활 속의 문제를 인식하고, 아이디어를 구상하여 발명 특허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제10장 ‘발명교육의 이해’에서는 교과교육을 통한 교육에서 분산형 교육과정으로 발명교육을 다루고 일반발명교육과 학교발명교육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11장 ‘발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문제해결학습 모형과 문제중심학습 모형 그리고 발명영재를 위한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간략히 탐구하였다.
제12장 ‘발명교육을 위한 평가 방법’에서는 발명 수행중심 평가와 발명 포트폴리오 평가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발명교육에 대한 전반을 다룬 이 책을 통하여 초중등학교 발명교육의 실천에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 끝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물심양면으로 힘써 주신 양서원의 박철용 회장과 편집부 여러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2015년 3월 1일 저자 일동


l 차 례 l

Chapter 01 기술과 발명
1. 과학과 기술 / 2. 기술과 기술적 문제해결 / 3. 기술과 발명 / 4. 기술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의미 / 5. 기술, 발명과 사회

Chapter 02 생활 속의 발명
1. 의식주와 발명 / 2. 과학 기술의 발전과 발명 / 3. 생활 속의 발명품

Chapter 03 발명과 확산적 사고기법
1. 확산적 사고기법의 의미와 종류 / 2. 확산적 사고기법의 특징과 활용

Chapter 04 발명과 수렴적 사고기법
1. 수렴적 사고기법의 의미와 종류 / 2. 수렴적 사고기법의 특징과 활용

Chapter 05 발명과 창의적 문제해결
1. 발명품을 위한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 / 2.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 TRIZ / 3. 실용 트리즈

Chapter 06 발명과 융합인재교육
1. 생활 속의 융합 / 2. 융합인재교육(STEAM) / 3. 발명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육 프로그램 예시 / 4. 융합인재교육(STEAM) 체험활동

Chapter 07 발명품 그리기
1. 도면의 기초 / 2. 도면 그리기 / 3. 프리핸드 스케치

Chapter 08 발명과 특허
1. 지식재산의 이해 / 2. 특허정보 검색과 특허출원 / 3. 지식재산보호와 특허분쟁

Chapter 09 발명 특허 프로젝트
1. 발명 아이디어에서 특허까지

Chapter 10 발명교육의 이해
1. 일반 발명 교육의 이해 / 2. 학교 발명 교육의 이해

Chapter 11 발명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1. 발명 교수·학습 방법의 지향 / 2. 발명문제해결학습 모형 / 3. 발명문제중심학습 모형 / 4. 발명영재 교수학습 모형

Chapter 12 발명교육을 위한 평가 방법
1. 수행중심의 평가 / 2. 루브릭 평가 / 3. 발명 포트폴리오 / 4. 초등 발명교육에서 평가 절차 예시

저자 소개

■ 강 종 표

진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교수(공학박사)
관심분야 : 기술교육, 로봇교육, 발명교육, 전기전자교육

■ 김 용 익

광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
관심분야 : 기술교육, 발명교육, 교사교육, 창의성 교육

■ 김 지 숙

공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교육학 박사)
관심분야 : 기술교육, 발명교육, 로봇교육, STEAM교육 등

■ 김 희 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실과교육과 부교수(교육학박사)
관심분야 : 실과교육, 기술교육, 발명교육, 로봇교육


■ 남 현 욱

청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공학박사)
관심 분야 : 공학교육, 기술교육, 발명교육, 로봇교육, 융합교육, 영재교육


■ 문 대 영

부산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교육학박사)
관심분야 : 기술교육, 기술적 창의성, 발명영재교육

■ 문 성 환

서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교육과 교수(공학박사)
관심분야 : 기술교육, 로봇교육, 발명교육, 전기전자교육, 에너지교육, 항공우주공학교육


■ 박 광 렬

광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공학박사)
관심분야 : 창의공학 및 발명교육, 산업과 안전, CAD/CAM Software, 로봇 및 메카트로닉스


■ 배 선 아

전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교육학 박사)
관심분야 : 기술교육, 전기전자교육, STEAM교육, 발명교육, 로봇교육

■ 유 영 길

춘천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Ph. D in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관심분야 : 기술교육, 발명영재교육, 로봇교육, 우주항공공학, STEAM교육 등

■ 이 시 원

부산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명예교수(공학박사)
관심분야 : 창의공학설계, 디자인과 발명, 발명교육


■ 이 춘 식

경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교육과 교수(교육학박사)
관심분야 : 기술교육&태도, 발명&로봇교육, 전통목공예, 우드터닝&우드펜

■ 정 진 현

대구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교수(공학박사)
관심분야 : 기술교육, 발명영재교육, 로봇교육, 공학기술&디자인교육, 뇌과학 & 창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