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2016.3.15)
l 머 리 말 l
특수교육은 그 시대의 교육철학,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 경제적 정치적 요인, 사회 문화적 정서 등 각 시대에서 추구하는 정신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구미 선진국의 특수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성장해 왔지만, 우리나라 여러 특수교육 관련 학자의 정책 제안과 학부모의 노력에 의해서 급속하게 발전되어 왔다.
1997년 [특수교육진흥법] 제정은 장애아동들의 교육에 대한 당위성과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후 [특수교육진흥법]이 폐지되면서 2007년 새롭게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양적 확장에서 한발 나아가 질적인 측면을 모색하게 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특수교육 철학의 성장을 보여 주는 매우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아동의 교육에 대한 법적 기틀의 확립은 특수교육현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 등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들어 특수교육 교육과정도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특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개정을 거듭하여 장애아동 특수교육의 질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그러나 통합교육을 주장하면서도 사실상 분리교육중심의 특수교육정책을 펼쳐 왔고, 특수교육의 이론이 특수교육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이러한 변화를 중심으로 최근 외국 특수교육의 흐름에 맞추어 우리나라 특수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 앞으로 특수교육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특수교육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입문서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교사가 특수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집필에는 9명의 교수가 각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참여함으로써 어느 책보다도 각 장애영역별 전문성을 살리고자 하였다. 편찬과정에 있어서 편집형식의 통일보다 각 집필자의 의견을 존중하여 집필자의 의도가 독자들에게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총 13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 특수교육의 이해(전병운), 2장 시각장애아동 교육(한성희), 3장 청각장애아동 교육(최상배), 4장 정신지체(지적장애)아동 교육(백은희), 5장 지체장애아동 교육(이미숙), 6장 정서행동장애아동 교육(곽승철), 7장 학습장애아동 교육(서효정), 8장 의사소통장애아동 교육(전병운), 9장 자폐성장애아동 교육(임경원), 10장 중도중복장애아동 교육(곽승철), 11장 특수교육재활공학(한성희), 12장 영유아특수교육(노진아), 13장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지원(이미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전통적인 특수교육 이론과 최신 특수교육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과 그에 따른 실천적 지식을 담아보려고 노력하였다. 그렇지만 특수교육은 시대에 따라 계속 발전하고 있고, 지속적인 연구들을 통해 새로운 이론들이 생산될 수도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수정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쁘신 중에도 특수교육의 변화를 직시하고 기꺼이 집필에 동참해 주신 교수님들께 감사를 드리며, 집필진들의 원고를 모아 책으로 출판할 수 있도록 도와준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과 편집부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6년 3월 저자 일동
l 차 례 l
Chapter 01 특수교육의 이해
1.특수아동의 이해 / 2.특수교육의 개념 / 3.개별화교육계획 / 4.통합교육 / 5.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육과정
Chapter 02 시각장애아동 교육
1.정의와 분류 및 유형 / 2.원인과 출현율 / 3.선별 및 사정 / 4.시각 손상 학습자의 행동특성 / 5.일반 교육과정 / 6.확장된 핵심 교육과정 / 7.전망
Chapter 03 청각장애아동 교육
1.청각장애의 정의와 유형 / 2.청각장애아동 언어 지도방법의 변천 / 3.소리와 청각생리 / 4.청각장애 진단평가 / 5.보청기와 인공와우 / 6.청각장애아동의 심리 / 7.청각장애아동 언어 지도방법론 / 8.청각장애아동의 학교생활
Chapter 04 정신지체(지적장애)아동 교육
1.정신지체아동 교육의 역사적 개관 / 2.정의, 진단 및 분류 / 3.진단 및 평가 / 4.정신지체아동의 특성 / 5.교육과정 / 6.성인기로의 전환
Chapter 05 지체장애아동 교육
1.지체장애의 정의 / 2.지체장애의 특성 / 3.지체장애의 유형 / 4.지체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적 접근
Chapter 06 정서 행동장애아동 교육
1.정서행동장애의 정의 및 분류 / 2.정서행동장애아동의 특성 / 3.정서행동장애의 출현율 / 4.정서행동장애의 원인 / 5.정서행동장애아동의 사정 / 6.정서행동장애아동의 교육적 접근
Chapter 07 학습장애아동 교육
1.학습장애의 정의와 분류 / 2.학습장애의 원인 및 출현율 / 3.학습장애의 특성 / 4.학습장애의 진단과 판별 / 5.교수전략
Chapter 08 의사소통장애아동 교육
1.의사소통장애의 개념 / 2.언어 진단 및 평가 / 3.말장애의 특징 및 지도방법 / 4.언어장애의 특징 및 지도방법
Chapter 09 자폐성장애아동 교육
1.정의 / 2.진단 및 판별 / 3.원인 / 4.출현율 / 5.특성 / 6.자폐성장애아동 교육 / 7.최근 동향: 시각적 교수-학습전략의 강조
Chapter 10 중도 중복장애아동 교육
1.중도중복장애의 정의 및 개념 / 2.중도중복장애의 하위유형 / 3.중도중복장애아동의 특성 / 4.중도중복장애의 출현율 / 5.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진단 / 6.중도중복장애아동의 교육
Chapter 11 특수교육재활공학
1.특수교육재활공학 도입의 당위성과 그 정의 / 2.특수교육재활공학의 범주 / 3.특수교육재활공학 서비스 / 4.특수교육재활공학 접근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 5.개작된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주변장치 / 6.특수교육에서 컴퓨터의 활용 / 7.특수교육재활공학의 활용을 촉진시키는 방안
Chapter 12 영유아특수교육
1.영유아특수교육 개요 / 2.교육과정 / 3.교육방법
Chapter 13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지원
1.특수교육과 장애아동 가족 지원 / 2.장애아동 부모의 교육 참여와 부모 상담 / 3.장애아동 가족체계의 이해 / 4.장애아동과 형제자매
■ 전 병 운
단군대학교 대학원(교육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논문 및 저서>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특수교육과 교과교육 外 다수
■ 한 성 희
단국대학교 대학원(교육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저서>
시각손상학습자교육: 기능시의 진단적 사정
특수교육재활공학 外 다수
■ 최 상 배
부산대학교 대학원(특수교육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논문 및 저서>
한국수화언어의 수형소 분석
청각장애아동교육 外 다수
■ 백 은 희
미국 University of Arizona 대학원(철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숙교육과 교수
<저서>
정신지체-이해와 교육-
K-SIB-R 한국판 적응행동검사 外 다수
■ 이 미 숙
미국 University of Oklahoma 대학원(철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논문 및 저서>
지체장애 대학생을 위한 도우미 지원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장애아 가족지원-가족, 전문가, 장애아: 협력과 신뢰를 통한 긍정적 성과 外 다수
■ 곽 승 철
대구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논문 및 저서>
심리적 재활접근 중재방법으로서 임상동작법의 연구동향 분석
(증거기반 실제를 통한) 정서행동장애교육 外 다수
■ 서 효 정
미국 University of Kansas 대학원(철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논문 및 저서>
Preliminar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elf-determination Inventory: Student report version
학습장애 학생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생 주도적 학습전략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外 다수
■ 임 경 원
공주대학교 대학원(교육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논문 및 저서>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유지요인
특수교육 수업평가 문항개발 및 타당화
장애인 직업교육의 이론과 실제 外 다수
■ 노 진 아
미국 University of Oregon 대학원(철학박사)
現,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논문 및 저서>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s Perceptions of Program 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프로그램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시스템을 실행하기 外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