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 2015-08-25
머리말
“유아교육은 유아의 행복을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이며, 이는 유아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시작된다.” 가슴은 언제나 따뜻하고, 머리는 항상 명쾌하며, 손발은 늘 부지런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학부모, 그리고 유아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을 위하여 이 책을 바친다.
유아사회교육은 유아교사가 되기 위해 입문하는 학생들이나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바람직한 유아교사로서의 기본적인 교과교육 내용을 배우는 전공필수 영역 중의 하나이다. 그동안 여러 출판사에서 유아사회교육 관련 서적을 출판하고 있으나, 막상 강의
를 위해 교재를 고르다보면 각각 장단점들이 있어 아쉬운 점이 많았다. 이런 점에 입각하여 이 책은 유아교사가 되기 위한 기본교과로서 유아사회교육의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내용을 좀더 알기 쉽게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간결하게 정리해 놓으려고 노력하였다.
본서는 대학에서 오랫동안 유아교육 관련 과목들을 강의해온 저자들이 함께 교류를 하면서 공동으로 집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좋은 유아교사가 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사회교육에서 꼭 습득해야 할 필수적인
탐구요소와 다양한 주제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쉽고 간결하게 정리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최근 유아교육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에 기반을 둔 영유아 행복교육과 강점기반평가 등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각 장의 내용과 관련된 표, 그래프, 현장사진 또는 참고자료를 제시하고 그 출처를 밝혀 교수자와 학생들이 원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 이 책으로 강의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여 강의용 PPT를 함께 제작하였다는 것이다.
본 저서는 유아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포함하여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유아사회교육의 기초로 유아사회교육의 개념, 유아사회교육의 목적과 내용, 유아사회교육의 관련 연구동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유아 사회성 발달 이론으로 정신분석이론, 사회적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 생태학적 이론, 긍정심리학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장은 유아의 사회적 발달로 애착, 자아, 정서, 친사회성, 공격성, 도덕성, 성역할, 사회인지, 행복 등을 다루고 있다. 4장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족, 또래, 교육기관, 지역사회와 대중매체를 다루고 있다. 5장은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으로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유아사회교육의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6장은 유아사회교육과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으로 사회교육
과정 변천과정과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을 다루고 있다. 7장은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 유아사회교육 교수-학습 접근방법, 유아사회교육 교수-학습 유형, 유아사회교육 운영 실제를 다루고 있으며, 8장은 유아사회교육의 평가로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필요성과 목적,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내용,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방법,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활용방안을 다루고 있다. 9장은 유아사회교육의 내용영역별 실제를 다루고 있으며, 10장은 생활주제별 사회활동 실제를 다루고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이 책이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이지만 이는 전적으로 본 저자들의 역량부족 때문이며 솔직히 두려움이 많이 앞선다. 독자들의 따끔한 충고와 질책을 바라며, 이를 통해 이 책이 다시 개정될 수 있는 날을 기대하여 본다.
아울러 이 책을 쓸 수 있도록 참고자료와 문헌을 직 간접으로 제공해 주신 선배, 후배, 동료 연구자들께도 감사를 드린다. 또 바쁜 일과속에서도 기꺼이 번거로운 교정을 맡아 준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의 김은정 선생님과 석사과정의 제희선, 정귀임, 박선영 학생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이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없었더라면 이 책은 제 때에 출판되지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의 출간을 맡아주신 양서원 박철용회장님, 그리고 바쁜 일정 속에서 편집을 위해 애쓴 편집부 직원 여러분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5년 8월 저자
차 례
chapter 01 유아사회교육
1. 유아사회교육의 기초
1) 사회과학과 사회교육 / 2) 사회교육의 내용과 범위 / 3) 사회교육의 본질에 관한 모형 / 4) 유아사회교육의 개념
2. 유아사회교육의 목적과 내용
1) 유아사회교육의 목적 / 2)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 3) 유․초 간 사회교육의 연계성 / 4) 유아사회교육의 접근방법
3. 유아사회교육 관련 연구 동향
1) 연도별 동향 / 2) 내용별 동향
chapter 02 유아 사회성 발달 이론
1. 정신분석 이론
1) 심리성적 이론 / 2) 심리사회적 이론
2. 사회적 학습 이론
1) 초기의 사회적 학습 이론 / 2) 인지적 사회학습 이론 / 3) 평가
3. 인지발달 이론
1)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 2)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
4. 동물행동학적 이론
1) 각인 이론 / 2) 사회생물학 이론 / 3) 평가
5. 생태학적 이론
6. 긍정심리학
1) 긍정심리학의 연구주제 / 2) 낙관주의과 탄력성 / 3) 유아의 긍정적 성품 / 4) 평가
chapter 03 유아의 사회적 발달
1. 애착
1) 애착 이론 / 2) 애착의 발달 / 3) 안정된 애착의 발달을 위한 지원
2. 자아
1) 자아인지의 발달 / 2) 자아존중감의 발달 / 3) 자아발달의 지원
3. 정서
1) 정서발달 이론 / 2) 정서발달 / 3) 정서발달 지원
4. 친사회성
1)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 2) 친사회적 행동 지원
5. 공격성
1) 공격성의 발달 / 2) 공격성 감소를 위한 지원
6. 도덕성
1) 도덕성 발달 이론 / 2) 자아통제의 발달 / 3) 도덕성 발달 지원
7. 성역할
1) 성역할 발달 이론 / 2) 성역할의 발달 / 3) 바람직한 성역할 발달 지원
8. 사회인지
1) 마음이론의 발달 / 2) 대인지각의 발달 / 2) 사회인지 발달을 위한 지원
9. 행복
1) 행복의 개념 / 2) 유아 행복의 특성과 영향 요인 / 3) 유아 행복 지원
chapter 04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가족
1) 가족의 정의 및 중요성 / 2) 가족 형태의 변화 / 3) 부모와 유아 사회성 발달
2. 또래
1) 또래의 정의 및 중요성
2) 또래의 역할 / 3) 또래의 구조 / 4) 또래의 형성
3. 교육기관
1) 유아교육기관 환경의 질적 요인 / 2) 교육프로그램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 3) 교사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4. 지역사회와 대중매체
1) 지역사회 / 2) 대중매체
chapter 05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
1. 유아사회교육의 목표
2.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1) 사회적 지식 / 2) 태도와 가치 / 3) 사회적 기술
chapter 06 유아사회교육과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
1. 사회교육과정 변천과정
1)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교육 변천 / 2)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교육 변천
2.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영역(영아중심)
1) 누리과정의 사회관계영역 / 2)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영역
chapter 07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방법
1. 유아사회교육 교수-학습 접근방법
1) 교사중심 접근법 / 2) 유아중심 접근법
2. 유아사회교육 교수-학습 유형
1) 토의 / 2) 사회극놀이 / 3) 자유선택활동 / 4) 현장학습 / 5) 지역인사 활용 / 6) 정보탐색자료 활용
3. 유아사회교육 운영 실제
1)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계획 / 2)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 3)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교사 역할 / 4) 유아사회교육 지도상 유의점
chapter 08 유아사회교육의 평가
1.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필요성과 목적
2.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내용
3.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방법
1) 관찰법 / 2) 작품분석법 / 3) 면접법 / 4) 표준화 검사 / 5) 투사법 / 6) 학습활동 일지 / 7) 사회성 측정법 / 8) 강점기반평가
4.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활용방안
chapter 09 유아사회교육의 내용영역별 실제
chapter 10 생활주제별 유아사회교육활동 실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황 해 익
Michigan State University 대학원 문학석사
Michigan State University 대학원 철학박사
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최 미 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현, 부산경상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천 희 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현, 고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 서 현 아
Columbia University 대학원 문학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최 혜 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유아교육전공)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현,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오 경 녀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유아교육전공)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수료
현, 대구광역시 유아교육진흥원 파견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