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발행 2016년 8월 30일
| 머리말 |
이 책은 학부 학생들을 위한 강의교재용이나 대학원생들을 위한 토론강의용 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였다. 총 5부 12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Ⅰ부 ‘영유아건강교육의 기초이해’에서는 생명과 건강에 대한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고 아이의 건강한 생명력을 위한 영유아건강교육의 새로운 접근으로 생태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또한 건강은 현대사회의 환경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출발한다는 인식 하에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이 영유아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Ⅱ부 ‘영유아의 건강관리’에서는 영유아건강관리의 실태를 국가의 정책과 가정에서의 건강관리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건강관리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영유아의 몸·마음 살림을 위한 방안으로 자연건강교육 및 생활환경교육, 정동교육 및 정심교육을 제안하고, 영유아 몸·마음 살림을 위한 교사 및 부모의 건강관리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Ⅲ부 ‘의식주의(衣食住醫) 생활과 영유아건강교육’에서는 영유아의 의(依)생활, 식(衣)생활, 주(住)생활, 의(醫)생활로 나누어 생활환경의 변화와 이로 인한 영유아의 건강문제를 다루고, 각각의 생활교육을 위한 방향 및 내용, 실제 교육사례 등을 소개하였다. Ⅳ부 ‘국가 수준 교육(보육)과정과 영유아건강교육’에서는 교육(보육)과정 속에서 영유아건강교육을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Ⅴ부 ‘영유아건강교육의 전망 및 과제’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 영유아건강교육의 사례로, 일본의 일무이소삼다(一無二小三多) 운동 및 식육기본법과, 미국의 Healthy people 2020 프로젝트 및 자연환경보전 프로그램과, 유럽의 식생활교육 및 숲교육 사례를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끝으로 우리나라 영유아건강교육의 최근 동향을 알아보고 영유아건강교육의 과제로 생활교육, 습관교육, 예방교육을 제안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매 장마다 관련 동영상과 서적에 대한 정보를 많이 담고자 한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건강에 대해 안다고 해서 모두 실천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음식을 꼭꼭 씹어 천천히 먹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식사시간이 5분이 채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이에 대한 관련 다큐멘터리를 한 번 보았다면 상황은 달라질 가능성이 커진다. 영상으로 본 장면은 우리 삶 속에 깊은 이미지로 남아 내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 강의시간마다 이 책에서 소개한 관련 영상자료를 참고하여 함께 보면서 토론한다면 건강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강의시간에 배운 내용이 교사로서의 생활, 나아가서는 영유아의 삶 속으로 연결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교사지도용 활동사례를 많이 담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교육(보육)과정에 준해서 개발된 교사용 지도서 및 각종 프로그램 책자에 이미 많은 활동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소개하고 참고할 수 있도록 몇 개 샘플만 제시하였다. 영유아건강은 교사 주도형 수업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루 일과 속에 꾸준히 강조되고 실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유아건강교육의 교재로서 다양하면서도 새로운 내용을 담으려고 노력하였으나 여전히 부족함이 많다. 앞으로 학생들과 수업하면서 시간을 가지고 좀 더 보완해 갈 것을 스스로에게 약속하면서 아쉬움을 달래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요즘 아이들의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확장과 함께 건강한 삶에 관한 자기성찰과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큰 보람일 것이다.
| 차 례 |
제1부 영유아건강교육의 기초이해
제1장 영유아건강과 건강교육
1. 생명에 대한 이해
2. 건강에 대한 이해
3. 건강한 생명을 위한 새로운 교육: 영유아건강교육의 생태적 접근
제2장 현대사회 환경과 영유아건강
1. 생활환경과 영유아건강
2. 자연환경과 영유아건강
제2부 영유아의 건강관리
제3장 영유아건강관리 실태
1. 국가의 영유아건강관리
2. 가정에서의 영유아건강관리
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유아건강관리
제4장 영유아 몸·마음 살림
1. 영유아 몸·마음 살림의 이해
2. 영유아 몸·마음 살림의 실천
3. 영유아 몸·마음 살림을 위한 교사 및 부모의 건강관리
제3부 의식주의(衣食住醫) 생활과 영유아건강교육
제5장 영유아 의(依)생활과 건강
1. 현대 의생활과 건강
2. 의복의 기능과 건강
3. 영유아 의생활의 특징
4. 영유아 의생활교육
제6장 영유아 식(食)생활과 건강
1. 현대 식생활과 건강
2. 바른 먹거리
3. 영유아 식생활의 특징
4. 영유아 식생활교육
제7장 영유아 주(住)생활과 건강
1. 현대 주생활과 건강
2. 주생활환경과 건강
3. 영유아 주생활의 특징
4. 영유아 주생활교육
제8장 영유아 의(醫)생활과 건강
1. 현대 의생활과 건강
2. 질병의 이해
3. 영유아 의생활의 특징
4. 영유아 의생활교육
제4부 국가 수준 교육(보육)과정과 영유아건강교육
제9장 유아교육과정과 건강교육
1. 유아건강교육 내용의 변천
2. 2015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2012 누리과정)과 유아건강교육
3. 유아건강교육 프로그램 사례
제10장 영아보육과정과 건강교육
1. 영아건강교육 내용의 변천
2. 제3차 표준보육과정과 영아건강교육
3. 영아건강교육 프로그램 사례
제5부 영유아건강교육의 전망 및 과제
제11장 세계 여러 나라의 영유아건강교육
1. 일본의 영유아건강교육
2. 미국의 영유아건강교육
3. 유럽의 영유아건강교육
제12장 영유아건강교육의 최근 동향 및 과제
1. 우리나라 영유아건강교육의 최근 동향
2. 우리나라 영유아건강교육의 과제
■ 김 은 주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유아교육 전공)
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부산혁신학교추진위원회 위원
부산시교육청 시민교육협의회 위원
부산시교육청 유아교육협의회 위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상임이사
주요 저서: 생태유아교육의 이해(한국학술정보)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공저, 공동체)
유아교사교육의 생태적 접근(공저, 공동체)
흙땅에서 맨발로 노는 아이들(공저, 학지사) 외 다수
■ 연 희 정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수료(유아교육 전공)
현 경남 성산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