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1판 1쇄 발행 2016년 9 월 10일
| 머리말 |
1960년대 후반에 태동한 한국의 언어병리학은 1980년대 후반에 접어들어 대학전공과정이 신설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현재 약 50여 개의 대학 및 전문대학에 언어치료 학부 및 대학원 전공 또는 협동과정이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아직은 역사가 짧은 한국의 언어병리학이지만 지난 30여 년간 언어치료사를 양성하는 교과과정 및 수련과정은 수 차례의 굵직한 변화를 겪으면서 더욱 전문화되었고 치료사의 역할 및 기능도 더욱 확대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학문적·임상적으로 검증된 근거중심중재(evidence-based practice)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교재는 조음음운장애를 중심으로 임상에서 많이 실시되고 학문적으로 검증된 다양한 진단법 및 치료접근법을 소개하고, 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배경지식을 담고자 하였다. 학부 수준의 조음음운장애 과목에 적합한 대학교재로 집필하였지만 조음음운장애를 치료하는 언어치료사가 어렵지 않게 참고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교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의사소통과 조음음운장애를 정의하는 개념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제2장은 말산출과 관련된 조음기관을 간략히 다루고, 제3장은 한국어의 말소리 특징과 체계를 담았고, 제4장에는 한국 아동의 조음음운발달과정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제5장은 조음음운장애의 유형과 진단과정을 소개하였으며, 제6장은 조음음운장애의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7장은 다양한 치료기법 및 치료접근법을 소개하였다. 제8장은 조음음운장애의 진단평가부터 치료까지의 과정이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하는 치료사례를 제시하였다.
저술작업을 시작하면서 기존에 널리 알려졌던 것과 다르거나 새로운 연구결과를 조우할 때마다,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사회학자인 Noam Chomsky의 “You don’t know what you don’t know.”라는 명언을 떠올리며, 배움의 자세로 이 책을 써 나가고자 노력했다. 조음음운장애를 처음 배우게 되는 학생들과 임상에서 조음음운장애를 치료하는 언어치료사 모두에게 쉽게 읽혀지는 책이 되길 바란다. 끝으로 본 교재가 출판되기까지 물심양면으로 지지해 주신 가족과 지인 및 동료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 차 례 |
Chapter 01 의사소통장애와 조음음운장애
1.1. 의사소통장애
1.2. 말연쇄과정
1.3. 음성학과 음운론
1.4. 조음장애와 음운장애
Chapter 02 말산출과 조음기관
2.1. 성문하기제
2.2. 후두
2.3. 후두상성도
Chapter 03 한국어 말소리
3.1. 한국어 말소리의 분류
3.2. 한국어 말소리의 표기
3.3. 한국어 말소리의 음운자질
3.4. 한국어 말소리의 음성음운적 특징
3.5. 한국어의 음운규칙
3.6. 한국어의 음절과 운율
Chapter 04 조음음운 발달
4.1. 말지각 발달
4.2. 언어 이전기
4.3. 첫 낱말기
4.4. 어휘폭발기와 학령 전기
4.5. 학령기 이후
Chapter 05 조음음운장애 진단평가
5.1. 조음음운장애 원인과 유형
5.2. 기질적 조음음운장애
5.3. 진단평가의 유형
5.4. 선별검사
5.5. 진단 및 심화검사
5.6. 표준화 검사도구
Chapter 06 조음음운장애의 치료
6.1. 치료 여부 결정
6.2. 치료 강도 설정
6.3. 치료 목표 설정
6.4. 치료 강화 설정
6.5. 치료기법 및 치료접근법 설정
6.6. 치료 환경 설정
6.7. 치료 종결 결정
Chapter 07 조음음운장애 치료접근법
7.1. 조음적 치료접근법
7.2. 음운적 치료접근법
7.3. 짝자극기법
7.4. 핵심어휘접근법
Chapter 08 조음음운장애 치료사례 및 분석
8.1. 치료사례 I: 언어발달지체를 동반한 조음음운장애 아동
8.2. 치료사례 2: 마비말장애를 동반한 조음음운장애 성인
저자 소개
■ 윤 석 연
미국 일리노이대 언어청각학과 박사
현) 원광디지털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원광디지털대학교 언어치료연구센터장
■ 박 성 지
독일 Hamburg 응용언어학과 박사
현) 원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